[include(틀:간토의 대중교통)] [include(틀:JR)] ||<-2> {{{#ffffff {{{+1 '''도쿄 모노레일 주식회사'''}}}[br]東京モノレール株式会社[br]TOKYO MONORAIL CO., LTD.}}} || ||<-2> [[파일:TokyoMR_logo.png|width=3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종류''' ||[[주식회사]] || || '''운행지역''' ||일본 [[도쿄도]] || || '''보유선로''' ||17.8km || || '''본사 소재지'''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하마마츠쵸 2쵸메 4-12[br](東京都港区浜松町二丁目4-12) || || '''창립년일''' ||[[1981년]] [[4월 13일]] || || '''업종''' ||육운업 || || '''법인번호''' ||[[https://www.houjin-bangou.nta.go.jp/henkorireki-johoto.html?selHouzinNo=4010401020947|4010401020947]] || || '''사업내용''' ||철도사업, 여행업, 주차장사업 || || '''대표''' ||사장 이토 에츠로(伊藤悦郎) || || '''자본금''' ||30억 엔 (2020년 3월 기준) || || '''매출''' ||144억 9,5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 || '''영업이익''' ||13억 엔 (2020년 3월 기준) || || '''경상이익''' ||12억 1,0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 || '''순이익''' ||8억 6,4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 || '''순자산''' ||198억 8,1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 || '''총자산''' ||685억 4,3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 || '''종업원 수''' ||355명 (2020년 3월 기준) || || '''결산기''' ||[[3월 31일]] || || '''주요 주주''' ||[[동일본 여객철도]] 79.0%[br][[히타치 제작소]] 12.0%[br][[전일본공수|ANA 홀딩스]] 9.0% || || '''웹사이트''' ||[[http://www.tokyo-monorail.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kyo_mono1964, 크기=24)] [[https://www.instagram.com/tokyo_mono196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파일:external/web.archive.org/img_bldg_visual_01_L.jpg|width=100%]] || || {{{#ffffff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역|{{{#fff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역}}}]]'''}}} || || [[파일:yrkmm.jpg|width=100%]] || || {{{#ffffff '''주력차량 10000계'''}}} || [목차] == 개요 == 1964년 9월 17일에 개업한 [[하네다 공항선]]을 운영하는 [[도쿄도]]의 철도사업자이다. 이전에는 [[히타치 제작소]] 산하에 있었다가, 2002년에 [[JR 동일본]]에 양도된 이후 JR 동일본의 자회사가 되었다. 이런 이유로 JR 연계 할인 승차권도 존재하며 [[JR 도쿄 와이드 패스]] 이상의 JR 동일본계열의 패스를 구매할 경우 도쿄 모노레일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여담으로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3/3d/Tokyo_Monorail_Logo.svg|구 로고]]가 [[일본국유철도]]의 로고와 비슷했다.[* 참고로 저 구 로고는 현재까지 뒷면의 모노레일 스이카에 삽입되고 있다.] == IC카드 승차권 == 각 역에서 판매하는 IC카드 방식의 승차권은 사철임에도 불구하고 [[PASMO]]가 아니라 '모노레일 스이카(モノレールSuica/Monorail Suica)'라는 이름의 [[Suica]]를 쓰고 있다. 원래 스이카는 [[JR 동일본]]의 역에서만 판매되는 물건인데, JR 동일본이 도쿄 모노레일 주식회사의 1대 주주기 때문에 당연히 판매되고 있다. 단 모노레일 스이카의 경우 카드 반납 및 환불이 모노레일 역에서만 가능하고, 정기권도 모노레일 구간에 한해서(환승정기권 가능) 만들 수 있고, 모바일 스이카 이전이 불가능하다는 점에 유의. 일반적인 충전이나 사용처 등의 나머지는 일반 스이카와 동일하다. 도쿄 모노레일에 도입되어 2009년 3월 5일까지 쓰이던 모노레일 스이카는 노란색 바탕에 'モノレールSuica'라고 적혀 있었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m-suica-n3.jpg]] 2009년 3월 6일부터는 디자인이 바뀌어서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m-suica-n4.jpg]]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하네다 공항선]] == 항목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 version=143)] [[분류:일본의 철도 운영 주체]][[분류:일본의 여행사]][[분류:1981년 기업]][[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