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도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도쿄도 제23구}}}}}}'''[br]{{{-1 {{{#fff 東京都第23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Tokyo23.svg|width=100%]]}}}|| ||<-2><:>'''선거인 수'''||<-2><:>458,998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도쿄도]]|| ||<-2><:>'''하위 행정구역'''||<-2><:>[[마치다시]] ||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오구라 마사노부]]||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도]]의 [[마치다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오구라 마사노부]]. == 상세 == 소선거구제 도입 이래 자민당이 우세를 점하고 있는 곳이다.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계 정당은 야권이 압승한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때만 이 선거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현역 [[오구라 마사노부]] 의원은 [[도쿄대학]] 법학부 졸업 후 [[일본은행]]에서 일한 젊은 엘리트 정치인이다. [[1981년]]생으로, [[고이즈미 신지로|펀쿨섹좌]]와 동갑이다. [[2009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금융경제학 석사 학위까지 받았다. [[2011년]] 만 30세에 자민당 도쿄 23구 지역구 지부장 공모에 참여해 당의 낙점을 받았고, 다음해인 [[2012년]]에 만 31세의 젊은 나이로 중의원 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 일본에서는 이력이나 스펙이 완벽하고 반듯하면 꼭 정치인 집안이 아니더라도 젊은 나이에 지역구 지부장에 공모해 당선되는 케이스가 어느정도 빈번하다. 총무대신 정무관, 자유민주당 청년국장을 거쳐 현재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재임중으로 젊은 정치인 중 에이스급이다. 한편, 오구라 이전에 이곳 터줏대감이던 자민당 이토 고스케 의원의 아들인 이토 슌스케는, 자민당이 아닌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 후보로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6회 총선]]에 출마해 오구라 후보에게 패했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그 다음 선거]]에서는 [[유신당]] 후보로 출마해 오구라에게 또다시 패했다. 세번째 도전인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에서 세번째로 오구라에게 패하지만,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석패율제를 통해 마침내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현재는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이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도쿄 제23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이토 고스케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구시부치 마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오구라 마사노부]]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토 고스케''' || '''85,03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37%'''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기타사토 마키오 || 46,821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1.13%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사세 준지로 || 45,182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0.3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쿠로사와 하츠메 || 40,870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44%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미네무라 요시오 || 3,686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6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1,594표 ||<|2> '''투표율'''[br]57.88%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토 고스케''' || '''100,27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9.5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게 히로코 || 87,23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43%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요코 || 36,11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25% || 낙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나가오 아키히사 || 20,986표 || 4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8.28%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츠카하라 미츠요시 || 6,172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44%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야마구치 히로시 || 2,570표 || 6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0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3,344표 ||<|2> '''투표율'''[br]62.93% || || 선거인 수 || 413,515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토 고스케''' || '''126,22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8.4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게 히로코 || 110,26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34%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마무라 준이치로 || 23,9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0,430표 ||<|2> '''투표율'''[br]61.11% || || 선거인 수 || 437,355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토 고스케''' || '''162,35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4.7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게 히로코 || 107,13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1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로야 토모히데 || 27,23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1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96,719표 ||<|2> '''투표율'''[br]67.95% || || 선거인 수 || 445,766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시부치 마리]]''' || '''168,34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4.4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토 고스케 || 108,52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5.0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루하시 요시야스 || 27,69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95%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마츠오 요헤이 || 4,885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5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309,458표 ||<|2> '''투표율'''[br]68.78% || || 선거인 수 || 461,00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구라 마사노부]]''' || '''87,19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0.1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시부치 마리]] || 63,96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2.12% || 낙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이토 슌스케 || 59,16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0.46%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시라카와 테츠야 || 39,676표 || 4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13.7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츠다 료스케 || 21,006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27%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이시이 타카시 || 18,125표 || 6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6.2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9,134표 ||<|2> '''투표율'''[br]64.29% || || 선거인 수 || 463,214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구라 마사노부]]''' || '''104,70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1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시부치 마리]] || 63,70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녹색당 그린스 재팬|[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그린스 재팬)]]] 추천] || 25.04% || 낙선 || ||<|2><#fff>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이토 슌스케 || 50,836표 || 3위 || || [include(틀:유신당)] || 19.9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츠다 료스케 || 35,16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4,417표 ||<|2> '''투표율'''[br]56.04% || || 선거인 수 || 466,399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구라 마사노부]]''' || '''110,52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95%'''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토 슌스케 || 76,450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1.09%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츠다 료스케 || 58,92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3.9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5,901표 ||<|2> '''투표율'''[br]55.79% || || 선거인 수 || 455,437인 || 자민당 오구라 후보가 3선에 성공했고, 희망의 당 이토 후보도 석패율제를 통해 3수만에 중의원 의원이 되었다. [[일본 공산당|공산당]] 마츠무라 후보도 24%를 득표하며 선전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23구}}}}}}'''[br]{{{#fff 마치다시, 타마시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구라 마사노부]]''' || '''133,20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1.25%'''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이토 슌스케 || 126,732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도쿄도 연합 추천] || 48.75%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59,938표 ||<|2> '''투표율'''[br]58.37% || || 선거인 수 || 458,998인 || 현역 자민당 [[오구라 마사노부]] 의원과 입헌민주당 이토 슌스케 의원이 재대결한다. 이번이 4번째 맞대결로, 지난 3번의 맞대결은 모두 오구라 의원이 이겼다. 이토 슌스케 의원은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을 거쳐 야권통합 과정을 통해 입헌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공산당은 하야카와 간 후보를 공천했다. 지난 총선의 공산당 득표율이 꽤 높았고, 산술적으로 야권 두 후보를 합치면 55%가 되기에, 입헌민주당이 공산당과의 단일화를 위해 꽤 공들일것으로 예상된다. 10월 13일 공산당이 입후보를 철회하면서 이토 의원이 야당 통일후보로 선거에 임하고, 오구라 의원과 1대1 대결을 벌인다. 호헌파 야권 단일화의 효과인지 20:00 발표된 NHK 출구조사 결과 입헌민주당의 이토 슌스케 후보가 자민당의 오구라 마사노부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승리, 지역구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근소한 차로 자민당 오구라 후보가 수성에 성공했다. 다만 오차범위 내 접전의 출구조사 결과였던지라 실제 결과도 초접전이었으며, 입헌민주당 이토 후보는 비례부활 당선을 지역구에서 패한 후보 중 제일 먼저 확정지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도쿄도의 선거구가 '''5석'''이나 증가함에 따라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타마시]] 일부를 30구에 넘기면서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민당에서는 [[오구라 마사노부]] 의원의 고향인 타마시가 30구로 넘어가긴 했으나 이 곳에 그대로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도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