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8><#73d1f7> '''『[[서진|{{{#000 진서}}}]]』 「나헌등전(羅憲等傳)」''' || || [[나헌]] || [[등수(삼국지)|등수]] || [[마륭]] || [[호분(삼국지)|호분]] ||<#dcdcdc> '''도황''' || [[오언(삼국지)|오언]] || [[장광(서진)|장광]] || [[조유]] || 陶璜 생몰년도 미상[* 중국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290년]]경에 사망했다고 한다.]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 [[서진]]의 무장이며 [[자(이름)|자]]는 세영(世英)으로 [[도준(삼국지)|도준]]의 형이다. 양주 단양군 말릉현 사람. == 생애 == 269년 11월에 창오태수에 임명되면서 [[손호]]가 합포, 울림 등 여러 군에서 병사들을 인솔해 동쪽과 서쪽 군대가 함께 [[곽익]]을 공격하게 했는데, [[설후]], [[우사(삼국지)|우사]] 등과 [[서진]]에게 넘어간 교주를 탈환하기 위해 교지를 공격해 진의 교주자사인 [[양직]]과 싸웠지만 두 명의 장수를 잃고 패하자 설후의 노여움을 샀다. 설후가 적도를 토벌하자고 해놓고 장군을 잃은 것에 대해 이야기하자 부하들이 명령을 지키지 않다고 핑계대고, 양직의 부장인 동원을 야습해 보물들을 빼앗아 처벌만은 면했다고 한다. 설후로부터 교주를 다스릴 것을 명령받아 전부독에 임명되었으며, 271년에 합포에서 출발하여 바다를 통해 구진에 상륙하는 것으로 기습에 성공하여 구진태수인 동원이 유인하자 이를 간파해 서진군을 격파했다. 교주성에 틀어박힌 적을 분열시키기 위해 혜계의 동생이자 동원의 부장인 혜상을 수레에 태워 진 앞에 내보내 동원이 혜계를 죽이게 만드는 게 성공해 적 내부의 분열을 일으켜 구진 점령에 성공하면서 동원을 죽였다. 이후 설후와 합류해 10만 명으로 교지성을 공격하는데, 성에서 항복을 청하자 진나라의 장수인 [[곽익]]이 포위당한 지 100일 이내에 항복하면 가족들을 멸하고 100일이 지나면 곽익이 죄를 받기로 약속해 인정을 베풀어 군량을 보내는 것으로 시간을 끌었다. 그러나 곽익이 이미 죽은 후라 양직 등이 항복하자 교지를 점령하는 것에 성공했으며, [[모경]]은 끝까지 도황을 죽이려 해 모경을 죽였다. 교주자사에 임명되면서 구진의 공조인 이조가 진나라에 항복하자 군사를 보내어 탈환하거나 소수민족인 이료 등을 진압했으며, 교주목, 전장군 겸 교주목도독교주제군사에 임명되어 교주를 계속 다스렸다. [[손호]]가 무창도독으로 임명하려고 했지만 백성들이 계속 다스려 주길 원했기에 교주자사로 남았으며, 279년에 [[곽마]]가 반란을 일으키자 아우 도준과 함께 이를 진압하러 향했지만, 손오는 결국 반란이 진압되지 않은 상태로 서진의 침공을 받았고, 해가 바뀌자 손호는 서진에 항복했다. 도황은 서진에 항복하지 않으려 했지만 손호가 아들인 도융을 보내자 며칠을 울다가 항복했으며, 이후 계속 교주목을 지내면서 관군장군, 완릉후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사마염]]이 전국의 군사를 감축하자, 이를 반대하는 동시에 합포의 백성들에게 진주 채취로 인한 부담을 줄여 달라고 했지만 거부당했으며, 그가 세상을 떠나자 백성들이 슬퍼했다고 한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황(오).jpg|width=100%]]}}}|| || 삼국지 14 ||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무려 17년 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능력치가 70대, 무력은 다른 능력치보다 낮아서 60대이지만 전반적으로 어느 정도 쓸만한 장수다. 정확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67/70/74. 병법도 분전, 연사, 누선, 충차까지 있어서 공성전에 활용이 크다. 재야장수일 때는 계양 바로 남쪽인 창오(교지) 지역에서 탐색으로 발견할 수 있는데, [[영웅집결]]에서 유일하게 자기 지역 재야장수가 없는 [[조범/기타 창작물#s-2.1|조범]] 세력으로 플레이한다면 시나리오 초반 등용 1순위인 장수. 지력이 딱 70이니 초반엔 조범군의 군사(軍師)로도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든 채 앞으로 내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80, 무력 67, 지력 68, 정치 75,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6,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숲전, 교화, 위무, 조타,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장사, 충차, 전법은 분전, 견제, 충차, 구축,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트위터에서 삼국지 역대 시리즈의 얼굴개그 무장의 형으로 소개되었다. === [[삼국전투기]] === [[도신]]의 고진([[주윤발]] 분)으로 등장. 도씨여서 그렇게 설정된 듯하다. 교주 전투가 생략되면서 거의 공기이다. 그래도 능력은 뛰어나고, 그가 형주에 있었다면 호락호락 당하지 않았을지 모른다고 좋게 서술되었다. 삼국 통일 (5)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고, 소개컷에서는 에이스의 기량을 가졌다고 서술됐다. 삼국 통일 편에서 처음 등장. 당시 교주자사로 곽마의 난을 토벌하느라 바빴다고 묘사됐다. 도황은 끝까지 교주를 지키다가 진작에 항복한 손호가 투항을 권유하자 눈물을 흘리며 투항한 것으로 묘사됐다. [각주] [[분류:손오의 인물]][[분류:서진의 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