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형혁신학교]][[분류:금천구의 고등학교]][[분류:2002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혁신고등학교)] ||<-2> '''{{{#white {{{+1 독산고등학교}}}[br]禿山高等學校[br]Doksan High School}}}''' || ||<-2> [[파일:독산고등학교_교표.png|width=7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독산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2002년]]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교장''' || 이승섭 || || '''교감''' || || || '''교훈''' || 창의 자율 협동 || || '''상징''' || 교목: 소나무[br]교화: 장미 || || '''학생 수''' || 603명[br](2023년 기준) || || '''교직원 수''' || 76명[br](2023년 기준) ||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문성로 64([[독산동|독산3동]]) || || '''홈페이지''' || [[http://www.doksa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3동에 있는 [[혁신학교]]. == 역사 == === 연혁 === || 1998. 05. 16 || 신축 공사 착공 || || 2001. 12. 31 || 독산고등학교 개교 인가(36학급) || || 2001. 12. 31 || 초대 문수한 교장 취임 || || 2002. 03. 02 || 제 1회 입학식(9학급, 학생 282명) || || 2002. 11. 22 || 개교식 || || 2003. 12. 27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4. 03. 01 || 특별시교육청 지정 인성교육 선도학교 운영 || || 2004. 12. 27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5. 02. 15 || 제 1회 졸업식(9학급, 278명) || || 2005. 09. 01 || 2대 김용달 교장 취임 || || 2005. 12. 31 || 서울특별시교육청 과학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7. 02. 08 || '좋은학교 만들기 자원학교'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7. 02. 08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7. 02. 28 ||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부총리 표창 || || 2008. 12. 08 || '좋은학교 만들기 자원학교'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9. 09. 01 || 제 3대 권태익 교장 취임 || || 2010. 07. 30 || 에너지절약 '에코마일리지'제도 우수기관 서울시장 표창 || || 2012. 03. 02 || 제 4대 김홍섭 교장 취임 || || 2015. 09. 01 || 제 5대 성덕현 교장 취임 || || 2016. 03. 01 || 서울형 혁신학교 신규지정 || || 2019. 09. 01 || 제 6대 임영선 교장 취임 || || 2019. 10. 10 ||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여자탁구 고등부 우승 || || 2022. 01. 28 || 제 18회 졸업식(8학급, 216명) || || 2023. 09. 01 || 제 7대 이승섭 교장 취임 || == 교복 == [[교복]]의 정석인 [[남색]]의 슈트형 교복이다. 남녀 모두 [[니트]] 조끼를 입는다. 원래 [[2000년대]]까지는 특이하게도 여학생이 니트 조끼를, 남학생이 원단조끼를 입었으나, 이후에 하나로 통일한 것으로 보인다. 독산고 매점에는 독산고 로고가 박힌 회색 후드집업을 판다. 독산고등학교 교사들이 그 후드집업을 [[공동구매]]하여 자주 입고 다닌다. == 학교 생활 == === 일과 === ||<-2> '''{{{#ffffff 시간표}}}''' || || '''아침조회''' || 08:15~08:25 || || '''1교시''' || 08:30~09:20 || || '''2교시''' || 09:30~10:20 || || '''3교시''' || 10:30~11:20 || || '''4교시(1,2학년)/중식(3학년)''' || 11:30~12:20/11:20~12:20 || || '''중식(1,2학년)/4교시(3학년)''' || 12:20~13:20/12:20~13:10 || || '''5교시''' || 13:20~14:10 || || '''6교시''' || 14:20~15:10 || || '''7교시''' || 15:20~16:10 || || '''종례''' || 16:10~ || * 2021년까지 수요일은 6교시만 했었다. * 2022년부터 월요일과 금요일은 6교시만 한다. * 급식 순서는 3학년부터 역순이다. === 주요 행사 === * 수련회 및 수학여행: 5월 중순에 간다. 1학년은 [[수학여행]]을 가고, 2학년은 [[수련회]]를 가는데, 수학여행은 [[제주특별자치도]]로 간다. * 청솔제: [[여름방학]]이 끝난 후인 8월 말에 열리는 축제이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독산고등학교 (18-199) || [[서울 버스 5525|5525]] || || 난곡중학교/독산고등학교 (18-200/18-856) || [[서울 버스 5525|5525]], [[서울 버스 5616|5616]], [[서울 버스 금천08|금천08]] || == 출신 인물 == * [[옥냥이]] - 인터넷 방송인 == 기타 == * 인근 학교들로는 [[서울영남초등학교]], [[난곡중학교]], [[문성중학교(서울)|문성중학교]]가 있다. 그래서 재학생들 중에 영남초 - 난곡중 - 독산고 혹은 영남초 - 문성중 - 독산고 테크를 타는 학생도 여럿 있다. 이를 줄여 영난독 혹은 영문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울중학교]]도 한때는 인근에 있었으나[* 다만, 비슷한 곳에 붙어 있는 난곡중과 문성중과는 달리 이 학교는 좀 동떨어져 있었다.], 2016년에 흥일초등학교가 있었던 자리로 이사하였다. 흥일초등학교는 [[신흥초등학교#s-1|서울신흥초등학교]]와 통폐합. * 이 학교로는 대체적으로 가산동, 독산동, 특히 독산 2동/3동/4동 거주자들이 많이 배정된다. * 2000년대까지는 [[강당]]이 없는 인근 학교들의 [[공연]] 같은 것을 이 학교 강당을 빌려서 열곤 했으나, 현재는 인근 학교들에도 강당이 생겨서 이것도 이제는 옛말이다. * 이름은 독산고지만, 실제로는 독산동, 정확히는 금천구의 동북쪽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당장 옆으로 조금만 가도 관악구 [[신림동#s-3.11|미성동]]이 나온다. 바로 앞으로 마주보고 있는 난곡중도 마찬가지. * 학교 교훈부터가 자율과 창의성을 중요시하는지라 수업과 쉬는 시간 상관없이 휴대폰 사용이 가능하며, 사복을 입어도 되고[* 원칙적으로는 [[교복]]과 사복을 혼용하여 입는 것이 허용이지만, 사실상 사복 자율화나 다름없다. 가끔 사복 입고 지나가면 선생님이 교복/사복 혼용이냐고 가벼운 핀잔을 주시는 정도.], 화장, 염색, 파마도 대놓고 해도 되는 등 상당한 자유도를 자랑한다. * 학교 뒷편에 산이 있어 여름만 되면 교내에 벌레가 많이 출몰한다[* 교실 창문으로 고라니 등 야생동물도 가끔 보인다.]. * 아침 등교 시간에는 [[서울 버스 금천08|금천 08번 버스]]와 [[서울 버스 5525|5525번 버스]]가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버스여서 7시 50분쯤 버스를 타면 버스 안에는 학생들로만 가득 차 있다. *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생수가 많이 줄었다. 각 학년 모두 8학급이며, 2023년 기준 학생수는 1학년은 191명, 2학년 192명, 3학년 220명, 총 603명이다. * 해당 학교가 설립된 지 얼마 안되었을 당시에는 이 학교로 배정받으면 복 받는 것이라고도 했다. 정말 이 학교 옆에 사는데도 문일고등학교나 동일여자고등학교로 배정되는 경우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