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의 역사)] ||<-3> {{{+2 {{{#000 '''독일 기사단국'''}}}}}}[br]{{{#000 '''Deutschordensstaat'''}}}[br]{{{#000 '''Staat des Deutschen Ordens'''}}} || ||<-3> [[폴란드 왕국]]의 봉신국(1466 ~ 1525) || ||<-2> [[파일:튜튼 기사단 깃발.svg|width=150]] || [[파일:튜튼 기사단 문장.svg|width=100]] || ||<-2> {{{#000 '''국기'''}}} || {{{#000 '''국장'''}}}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4px-Ordensland1410.png|width=300]][br][* 지도의 군청색 영역. 중간에 비어있는 부분의 대부분은 주교령(로마 가톨릭 교회의 세속 영지)이다.] || ||<-3> {{{#000 '''1230년 ~ 1525년'''}}} || || {{{#000 '''위치'''}}} ||<-2>발트 지역|| || {{{#000 '''수도'''}}} ||<-2>[[말보르크 성|마리엔부르크]][* 현 폴란드 말보르크(Malbork). 기사단의 성채가 위치해있다](1230 ~ 1454) →[br][[쾨니히스베르크]](1454 ~ 1525)|| || {{{#000 '''정치체제'''}}} ||<-2>'''[[군정]]'''|| || {{{#000 '''국가원수'''}}} ||<-2>기사단장(호흐마이스터)|| || {{{#000 '''언어'''}}} ||<-2>저지 [[독일어]], [[발트어|고대 프로이센어]],[br] [[라틴어]]|| || {{{#000 '''종교'''}}} ||<-2>[[가톨릭]]|| || {{{#000 '''종족'''}}} ||<-2>프로이센 독일인, 발트계 프로이센인, 에스토니아인 || || {{{#000 '''통화'''}}} ||<-2>[[마르크]]|| || {{{#000 '''성립 이전'''}}} ||<-2>[[튜튼 기사단]] [br] [[에스토니아 공국]] [br] 프루사[* Prūsa. 발트족 계열의 선주민들이 살던 프로이센]|| || {{{#000 '''멸망 이후'''}}} ||<-2>[[프로이센 공국]], [[프로이센|왕령 프로이센]]|| || {{{#000 '''현재 국가'''}}} ||<-2>[[라트비아]], [[러시아]], [[리투아니아]], [br] [[스웨덴]], [[에스토니아]], [[폴란드]]|| [목차] ||<-3> 언어별 명칭 || || 저지 [[독일어]] || Ordensstaat / Prüßen || || [[독일어]] || Staat des Deutschen Ordens[br] / Ordensstaat / Preußen || || [[라틴어]] || Civitas Ordinis Theutonici[br]/ Borussia / Prussia || || [[폴란드어]] || Państwo zakonu krzyżackiego / Prusy || || [[영어]] || State of the Teutonic Order || [clearfix] == 개요 == [[1230년]]부터 [[1525년]]까지 발트 지역에 존재했던 [[튜튼 기사단]]의 국가. [[독일]]에서 '기사단국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독일 기사단국을 가리킨다. 근대 독일의 기원인 [[프로이센 왕국]]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오늘날 독일의 시조가 되는 국가라 볼수 있다.''' == 역사 == [[https://m.cafe.daum.net/shogun/UER/23|1편]], [[https://m.cafe.daum.net/shogun/UER/24|2편]] === 기사단국 건국 이전 === [[튜튼 기사단]]은 [[1190년]] [[예루살렘]]에서 십자군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 수도회로 처음 세워졌고, [[1198년]] 이교도와 싸우는 기사단으로 노선을 바꾸었다. [[1209년]] 헤르만 폰 잘차(Hermann von Salza)가 4번째 기사단장이 되자 튜튼 기사단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독일의 제후 가문 중 하나인 [[호엔슈타우펜 가문|호엔슈타우펜(Hohenstaufen)]]과 협력 관계을 맺으면서 정치적인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 [[예루살렘 왕국]]에서 벗어나 기사단 만의 나라를 세우기로 결심한 헤르만 폰 잘차는 [[1211년]] [[헝가리 왕국]]의 국왕 [[언드라시 2세]](András II)의 구호 요청을 받아들여 [[트란실바니아]] 지역으로 군대를 옮겼다. 그리고 기사단은 헝가리를 [[쿠만족]]으로부터 방어해주는 조건으로 버르처사그(Barczaság)[* 독일어로 부르젠란트(Burzenland), 당시 쿠만족이 활동하던 [[왈라키아]]와 인접한 [[트란실바니아]] 남동부 지역이다.] 지역을 하사받았다. 이후 기사단은 독일 이주민을 이주시키고 도시를 지었다. 하지만 기사단을 시기와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던 헝가리 귀족들은 때마침 [[5차 십자군]]에 참가했다가 참담한 실패를 겪은 후 고국으로 돌아온 언드라시 2세에게 기사단에게 하사한 영지를 회수할 것을 요구했다. 언드라시 2세는 처음에는 이 요구를 거절했으나 역시 기사단을 고깝게 본 언드라시의 장남인 트란실바니아 공작 벨러(Béla, 훗날의 [[벨러 4세]](Béla IV))는 귀족들 편에 서 아버지와 갈등을 빚었고 헝가리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느낀 기사단은 벨러가 왕위에 오르면 자신들과 갈등을 빚을거라 생각하고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기사단을 헝가리 산하에서 독립시켜 교황청 직속으로 놓아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독립 시도는 곧바로 발각이 되었고 기사단의 배신에 격노한 언드라시 2세는 [[1225년]] 기사단을 [[트란실바니아]]에서 추방했다. 헝가리에서 쫓겨난 기사단은 [[1226년]]에 폴란드 왕국의 마조프셰[* 현 [[폴란드]] [[마조비에츠키에]]로 수도 [[바르샤바]]가 있는 지역.] 공 콘라드 1세(Konrad I Mazowiecki)와 새로운 계약을 맺었다. 콘라드는 기사단을 프루시[* 과거 프로이센에서 살던 발트계 민족이다. 프로이센이란 지명은 여기서 왔다.] 족들로부터 자신의 영지 방어 및 새로운 영토 팽창을 위한 군사로 쓰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기사단은 자신들이 프루시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1230년]] 자신들을 후임하는 [[교황]]으로부터 프루시 지역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받았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협정을 맺어 리미니의 금인칙서를 통해 소유권을 확약받았다. 기사단은 교황과 황제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펼쳤으며 그 사이에 [[피아스트 왕조|폴란드 왕가]]와도 교류하였다. === 기사단국 건국과 발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2px-Teutonic_Order_1260.png]]|| [[1230년]] [[5월 16일]] 기사단은 콘라드 1세와 크루슈비츠 조약(Vertrag von Kruschwitz)을 맺었다. 조약 체결로 독일 기사단국이 건국되었다. 기사단은 프루시 원정 동안 해안 지역을 장악한 후 내륙 지방까지 손을 뻗친다. 정복한 지역에는 기사단의 성들이 지어졌으며, 이 성들은 훗날 도시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기사단에 정복된 지역에는 기독교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도시는 마리엔베르더,[* Marienwerder, 오늘날 [[폴란드]] 크비귄이다.] 프라우엔베르크[* Frauenberg, 오늘날 폴란드 프롬보르크이다.] 등이 있다. [[1237년]]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Schwertbrüderorden)이 튜튼 기사단에 병합되었다. [[1240년]]에는 훗날 [[블라디미르-수즈달]]의 대공이 되는 [[알렉산드르 넵스키]]와 네바 강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참패를 당했다. 당시 기사단은 [[바투 칸]]과 [[수부타이]]가 이끄는 [[몽골 제국군]]의 침공을 받고 쇠약해졌던 러시아 동북지역을 침공하였다.[* 참고로, 원래 기사단이 받았다가 회수당한 봉토였던 헝가리 동부 영토는 [[바투 칸]]의 헝가리 침공 과정에서 처참하게 파괴되었다.] 1240년 기사단은 [[프스코프]]를 함락시켰고 이에 [[1242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가 [[노브고로드 공국]]군을 이끌고 반격에 나섰다. 이 [[페이푸스 호]] 전투에서 기사단은 대패하면서 기사단은 루스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을 단념하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2px-Teutonic_Order_1410.png]]|| 기사단은 고개를 돌려 즈무쥐 지역과 리투아니아 지역을 공략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강대해진 리투아니아의 반격으로 기사단의 계획은 순탄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렵싸리 즈무쥐 지역을 폴란드의 양도라는 형식으로 손에 넣고 [[1283년]]까지 프루시 정복을 완료하였다. [[1291년]]에는 리투아니아 지역을 침공하여 상당한 영토를 확보했다. [[1343년]] [[폴란드 왕국]]의 [[카지미에시 3세]]는 독일 기사단국과 영토 조약을 체결하였다. 독일 기사단국은 폴란드 왕국에게 쿠야비, 도브진 지역을 반환하는 대신, 헤움과 그단스크 지역을 카지미에시 3세로부터 하사받는 형식으로 자국에 편입시켰다. [[1346년]] [[덴마크 국왕]] [[발데마르 4세]]는 19000 쾰른 마르크에 [[에스토니아 공국]]을 기사단에게 매각하였다.[* 부왕 [[크리스토페르 2세]]와 큰아버지 [[에리크 6세]]가 말아먹은 [[덴마크]]를 재건하기 바빴던 발데마르 4세에게 멀리 있어서 관리도 안되고 돈먹는 하마였던 에스토니아는 사치에 불과했다.] 이로써 기사단은 [[핀란드만]]까지 영토를 넓혔다. 기사단은 단원들을 주기적으로 보충하고자 주교구와 함께 정복 지역을 하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독일 본토로부터 기사들을 끌어들였다. 이 시기 기사단국은 국력이 신장하였고 구성 도시들 역시 발전하였다. === 쇠퇴와 해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2px-Teutonic_Order_1466.png]]|| 그러나 15세기 이후 기사단국은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동유럽에서는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혼인을 통해 [[폴란드-리투아니아]] 동군연합[* [[동군연합]]일 뿐 아직 연방이 성립된 것은 아니다.]을 결성하였다. 이 인적 연합(Unia Personalna)의 구성 이유 중 하나가 [[튜튼 기사단]]을 견제하는 것이었으므로 독일 기사단국의 몰락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쇠퇴일로를 걷게 된 것은 [[타넨베르크 전투]](1410)의 패배 이후.] 실제로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결성은 독일 기사단국에게 크나큰 위협으로 다가왔고 결국 양국 사이에 전쟁이 불가피해졌다. 양국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전쟁 준비를 서둘렀다. 튜튼 기사단은 서유럽 기사단으로부터 원조를 받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타타르 군대까지 포섭하였다. 결국 [[1410년]] 튜튼 기사단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사이에서 타넨베르크 전투([[그룬발트 전투]])가 벌어졌다. 1410년 [[7월 15일]] 양국의 군대가 타넨베르크 (그룬발트)에서 모여 대격전을 펼쳤다. 이 전투에는 약 2만 명이 참가했다고 추정된다. 타넨베르크 전투는 기사단의 대패로 종결되었다. 한때 수도인 [[마리엔부르크]]까지 위협받았던 기사단국은 [[1411년]] 제1차 토룬 조약을 맺고 기사단국이 영유하고 있던 즈무치 지역을 할양했다.[* 그러나 즈무치 지역은 폴란드 왕국에게 영구적으로 할양되는 것이 아니라 [[브와디스와프 2세]] 서거 이후에는 다시 반환되기로 합의되었다. 토룬 조약에서 폴란드는 거액의 배상금을 기사단으로부터 받았으나, 그 대신 전쟁 중 폴란드가 점령한 여러 성들은 독일 기사단국에게 반환되었다. 즉 타넨베르크 전투는 명실상부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승리였지만 연합은 그 승리를 정치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다만 이 전쟁의 결과 튜튼 기사단의 군사력이 확실히 와해되었다. - 정병권, '폴란드사 (세계각국사 23)', 1997, 64p] 이후에도 폴란드-리투아니아는 기사단을 여러번 공격했으며 결국 [[1454년]]~[[1466년]] 벌어진 13년 전쟁에서도 패배하여 제2차 토룬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의 결과 기사단은 왕령 프로이센이라고 불리는 [[서프로이센]] 지역과 동프로이센 서부 지역인 에름란트(Ermalnd)[* [[폴란드어]]: 바르미아(Warmia)]를 할양하였으며 이후 기사단장은 폴란드 국왕의 봉신이 되고 기사단국은 폴란드 왕국의 제후국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독일 기사단국은 끊임없이 폴란드로부터 독립을 시도했다. 이에 폴란드는 [[1519년]]부터 [[1521년]]까지 2년 동안 기사단국과 전쟁을 벌였다. 기사단에 대한 신성로마제국의 무관심 속에 폴란드에게 완패한 기사단은 결국 37대 기사단장인 [[알브레히트(프로이센)|알브레히트 폰 호엔촐레른]]이 신교로 개종하고 세속화했다. 1522년 뉘른베르크 신교도 회의와 [[비텐베르크]]에서의 [[마르틴 루터]]와의 만남이 계기였다. 1525년 4월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1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폴란드의 제후국인 [[프로이센 공국]]을 수립했다. 이 시기 독일 기사단국 일대에도 한창 루터교회가 퍼져나가는 상황이었고, 이미 기사단원 중 상당수가 루터교회로 개종한 상태였다. 덕분에 기사단국의 세속화 조치는 주민들이나 기사단원들의 별다른 반발없이 순조롭게 이어졌으며 독일 기사단국은 해체되었다. 다만 독일 기사단국이라는 국가가 사라졌을 뿐, 그 모체인 [[튜튼 기사단]] 자체는 리보니아 지부와 독일 지부로 나뉘어 계속 살아 있었다. 리보니아 지부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에 의해 멸망당했고[* 정작 [[리보니아]] 영토는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웨덴]], [[덴마크]]가 나누어가졌고 모스크바 대공국은 아무 영토를 얻지 못했다.], 독일 지부는 1808년까지 이어지다 나폴레옹에 의해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면서 영지가 몰수된 관계로 잠시 해체되었다가 1834년 재건되어 21세기인 지금까지도 가톨릭 봉사단체로서 남아있다. == 조직과 이념 == [[https://m.cafe.daum.net/shogun/UER/25|조직과 이념 1편]], [[https://m.cafe.daum.net/shogun/UER/26|조직과 이념 2편]] == 여담 == 독일 기사단국의 국기는 오늘날 [[스웨덴]]이나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이 쓰는 국기들과 다소 유사한 형태이다. 실제로도 [[북방 십자군|북방 십자군 전쟁]]과 관련이 있다.[* 덴마크 국기는 [[발데마르 2세]]의 [[에스토니아]] 정복 과정에서, 스웨덴 국기는 [[핀란드]] 십자군 과정에서 탄생했다.] 이후 [[독일]]도 1919년과 1948년에 각각 북유럽식 십자가 도안으로 된 국기를 도입하려 했다가 무산된 역사가 있다.([[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SVG_proposed_flags_of_Germany|#]]) 단, 철십자가는 프로이센에서 독일 제국과 나치 독일을 거쳐 현대 독일 연방군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참고 문헌 == * 김용덕, '중동부유럽으로의 독일 진출과 그 결과 - 11-14세기를 중심으로 -' * 정병권, <폴란드사 (세계각국사 2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 [[http://www.worldstatesmen.org/Religious_Organizations.html#Teutonic|Teutonic Order-worldstatesmen]] == 관련 문서 == *[[독일/역사]] *[[동방식민운동]] *[[십자군]] *[[튜튼 기사단]]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알브레히트(프로이센)]]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동프로이센]] *[[말보르크 성]] *[[리보니아]] [[분류:독일의 역사]][[분류:기사단국]][[분류:십자군 국가]][[분류:튜튼 기사단]][[분류:16세기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