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독(독일민주공화국)의 위성정당, rd1=독일 민족민주당(동독))] [include(틀:네오나치즘)] [include(틀:파시즘)] ||<-2> [[파일:독일 민족민주당 로고.png|width=200&height=200px]] || ||<-2><#8B4726> '''{{{+1 독일 민족민주당}}}[br]Nation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 || '''약칭''' ||'''NPD''' || || '''슬로건''' ||'''Die soziale Heimatpartei[br]사회적인 조국의 정당''' || || '''창당일''' ||[[1964년]] [[11월 28일]] || || '''전신''' ||[[독일 사회주의국가당]][br][include(틀:독일 국가인민당)][br][include(틀: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사실상) || ||<|2> '''당사 주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elenbinderstraße 42)]}}} || ||젤렌빈더가 42, 12555 [[베를린]] || || '''당수''' ||프랑크 프란츠 (Frank Franz) || || '''창립자''' ||발데마어 쉬츠 (Waldemar Schütz) || || '''이념''' ||[[초보수주의]][br][[네오 나치즘]][br][[우익]][[극단주의]][br][[범게르만주의]][br][[네오 파시즘]][br][[우익대중주의]][br][[국민보수주의]][br]독일 [[내셔널리즘]][br][[교권 파시즘|기독교 파시즘]][br][[국가자본주의]][br][[반유대주의]] || || '''스펙트럼''' ||[[극우]] || || '''[[독일 연방의회|{{{#8B4726 연방의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4726 calc(0*100%/736), #aaa 0%)" {{{#fff '''0석 / 736석 (0.0%)'''}}}}}} || || '''[[독일 연방상원|{{{#8B4726 연방상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4726 0%, #aaa 0%)" {{{#fff '''0석 / 69석 (0.0%)'''}}}}}} || || '''[[유럽의회|{{{#8B4726 유럽의회}}}]]{{{-3 [* 96석은 유럽의회에서 제공되는 독일 의석에 한정된다. 유럽의회 총 의석은 총 705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4726 0%, #aaa 0%)" {{{#fff '''0석 / 96석 (0.0%)'''}}}}}} || ||<|4>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0;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독일제국 국기색 (#00000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 border: 1px solid #1f2023;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000 독일제국 국기색 (#FFF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e0000;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독일제국 국기색 (#DE000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8B4726;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갈색 (#8B4726, {{{-2 관례상}}})}}}}}} || || '''당보''' ||독일의 목소리 (Deutsche Stimme) || || '''청년조직''' ||젊은 민족주의자 (Junge Nationalisten) || || '''유럽 정당''' ||[[https://en.wikipedia.org/wiki/Alliance_for_Peace_and_Freedom|자유와 해방을 위한 동맹 (Alliance for Peace and Freedom)]] || || '''유럽의회[br]교섭단체''' ||[include(틀:무소속)] (Non-Inscrits) || || '''공식 사이트''' ||[[https://npd.de/|npd.de]]|| [목차][clearfix] == 개요 == [[독일]]의 [[초보수주의]] 정당. 독일 내 [[네오 나치]]를 대표하는 정당으로 [[독일을 위한 대안]]이 등장하기 전에는 주의회나 [[유럽의회]]에서도 의석을 확보하는 등 독일 내에서 큰 위세를 떨친 극우 정당이었다. 다만 현재는 비교적 온건한 [[독일을 위한 대안]]이라는 대체 정당이 생김에 따라 악명이 예전만 못하다. == 역사 == === 초창기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이 [[1952년]] 해체되었으며, 1950년 창당된 또다른 네오나치 정당인 독일 국가당(Deutsche Reichspartei) 역시 지지율이 좋지 못하였다. 구 나치 세력이 [[오스트리아 자유당]]을 창당하며 당세를 어느정도 유지했던 오스트리아의 사례를 본 독일의 네오나치들은 1960년대 [[네오 나치]] 세력의 단일 대오를 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독일 제국당을 중심으로 1933년 해체된 [[독일 국가인민당]]의 잔존 인원들, 그리고 구 [[나치당]]의 멤버들, 기타 극우파들을 모아서 민족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창당 당시에는 [[라인강의 기적]]이 슬슬 끝나가고 있을 때였고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장기 집권하고 있던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기민당 정부에 대하여 불만 여론이 높던 상황이었다. 게다가 [[동독]]의 방첩 기관인 [[슈타지]]가 서독의 혼란을 조장할 목적으로 민족민주당을 지원하면서, 민족민주당은 기민당의 기존 지지자들을 흡수하여 창당 직후 치러진 1965년 총선에서 2.0%를 얻으며 선전하였다. === 첫번째 전성기와 몰락 === 리즈 시절인 1969년 총선에서는 무려 '''4.3%'''를 얻으면서 선전했는데, 만약 0.7%만 더 받았더라도 연방 의회 진출이 가능했기 때문에 독일의 정치인들은 식겁했다. 만약 아슬아슬하게 5%를 득표했더라면 20~30석 내외의 의석을 확보하였을것이며, 현대 독일에서 네오 나치들의 목소리가 더욱 컸을 것이다. 더불어 [[바이에른]]주 의회에서 15석, [[헤센]]주 의회에서 8석, [[니더작센]][* 이 주는 특히 전통적인 좌파 세력의 텃밭이었기에 충격을 몰고왔다.]에서 10석을 확보하며 전성기를 맞는다. 하지만 [[빌리 브란트]]의 과거사 청산 정책, 의석 확보 실패에 대한 당내의 분열, 위헌정당 해산을 피하기 위한 애매모호한 정책 등으로 인하여 1970년대에는 지지율이 폭락하였고 그 결과 독일 통일때까지 변변찮은 군소정당의 신세를 피하지 못하게 되었다. === 두번째 전성기 === 독일 민족민주당의 두번째 전성기는 [[독일 재통일|독일 통일]]로 인한 동독의 불만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서독과 동독의 빈부격차 차이가 근본적인 문제였지만, 동독의 미적지근한 과거사 청산도 민족민주당의 지지가 동독에서 높아지는데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나치 청산과 유대인 학살 사죄를 이루어낸 서독과 달리, 동독은 국가 차원에서 [[독일 민족민주당(동독)|민족민주당]]이라는 이름으로 관제(...) 네오 나치 정당을 지원했던 적도 있었고, "나치는 나치이고 우리는 우리이며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이기 때문에 사과할 책임이 없다"[* 사실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긴 하다. 동독의 초대 지도자인 [[발터 울브리히트]]는 동독 건국 이전부터 [[파울 요제프 괴벨스]]의 단골 토론 상대였으며 나치 독일 시대에 수많은 공산당원들이 학살당했다.]는 식으로 과거사 청산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민족민주당은 이런 배경 속에서 동독을 기반으로 세를 확장할 수 있었다. 2004년 민족민주당은 [[작센]] 지역에서 전체 투표의 '''9.2%'''를 얻으며 원내에 입성했으며 이는 독일 기성 정치권에 파장을 몰고왔다.[* 작센은 이후 [[독일을 위한 대안]]의 표밭이 되면서 독일 극우파의 수도로서의 입지를 공고히한 상태이다. 이 때문에 네오 나치나 극우에는 시큰둥한 서독 시민들은 작센 주를 나치의 본고장 취급하는 [[지역드립]]을 하기도 한다.] 뒤이은 2005년의 총선에서 민족민주당은 1.6%의 득표를 얻었다. 높은 득표라고 할 수는 없었지만, 동독 지역에서는 모두 3%를 넘기며 선전했다. 2007년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회 선거에서는 '''7.3%'''를 득표하며 마찬가지로 주의회 원내 입성에 성공했다. 이러한 독일 민족민주당의 표세 확장은 서독과 여러 구미권 언론들에게 우려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민족민주당의 우도 포이그트(Udo Voigt)가 유럽 의원으로 당선되며 그런 우려는 절정에 달했다. === 근황 === 2016~7년을 전후해, 조금 더 온건한(...) 성향의 극우파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이 등장하면서 민족민주당의 전성기는 끝나가는 상태이다. 2016년 주의회 선거를 마지막으로 민족민주당은 모든 의석을 잃었으며, 기존의 네오 나치들도 대부분 대안당으로 당을 이적하고 있어 현재 당원은 5,000명 정도 밖에 안된다. == 성향 == 당 색이 [[독일 제국]]의 국기였던 흑백적 삼색기의 색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독일 제국]]의 강역 회복을 주장하며 [[슐레지엔]], [[오스트프로이센]] 등 제1~2차 세계 대전의 조약으로 빼앗긴 독일의 영토를 되찾는 것을 정책으로 내걸고 있다. 또한 [[네오 나치]] 정당답게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안슐루스|합병]] 역시 지지한다. [[홀로코스트]]는 부정하지 않지만[* 독일에서는 홀로코스트 부정을 위법으로 하여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헌정당 해산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 대신 [[연합군]]과 [[소련군]]의 학살을 홀로코스트와 동급에 놓는 [[물타기]]식 주장을 자주 한다. [[아우슈비츠]]에서 학살된 유대인을 위한 추모의 시간은 있으면서, [[드레스덴 폭격]]으로 사망한 민간인들을 위한 추모의 시간은 없냐며 말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영국]], [[미국]]을 대량 학살을 저지른 국가라고 주장하는 급진파 당원들도 존재한다. [[유럽연합]]과 [[나토]]에도 부정적이며 유럽연합은 사실상 소비에트식 사회주의 연합이라며 맹렬히 비난한다. [[반유대주의]] 성향도 있다. 또한 파시즘 극우 정당답게 성소수자, 페미니즘, 낙태등에서도 매우 부정적이다. == 해산 떡밥 == 독일 내에서 [[독일을 위한 대안]]과 더불어 당 해산 떡밥이 도는 정당중 하나이다. 실제로 2001년 [[연방헌법수호청]]은 민족민주당의 해체를 청원하였으며, 여러 시민들의 지지 속에서 통과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2003년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민족민주당이 "체제 자체의 전복을 추구하지는 않는다"라는 이유로 해체 청원을 기각하였다. 네오나치즘을 추종하는 것은 맞지만, 어디까지나 법의 테두리 속에서 활동하며 그것을 뒤집으려는 폭력적인 시도나 주장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해산은 부적절하다는 것. 2009년 몇몇 주의원들의 주도로 민족민주당의 반헌법적 행동을 다룬 보고서가 발간되었고 이에 따라 2차 해체의 떡밥이 불었지만, 이 경우에는 헌법재판소까지 가지도 못하고 떡밥으로 그쳤다. 2011년에는 살인 사건에 연루되어 또다시 해산 위기를 맞았으나, 이 역시 기각되었다. 1년 이후인 2012년 12월에는 다시 해체 시도가 있었고 이 경우에는 16개 연방주의 내무장관들이 모두 동의하며 확률이 높았지만,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일단락되었다. 가장 최근의 시도는 2016년에 있었는데, 연방헌법재판소는 [[안습|당을 해체하나 마나 사실상 중앙 정계에 영향력이 전무한 정당이기에(...)]] 해체할 이유가 없다며 청원을 기각했다. 대신 연방헌법재판소는 반체제적 정당에 대한 재정 지원 배제를 권고했고, 이에 따라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기본법]]이 개정되었다. 그러나 독일 민족민주당이 재정지원 배제 정당으로 청구되지는 않았는데, 제안이 있기는 했으나 [[좌파당(독일)|좌파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좌파당은 일부 계파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추종한다는 혐의가 있어 해체 주장이 몇번 있어왔다.] == 역대 선거 결과 == === 연방하원 선거 === 득표수와 득표율은 비례대표를 기준으로 한다. * 1965년 664,193표 (2.0%) * 1969년 1,422,010표 (4.3%) * 1972년 207,465표 (0.6%) * 1976년 122,661표 (0.3%) * 1980년 68,096표 (0.2%) * 1983년 91,095표 (0.2%) * 1987년 227,054표 (0.6%) * 1990년 145,776표 (0.3%) * 1994년 145,776표 (0.3%) * 1998년 126,571표 (0.3%) * 2002년 215,232표 (0.4%) * 2005년 748,568표 (1.6%) * 2009년 635,525표 (1.5%) * 2013년 560,828표 (1.3%) * [[제19대 독일 연방하원 선거|2017년]] 176,715표 (0.4%) * [[제20대 독일 연방하원 선거|2021년]] 64,608표 (0.1%) === 유럽의회 선거 === == 여담 == * [[그가 돌아왔다]]의 영화판에서 2014년의 독일에 부활한 [[아돌프 히틀러]]에게 신나게 털린다. 아이러니하게도 작중에서 언급되는 정당.[* 기민당, 기사당, 사민당, 녹색당, 민족민주당.] 허름한 당사의 모습을 보고 "내가 [[맥주홀 폭동]]을 일으켰을 때의 맥주홀보다도 초라하다."라고 까며, 이후 민족민주당 당수와의 일대 일 대담에서 "'''민족'민주'당이 뭐냐? 민족사회주의는 애초에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인데?'''", "'''겨우 독일 안에서 구하기 어렵다는 이유만으로'''[* 영화 촬영 중이었던 2014년에는 아직 나의 투쟁이 독일에서 발간되기 전이었다. 2015년에 히틀러의 사후 70년이 지나 저작권법에 따라 퍼블릭 도메인이 되어 나의 투쟁이 겨우 독일 내에서 출판된다.] '''[[나의 투쟁(자서전)|나의 투쟁]]도 안읽어보고 민족사회주의 타령을 하는 건 뭐냐?'''"라는 식으로 네오 나치들을 완전히 털어버린다. 이 일로 아돌프 히틀러는 네오 나치들의 적이 되어, 네오 나치들에게 집단 린치를 당한다. 이후 히틀러는 민주주의의 수호자 취급을 받으면서 독일 부총리 [[지그마어 가브리엘]][* 이 사람은 실존 인물이며, '''과거 히틀러에게 가장 강경하게 반대하던 사회민주당의 2014년 당시 당수였다.''' 당연히 노린 것이다. 참고로 영화 초반부에서 히틀러는 이 사람을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과거 사민당의]] [[오토 벨스|용맹한]]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보이는 추악한 [[푸딩]]놈"이라고 깐 바 있다.]에게 축하 편지까지 받는다. * 네오 나치 정당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중앙당사가 구글 스트리트맵에서 통째로 블러 처리 되어있다. 이곳은 [[그가 돌아왔다]]에서도 나온 당사이다. [[분류:독일의 정당]][[분류:국민보수주의 정당]][[분류:나치]][[분류:파시즘 정당]][[분류:1964년 정당]] [include(틀:포크됨2, title=독일 민족민주당, d=2023-02-23 1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