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1년 정당]][[분류:1933년 해체]][[분류:독일의 없어진 정당]][[분류:민주사회주의 정당]][[분류:바이마르 공화국의 정당]] ||<-2> [[파일:Sozialistische_Arbeiterpartei_Deutschlands-01.svg|width=200&height=200px]] || ||<-2> '''Sozialistische Arbeiterpartei Deutschlands (SAPD)''' || ||<-2> '''슬로건''' || || '''영문 명칭''' ||Socialist Workers' Party of Germany || || '''한글 명칭''' ||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 || || '''창당일''' ||[[1931년]]|| || '''해산일''' ||[[1933년]]|| || '''전신''' ||[[독일 사회민주당]][br]독일 공산당(반대파)[* KPD(O) 또는 KPO. [[독일 공산당]]과는 별개의 정당이다.][br][[독일 독립사회민주당]]|| || '''후신''' ||[[독일 사회민주당]] || || '''중앙당사''' ||[[바이마르 공화국]] [[베를린]]|| || '''대표''' ||XX || || '''이념''' ||[[중도 마르크스주의]][br][[민주사회주의]] || || '''정치적 스펙트럼''' ||[[좌익]]||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000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적색{{{-2 (#ff0000)}}}}}}}}}|| || '''당원 수''' ||XXXX명|| || '''당가'''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 || '''국제조직''' || || || '''국내조직''' || || || '''청년조직''' ||독일 사회주의 청년조직 (Sozialistischer Jugend-Verband Deutschlands) || || '''기타 조직'''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 || '''기관지''' ||[[https://en.wikipedia.org/wiki/Sozialistische_Arbeiter-Zeitung|사회주의 노동자신문 (Sozialistische Arbeiter-Zeitung)]] || || '''당기'''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31년]]에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공산당(반대파)에서 [[탈당]]한 [[당원]]들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이 함께 창당한 [[중도 마르크스주의]], [[민주사회주의]] 정당이다. == 역사 == [[1931년]]에 [[독일 사회민주당]] 및 독일 공산당(반대파)에서 탈당한 당원들과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이 함께 [[신당]]을 창당했는데, [[1875년]]부터 [[1890년]]까지 사민당이 사용한 당명인 [[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1875년)|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과 같은 당명을 채택함으로써 스스로 [[독일]] [[사회주의]] 진영의 적통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일부 사민당원들이 합류하긴 했어도 전신인 독일 독립사민당이 워낙 당세가 약한 원외정당[* [[1920년]]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총선]]에서는 사민당 다음으로 많은 의석을 확보한 '''원내2당'''이었으나, [[개량주의]] 온건파 당원들이 사민당으로, [[혁명적 사회주의]] [[극좌파]] 당원들이 [[독일 공산당|공산당]]으로 빠져나가고, 이도저도 아닌 [[중도 마르크스주의]] 당원들만 남으면서, 바로 다음 총선인 [[1924년]] 5월 총선에서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이라서, 창당 다음 해인 [[1932년]]에 열린 두 차례의 총선에서 이렇다할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며 [[라이히스탁|의회]] 진출에 실패했고, [[히틀러]] 집권 직후에 치러진 [[1933년]] 3월 총선에는 아예 [[공천]]조차 하지 못해서 불참했다. 그리고 같은 해에 [[나치당]]이 [[수권법]]을 통과시키고 [[일당제|모든 야당을 금지하면서]] 독일 사회주의 노동자당은 짧은 역사를 마감하고 강제 해산되었다. 이후 당원들이 해외 또는 지하에서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했으나, 워낙 [[군소정당]]이라서 [[2차 대전]] 종전 이후에도 당을 재건하는데 실패하여 대부분의 당원들이 사민당에 입당했다. 다만 사회주의 노동자당 소속이었던 인물 중에서 '''[[빌리 브란트]]'''가 [[서베를린]] 시장을 거쳐 사민당 대표 자리에 오른 후, 전후 최초의 사민당 소속 [[독일 총리|총리]]가 되고 [[동방 정책]]을 추진하여 [[노벨평화상]]까지 받고 [[동서독 통일]]에 기여했으므로, 간접적으로나마 역사에 족적을 남기긴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독일 사회주의 관련 문서)] [include(틀:바이마르 공화국의 주요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