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독일어]]: Afrodeutsche [[영어]]: Afro-Germans/Black Germans 국적이 [[독일]]인 [[흑인]]을 말한다. [[아프리카계 유럽인]] 가운데 [[프랑스 흑인]], [[영국 흑인]], 포르투갈 흑인, [[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이탈리아 흑인]]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혼혈 포함 약 100만 명 정도이다.[* 단 아프리카계 흑인은 50만 명 수준이다.] 하지만 전체 인구의 비율상으로 보면 [[프랑스]][* 현재 유럽 전역에서 인구 수 상으로나 인구 비율 상으로나 가장 흑인이 많이 사는 나라이다.],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포르투갈]]보다는 낮은 편인 1.2% 이다.[* 그마저도 북아프리카 혈통을 제외하면 0.6% 정도로 미약한 편.] == 역사 == 처음으로 [[독일]]에 흑인이 온 것은 [[17세기]]였다. [[18세기]]에는 [[네덜란드]]가 세운 [[동인도회사]]가 흑인들을 노예로 유럽에 데려왔고 1720년에 안톤 빌헬름 아모(Anton Wilhelm Amo)가 독일에선 흑인 처음으로 대학에 들어갔다. 1884년부터 1918년 사이에 [[독일 제국]]이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만들면서 식민지 출신 흑인들이 넘어오게 된다. 이들은 나치가 들어서자 여권을 박탈당하는 등 [[인종차별]]을 당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01I-177-1465-16%2C_Griechenland%2C_Soldaten_der_%22Legion_Freies_Arabien%22.jpg|width=400]] [[나치 독일]]의 외인부대인 자유아랍군단(Freis Arabien Korps) 소속의 흑인.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카리브]] 출신의 [[영국 흑인]]이나 [[프랑스 흑인]], 미국에서 건너온 [[미국 흑인]] 등이 독일에서 근무했고 이들은 독일 현지인들과 자녀를 낳기도 했다. 이들은 본국에서 키워지기도 했으나 독일인 어머니 밑에서 [[미혼모]] 자녀로 자라기도 했다. 1981년에 독일이 [[나이지리아]]와 [[가나]] 등에서 이민을 받아들이면서 독일 흑인의 숫자는 늘어난다. 주로 운동 선수 등에 많이 포진한다. 이러한 이민자 출신 선수들 중 모국의 국적을 선택하는 경우가 조금씩 늘고 있다. [[케빈-프린스 보아텡]]이나 [[에릭 막심 추포모팅]]은 아프리카계라 각각 가나와 카메룬을, 미국계 독일 흑인인 [[줄리언 그린]]과 [[게디온 젤라램]]은 미국으로 국적을 전환했다. 아무래도 독일 국대에서 뛰는데 한계가 많다는 생각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르로이 사네나 게랄드 아사모아, 제롬 보아텡 등의 반례도 있다. 1970~80년대를 풍미했던 디스코 그룹인 보니 엠([[Boney M.]])도 자메이카에서 독일로 건너온 흑인들로 구성된 그룹이다. [[프랑스]]나 [[영국]]에 비해서 흑인의 비중이 그리 많지 않은데 이유는 나치 독일의 인종차별적 정책 때문에 흑인들이 거주할 여건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고 독일령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식민지가 비교적 규모가 작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독일인]]들이 티는 내지 않으려고 노력은 하지만 이웃 [[네덜란드]], [[벨기에]]나 [[프랑스]], [[영국]], [[포르투갈]]에 비해서는 독일 국민들의 흑인에 대한 적응감이 좀 약한 편.[* 그래도 같은 독어권인 [[스위스]], [[오스트리아]]나 여러 [[동유럽]]국가들 보다는 나은 편이다.] 하지만 현재 [[아프리카]]계 독일인의 인구수는 100만명이 훌쩍 넘었으며 그중 절반은 [[마그레브]]국가 출신들이며 절반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계 출신들이다. == 인물 == * [[게랄드 아사모아]] * [[베냐민 헨릭스]] * [[다비 젤케]] * [[데니스 아오고]] * [[데니스 슈뢰더]][* 독일-미국 이중국적] * [[다비드 오돈코어]] * [[디나 드누아르]] * [[레로이 자네]] * 롭 필라투스[* 립싱크 사기극으로 유명한 듀오 그룹 [[밀리 바닐리]]의 맴버중 한명으로 립싱크 들통 이후 같은 맴버였던 팹 모반과 함께 재기를 노려보나 실패하고 이후 1998년 32살의 나이로 약물 중독으로 요절했다.]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로빈 졸코비]][*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아버지가 [[탄자니아]]인이다. 2차례 동계올림픽 페어 동메달리스트이다.] * [[세르지 나브리]] * [[시드니 샘]] * [[안토니오 뤼디거]] * [[유수파 무코코]] * [[자지 비츠]] * [[저메인 존스]][* 독일-미국 이중국적. 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대표팀 선발에 관한 FIFA 규정 변경을 통해 미국 국가대표팀으로 옮겼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때 미국대표로 출전했다.] * [[제롬 보아텡]] * [[조나단 타]] * [[존 브룩스]][* 독일-미국 이중국적. 독일 U20 축구팀 대표로 뛰었으며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는 미국대표로 출전했다.] * [[티머시 챈들러]][* 독일-미국 이중국적.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미국 대표로 뛰었다.] * [[틸로 케러]] * [[파비안 존슨]][* 미국 흑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청소년 대표까지는 독일 대표로 뛰었으나 성인 국가대표부터는 미국대표로 출전하고 있다.] * [[애런 알테어]] * 빌리 모[* 독일의 연주가 (1923-2004). 카메룬 주둔 독일군 아버지와 아프리카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 가공 인물 == * [[프리징(만화)/등장인물#s-1.2.2.2|클레오 브런트]]- [[프리징(만화)|프리징]] [* 인종은 피부색을 봤을 때 흑인으로 유추될 뿐이지만 국적은 독일이 맞다.] * [[한스 타이드먼]] - [[데드 스페이스]] [[분류:아프리카계 독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