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본명 || 도널드 캘리스(Donald Callis) || || 생년월일 || [[1967년]] [[10월 13일]] || || 신장 || 188cm || || 체중 || 95kg || || 출생지 || 캐나다 매니토바 주 위니펙 || || 별명 || || || [[피니쉬 무브]] || || || 커리어 || AWA 태그팀 챔피언 1회 [br] BCW 캔암 태그팀 챔피언 1회 [br] 루트 라나우디에르 태그팀 챔피언 1회 [br] 2002년 PWI 500대 싱글레슬러 상위 500명 중 345위 [br] IWA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WFWA 캐나다 헤비웨이트 챔피언 5회 || == 개요 == 전 [[WWE]], [[ECW]], [[TNA]], 프로레슬링 선수 및 매니저, 해설위원으로 현재는 AEW에서 활동중이다. WWE에서는 잭킬로 활동했다. == 커리어 == 그는 지역 레슬링 프로모터 토니 컨델로의 훈련을 받고 1989년에 데뷔한다. 그는 돈 카사블랑카스라는 이름으로 사이코와 함께 '대혼란 용병단'이라는 태그팀을 결성해서 골든 시크를 매니저로 데리고 다닌다. 1990년, 칼리스는 WFWA에 데뷔해서 다섯 차례의 캐나디안 헤비급 챔피언을 지낸다. 그는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바논에서도 경기를 뛴다. 1996년, 그는 [[WWE]]에서 트라이아웃 경기를 뛰지만 매니저로 고용되었다. 그리고 1997년 9월 20일, 캘리스는 '진상조사의원회'의 멤버 재킬로서 [[WWE]]에 데뷔한다. 이 집단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온 용병들의 집단이라는 설정이었다. 교주 느낌을 풍기며 선수들을 이끌던 그를 보며 [[짐 로스]]는 그를 ‘WWE의 데이비드 코레시’라고 부른다. 재킬은 가끔 가다가 샷건 하우스 쇼에서 경기를 뛴다. 고향 위니펙에서는 제너럴이라는 이름으로 [[짐 나이드하트]]를 상대하지만 패배했다. 그는 주로 [[커간|인터러게이터]]와 행동을 같이 한다. 1997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트루스 커미션은 디사이플스 오브 아포칼립스를 상대로 승리합니다. 하지만 레슬매니아 14에서 열린 태그팀 배틀에서 열린 태그팀 배틀 로얄에서 재킬의 지시를 받은 커간이 같은 팀인 리컨과 스나이퍼를 탈락시키며 이 팀은 붕괴되었다. 1998년, 다시 방송에 복귀한 커간은 ‘기이한 인간들의 대행진’이라는 스테이블을 결성한다. 괴이한 거한들인 [[어스퀘이크(프로레슬러)|골가]]와 [[커간]]이 인세인 클라운 파시의 랩에 맞춰 춤을 추며 등장한다. 하지만 재킬은 이 팀에 오래 관여하지 않고 새로운 태그팀 파룩과 브래드쇼에게 손을 뻗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방출당한다. 칼리스는 [[크리스 제리코]]가 [[WWE]]에 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백스테이지에서 핵폭탄 취급을 받았으며 [[하디 보이즈]]는 선배들로부터 칼리스를 괴롭히라는 명령을 받는다. 칼리스는 2015년 MSG 라이브 이벤트 때 관중석에서 친구 제리코의 소개를 받았다. 1999년 중순, 사이러스 더 바이러스라는 이름으로 [[ECW]] 해설자로 데뷔한 캘리스는 [[WWE]] 때와 비슷한 기믹을 사용했다. 그는 TNN 방송국에서 보낸 감시자 역할을 수행하며 [[조이 스타일스]]와 함께 [[ECW]]를 중계하게된다. 이것은 실제 [[ECW]]와 TNN 사이의 갈등을 반영한 각본이었다. 그는 악역을 수행하며 [[ECW]] 팬들에게 미움을 받지만 해설자로서는 매우 조리있고 편파적이지 않은 해설을 계속 구사한다. 조엘 거트너와 자주 부딪혔는데 주로 거트너를 갈구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그는 권력을 휘두르며 [[ECW]]를 장악하려는 시도를 한다. 사이러스는 [[스티브 코리노]]·잭 빅토리와 손을 잡고, [[TAJIRI|타지리 요시히로]], [[라이노(프로레슬러)|라이노]]를 고용해서 하드코어에 반대하는 스테이블을 결성한다. 이들은 네트워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는 중계를 하던 조엘 거트너와의 대립을 지속하며 2000년 10월 1일, 아나키 롤즈에서 마주하지만 결국 거트너의 승리로 끝난다. 결국 사이러스는 TNN에서 방영되던 ECW를 종영[* 실제로는 이 시기에 방송국이 [[WWE RAW]]와 계약을 하면서 [[ECW]]와 중계 계약이 끝나 버렸다.]시키는데 이른다. 마지막 PPV인 길리치 애즈 차지드에서 라이노를 [[ECW 챔피언십|E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으로 올리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ECW]]가 파산하여, [[ECW]]가 [[WWE]]에 흡수되지만 캘리스는 [[WWE]] 행이 아닌 대학교로 돌아가서 학업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위니펙에서 레슬링 훈련 캠프를 설립하였다. 그는 한때 [[에릭 비숍]]에 의해 [[WCW]]로 스카우트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신빙성은 그다지 없었다. 2003년, 칼리스는 [[임팩트 레슬링|TNA]]에 데뷔해서 책임국장 기믹으로 활동한다. 그는 얼티밋 X 매치를 고안해서 X 디비전을 활성화시켰다. 그는 [[임팩트 레슬링|TNA]]의 실권을 두고 [[에릭 와츠]]와 대립을 펼쳤다. 2004년 1월 28일, 캘리스는 와츠를 이기고 [[임팩트 레슬링|TNA]]의 실권을 잡았다. 하지만 이후 [[임팩트 레슬링|TNA]]를 떠난다. 칼리스는 TNA와 좋은 관계였지만 자신의 사업인 회계에 더 몰두하기 위해 떠난 것이었다. 하지만 은퇴 이후에도 칼리스의 레슬링 사랑은 식지 않았고 2005년 6월 10일에 개최된 [[ECW]] 부흥 쇼인 하드코어 홈커밍에 출연하였다. 이후 매니토바 무역 투자 조합의 사장, CEO 겸 이사로서 일하기도 했다. 2017년 1월 17일, 칼리스는 케빈 켈리와 함께 NJPW 월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NJPW]] 이벤트의 새로운 영어 컬러 해설자가 되는 제안을 수락했다고 발표했다. 칼리스는 [[WWE]]와 계약했던 [[스티브 코리노]]를 대신했다. 12월 11일 월드 태그 리그 2017 결승에서 칼리스는 레슬링 킹덤 12에서 제리코와 [[케니 오메가]]와의 경기를 홍보하는 각도에서 [[크리스 제리코]]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 이 경기는 칼리스가 NJPW의 부킹을 도왔다. 2017년 12월 5일 임팩트 레슬링은 스콧 다모어와 함께 칼리스를 프로모션의 새로운 공동 집행 부사장으로 발표했다. 2018년 4월 22일, Callis는 Impact!의 다음 에피소드뿐만 아니라 Redemption Pay-per-View 이벤트의 컬러 해설자로도 활동한다. 2018년 여름과 가을 동안 칼리스는 조쉬 매튜스와 함께 임팩트 이벤트 해설에 정기적으로 출연하기 시작했고, 결국 프로모션의 상설 컬러 해설자가 되었다. 칼리스는 이후 매디슨 레이인에 의해 논평으로 대체되었지만, 임팩트사의 공동 부사장으로 남게 되었다. 2021년 5월, Calis의 임팩트 이그제큐티브 바이스 프레지던트 임기가 종료되었지만, 그는 방송 탤런트로 남았다. 6월 17일 Impact!에서 Callis의 이그제큐티브 바이스 프레지던트 역할은 [[타미 드리머]]에 의해 종료되었다. 칼리스는 풀 기어에서 열린 월드 챔피언 엘리미네이터 토너먼트 결승에서 [[케니 오메가]]의 요청에 따라 특별 게스트 해설자로 [[올 엘리트 레슬링|AEW]]에 데뷔했다. 2020년 12월 2일 윈터 이즈 커밍에서 칼리스는 챔피언 [[존 목슬리]]와 도전자 오메가 사이의 [[AEW 월드 챔피언십|AEW 월드 챔피언십]] 경기의 특별 객원 해설자였다. 경기 중에 칼리스는 오메가에게 우승을 안겨주었다. 그의 간섭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그는 12월 8일 임팩트 편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그들의 질문에 대답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12월 9일, 칼리스는 오메가와 함께 헬리콥터를 타고 다이너마이트로 돌아왔다. 칼리스는 두 선수가 수십 년 전 모국인 캐나다에서 처음 만났을 때부터 오메가의 우승을 계획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 기타 == [[하디 보이즈]]가 신인이던 시절 [[JBL(프로레슬러)|JBL]]이 하디 보이즈한테 잭킬의 렌터카 열쇠구멍에 이쑤시개를 넣고 부러뜨려서 엿을 먹이라고 지시한 일이 있었다. 당시 하디 보이즈는 신인이라 하는수 없이 따랐다고 한다. [[분류:캐나다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67년 출생]][[분류:1989년 데뷔]][[분류:위니펙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