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부리가 없는 한글 글꼴을 이르는 용어, rd1=돋움)] [include(틀:Windows 기본 한글 글꼴)] ||<-2> {{{+1 '''돋움''' }}}[br]'''Dotum''' || ||<-2><#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돋움.svg|width=100%]] }}}|| ||<-2><#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돋움체.svg|width=100%]] }}}|| || '''분류''' ||[[돋움]] || || '''제작''' ||큐닉스컴퓨터, [[한양정보통신]] || || '''활자 가족''' ||돋움[br]돋움체 || || '''최신 버전''' ||5.04 || [목차] [clearfix] == 개요 == [[Microsoft Windows|윈도우]]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큐닉스컴퓨터,[* 한글 [[윈도우 3.1]] 한정.] 한양시스템(현 [[한양정보통신]])에서 제작한 서체. [[산세리프]]체, 흔히 [[고딕체]]라고 부르는 민부리 글꼴의 대표적인 글꼴이다. 돋움이란 이름은 "돋보임 효과"가 큰 것에서 유래하였다 한다. 참고로 돋움과 돋움체의 차이는 자간이 가변인지[* 이 경우에는 보기에 자연스러움] 고정인지[* 글자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글자 수를 셀 때 유용하다. 반면에 가변폭 글꼴은 콘솔에서 겹쳐져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며 띄어쓰기 칸이 몇칸인지 세기가 힘들다. 때문에 돋움체 같은 고정폭 글꼴이 프로그래밍에 많이 사용된다.--[[\|과연 그럴까?]]-- 다만 돋움체 자체는 [[\]]가 원화 기호로 표시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쓰기에는 그리 좋지 않다.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글꼴은 [[\]]을 원화 기호로 절대 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부에 있다. == 활용 == [[2011년]] [[12월 21일]]자로 기존의 『사무 관리 규정』 및 시행규칙이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으로 전부개정됨에 따라 행정기관에서 공문서에 사용하는 폰트는 돋움체가 되었다.(규정상에 돋움체만 써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는 건 아니지만, 일단 디폴트 값이다. 공문 상단의 행정기관명이 견고딕으로 된 것을 제외하면, 담당자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기관주소 등 편집이 불가한 모든 글자들은 빼도박도 못하고 돋움체를 쓰도록 되어 있다. 단, 시도교육청 업무관리시스템은 기본 글씨체로 "굴림체"를 사용하고 있다.) 미적 취향을 이유로 기존 온나라 시스템의 디폴트 값으로 사용되던 [[굴림체]]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던 사람에게는 참 다행스러운 상황. ~~솔직히 일 때문에 받아볼 공문서 폰트가 [[굴림체]]로 되어있든 돋움체로 되어 있든 미적감각 따지고 있을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겠냐만은~~ [[나눔고딕]]이 보급되기 이전의 [[네이버]]의 기본 글꼴이였다. 네이버를 윈도우에서 돌아가는 웹 브라우저로 사용할 경우 거의 대다수의 서비스에 돋움체가 기본으로 출력되었다. 지금은 나눔고딕이 네이버 기본 서체이지만 나눔고딕이 설치되지 않은 PC 한정으로는 아직도 돋움체가 기본인 것으로 보인다. 엑셀 5.0의 환경설정 창에서도 돋움체를 사용한다. 금호고속, 금호속리산고속의 LED 행선판에 돋움체를 사용한다. 이는 다른 고속버스 전광판과 다르게 아시아나IDT에서 개발한 전용 LED 행선판 프로그램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글씨체가 따로 표기된다. 현재는 볼드 형식으로 된 LED 행선판으로 조금씩 바뀌어가고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의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승강장 행선안내기도 돋움체를 사용한다. == 유사 글꼴 == 안드로이드 4.1 이하에서 기본으로 사용하였던 글꼴은 [[https://blankwindow.wordpress.com/|Droid Sans Fallback]][* 해당 폰트는 [[미생(드라마)]] 6화에 나왔으며, [[일본어]]에 쓰이는 [[한자]]인 [[신자체]]에 최적화되어 있다.]이었는데, 여기에 포함된 한글 글리프가 돋움과 비슷하게 생기긴 했으나 엄연히 다른 글꼴이다. 안드로이드 4.2부터 4.4까지는 나눔고딕, 5.0 이후부터는 Noto Sans를 사용한다. == 기타 == 2021년 11월 16일 크롬 96버전 부터 글자가 흐려지는 버그가 발생했다. 이는 [[한양정보통신]]에서 개발한 윈도우 기본 글꼴 4종[*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 [[궁서체]]]의 ttf 파일에 볼드 버전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 그 동안은 윈도우가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자체적으로 볼드 버전을 표시했는데 크롬 96 버전에서 "웹 표준 CSS에서 선언하는 글꼴의 실제 굵기가 제대로 구현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스키아(Skia) 그래픽 엔진을 사용해 글꼴을 표시했는데, 이 이 글꼴들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비트맵이 아닌 글꼴로 표시되어 글꼴이 의도한 대로 전달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사실 이 글꼴들 뿐만 아니라 비 라틴 문자 폰트 중 동일한 문제를 가진 글꼴들은 전부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인 개발자의 건의로 버전 97부터는 이 글꼴들에 한정하여 다시 기존 윈도우식 표기를 적용한다고 한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6697322|#]] 한국에서 거의 공통으로 사용되는 돋움체 특성상 많은 사이트에서 혼란이 생겼고 많은 사이트에서 대체 글꼴로 임시 조치되는중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Chrome/문제점, version=402)] [[분류:한글 글꼴]][[분류:산세리프 글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