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 문서는 암석 돌을 설명합니다. 여타 동음이의어, rd1=돌(동음이의어))] [[분류:순우리말]][[분류:암석학]] || [[한글]] || 돌 || [[유니코드]] || B3CC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ㄷ+ㅗ+ㄹ || [[두벌식]]-[[QWERTY]] || ehf || [[세벌식]] 최종-QWERTY || uvw || [목차] == 개요 == [[돌멩이]], [[바위]], [[암석]] 등을 이르는 순우리말이다. == 어형 == 돌은 매우 흔한 자연물이고 [[석기시대]]와 같은 시대 구분에서도 보듯 인간의 [[문명]]이 시작될 때부터 요긴하게 사용되었던 물질이므로 [[기본어휘]]였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즉, 외래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한글 전 한국어 표기|한글 창제 이전]]에도 '돌'과 유사한 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돌'이라는 음의 한자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계림유사]]에서는 "石曰突"(石을 突[돌]이라 한다)와 같이 [[突]]이라고 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순우리말 돌과 한자 突의 한국 한자음은 동일하다. 한편 [[삼국사기]] 지리지에서는 석산현(石山縣)-진악산현(珍惡山縣)으로 石 - 珍惡의 대응이 나타나는데, 이때의 [[珍]]은 [[훈차]]하여 '돌'을 표기한 것으로 추측된다.[[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0699|#]]([[고대 한국어/어휘]])[* 그리고 [[惡]]은 현대 한자음과 유사하게 '악' 정도의 음으로 읽으면서 훈주음종의 원칙에 따라 ㅎ 말음(당대에는 아마도 ㄱ 말음)을 [[말음 첨기|첨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옛 표기로 武珍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음으로 읽은 것이 [[무진주]](武珍州)이다.] 이때의 珍 역시 '들~돌' 정도를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뜻은 아마 무리+돌로, 돌이 많은 산일 것으로 추측된다. 중세 한국어 시기에는 한글 표기를 통해 [[ㅎ 말음 체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자]]로는 [[乭]]이라 쓴다. 한국에서 만들어지고 한국에서만 쓰이는 [[한자]]. 이런 한자를 [[국자(한자)|국자]]라 한다. 돌 석([[石]])자에서 뜻을, 새 을([[乙]])자에서 'ㄹ' 받침을 취하여 생겼으며,[* 새 을([[乙]])를 ㄹ 말음으로 사용하는 역사는 매우 오래 되어서, 700년대 목간 자료에서도 그 예가 발견될 정도이다.] 구태여 제자원리를 따진다면 [[형성자]]에 가깝다. 이런 식의 표기를 [[이두]]식 표기라고도 하며, 실제로 [[이두]]문에서 종종 쓰인다. * [[이세돌]], [[신돌석]]과 [[돌쇠]]의 돌이 이 한자이다. * 지명에서 사용된 예로는 [[함경남도]] 홍원군에 있는 고개인 돌장령(乭長嶺)이 유일하다. == 언어별 명칭 == ||<-2> '''{{{#082ff7,#dddddd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돌 || || '''[[한자]]''' || 石 || || '''[[중국어]]''' || 石(shí) || || '''[[일본어]]''' || [ruby(石,ruby=いし)] || || '''[[영어]]''' || [[스톤|stone]] || || '''[[독일어]]''' || [[슈타인|Stein]] || || '''[[프랑스어]]''' || [[피에르|pierre]] || * 기독교권의 [[베드로]] 계열의 이름은 돌을 의미한다. [[예수]]가 "[[반석]](磐石) 같은 사람이 되어라"라고 한 데에서 유래했다. 본래 아람어 '케파'라고 했던 것이 그리스어 '페트로스'가 되었고 유럽 전역에 퍼졌다. 현재에도 [[로망스어]] 계열에서는 베드로 계열 이름과 돌을 뜻하는 단어가 유사한 편이나 이외의 지역에서는 영어처럼 이름만 받아들이고([[피터]]) 단어는 별개인([[스톤]]) 경우가 많다. == 관련 은어 == === 돌-, 무식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 [[돌머리]]/돌[[대가리]]. 단순히 돌이 단단해서 그런 것 같지만, 막상 돌보다 더 단단한 금속류는 무식하다기보단 오히려 용감하다는 식으로 언급되는 것이 아이러니. 단단하면서도 그렇게까지 쓸모는 없는 물질이라서일 수도 있다. 인터넷 상의 프로스포츠팬들은 경기 운용, 작전 및 전술이 엉망진창이거나 용병술 및 성적이 형편없는 팀의 감독을 주로 '돌 + 첫 글자를 제외한 이름'으로 부르며 깐다. 즉 무능한 지도자를 뜻하며 한때 이러한 폄칭을 [[나무위키]]에서 해당 감독 문서로 리다이렉트하는 사례가 심심찮게 있었는데, 비하적 [[리다이렉트]]로서 존치 여부로 편집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 삭제가 기본이고 존치 측이 존치 사유를 입증해야 하기에([[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s-9.2.1|특수문서 편집지침 9.2.1]]) 대부분 지워지고 작성 금지 상태가 되었다. [[편집지침]]에서는 '생성은 가능하나 가급적 생성하지 않기를 권장한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 돌-, [[하스스톤]] 관련 단어 === [[하스스톤]]과 관련된 합성어의 접두사로 주로 쓰인다. 돌창, [[하스스톤 갤러리|돌갤]], [[돌격변]] 등. 유래는 물론 '하스스톤'의 '[[스톤]]'이다. === 돌, [[모바일 게임]] 용어 === 모바일 게임에서 캐릭터를 뽑는 데 필요한 [[가챠]]를 돌릴 때 사용되는 재화를 가리키는 속어. 문맥에 따라서 더 정확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과금석(課金石)이나 가챠돌(ガチャ石)라고 쓰기도 한다. 모바일 게임에서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화는 동전으로, 결제로 얻을 수 있는 재화는 보석으로 설정하는 것이 관례로서 굳어져 있었기 때문에 가챠 게임에서도 자연스럽게 보석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극초창기 가챠게임인 <괴도 로얄>이나 <드래곤 컬렉션> 같은 게임에서는 돌이 아니었다. 최초로 보석이라는 설정을 제시한 것은 [[퍼즐앤드래곤]]이었으며, 이 게임에서는 '''마법석'''이라고 불린다. 다만 퍼드 당시 한국에서는 '법석'이라고 불렸으며, 이것이 널리 퍼져 다른 게임의 결제 재화도 '법석'이라고 불렸다. 돌이라는 호칭이 정착된 것은 꽤 뒤늦었는데 [[Fate/Grand Order]]의 가챠용 아이템인 성정'''석(石)'''을 지칭하면서 돌이라는 표현이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일본에서는 초창기부터 일관적으로 돌이라고 불렀다. 결제 재화를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지는 어디까지나 개발사의 재량이기 때문에 반드시 돌이나 보석인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그것에 대해서도 돌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신규 유입 유저가 아니라면 대체로 원표기에 근거한 별명을 붙이는 편이다. 이러한 모바일 게임에서 스토리를 진행하지 않는 부계정은 돌만 쌓아놓는다고 해서 '돌계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이시아카(石垢)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돌 + 어카운트(アカ). === -돌, 모바일 게임 용어 2 === '''돌'''파(or 초월, 잠재, 강화) 시스템[* 캐릭터를 중복으로 얻어서 강화에 사용하는 방식.]이 도입된 게임에서는 그 돌파 상태를 '-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회 돌파를 진행할 경우 3돌이라고 부르는 식. 아무런 강화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명함]]', 그 후에는 '1돌, 2돌...' 같은 식으로 부르며 최종 단계는 '풀돌'이라고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