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東'''}}} ||<:> {{{+5 '''家'''}}} ||<:> {{{+5 '''食'''}}} ||<:> {{{+5 '''西'''}}} ||<:> {{{+5 '''家'''}}} ||<:> {{{+5 '''宿'''}}} || ||<:> 동녘 '''동''' ||<:> 집 '''가''' ||<:> 먹을 '''식''' ||<:> 서녘 '''서''' ||<:> 집 '''가''' ||<:> 잘 '''숙''' || == 개요 == 직역하면 말 그대로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의 [[고사성어]]. '[[역마살|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도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나, 가장 일반적인 뜻으로는 '욕심을 지나치게 부리는 사람'을 비판하는 말로 쓰인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조가 없는 사람'을 비꼬는 말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쉽게 말해 염체 양다리. == 유래 == >중국 어느 마을에 한 처녀가 살았는데, 재산은 많지만 얼굴은 못생긴 동쪽 마을 총각, 얼굴은 잘생겼지만 가난해 빠진 서쪽 마을 총각에게 동시에 청혼을 받았다. 이에 부모가 둘 중 하나를 택하라고 하자 처녀는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다가 물었다. >'''"밥은 동쪽 집에서 먹고 잠은 서쪽 집에서 자면 안 되나요?"''' 이 이야기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지나친 욕심을 부리는 사람을 비난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아래의 일화에서는 그 뜻이 다르게 나타난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공신#s-1.2.1|개국공신]]들이 모여 연회를 열었다. 이 때 어느 대신이 [[기생]] [[설중매]]를 희롱하며 말했다. >"너는 '''낮에는 동쪽 집에서 먹고 밤에는 서쪽 집에서 자는''' 기생이니, 오늘 밤은 나와 보내지 않겠느냐?" >그러자 기생이 대답했다. >"아무렴요. '''어제는 고려 조정을 섬기고 오늘은 조선 조정을 섬기는''' 대감이시니 저와 밤을 보내시기에 꼭 알맞지요." 애초에 출전 자체가 야사인지라 실제 이야기인지는 중요하지 않지만 나름 잘 알려진 일화로, 이 일화가 알려지면서부터 동가식서가숙은 '지조 없는 사람'을 비꼬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대에도 여전히 '지조 없는 사람'보다는 '욕심 많은 사람'을 비판하는 데 쓰이는 경향이 많은 걸 보면, 후자의 예시만 별도로 정권교체기의 민중의식을 담은 촌평처럼 전해진 듯하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