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동갈치}}}[br]Needle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갈치.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Belonidae'''[br]Bonaparte, 1832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동갈치목(Belo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동갈치과(Belonidae) || [목차][clearfix] == 개요 == [[파일:needlefish.jpg]] 동갈치목 동갈치과의 물고기의 총칭. [[바늘]]처럼 생긴 생김새 때문에 영어권에선 needlefish(바늘물고기)라고 부른다. == 상세 == 처음 화석으로 등장한 시기는 [[갈치]]와 같은 시기로 백악기 후기에 미국 남부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대표적인 동갈치 화석으로는 [[와이오밍]]주 에서 발견된 아트락토스테우스이라는 [[에오세]]시기 화석이다. 몸이 가늘고 길며 날카로운 [[이빨]]이 있는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가 있다. [[학공치]]와 비슷하게 생겼고 실제로도 근연 관계에 있다. 온대와 열대 바다에 서식하며, 작은 [[어류]], [[갑각류]]등을 먹으며. [[한국]]에 서식하는 종류는 산란기인 5~7월달에 연안 바다풀로 몰려 2,000~3,000개의 알을 낳는다. 전 세계적으로 60여종이 있다. 평상시에는 큰 바다쪽 수면 가까이에 서식하며 수면 위를 물수제비처럼 뛴다. 열대바다의 어떤 종은 날개는 없지만 날치처럼 순간적으로 활공 같은 걸 하기도 한다. 날치와 같이 재빠르게 튀어올라 가속도를 붙여서 날아가는데 크기가 대개 1[[미터]]를 넘고 대개 떼를 지어 다니기 때문에 지나가던 배와 만나기라도 하면 큰일이 난다. '살아있는 창'이라 불릴 정도로 위험하고, 매우 빠르기 때문에 피하기도 쉽지 않다. 특히 빛이 있는 곳에 몰려들기 때문에 야간조업하는 어부들이 많이 희생된다고 한다.[[https://mnews.joins.com/article/23209786#home|사고사례]] 동갈치과중 가장 큰 종류인 꽁치아재비(crocodile needlefish)는 크기가 1.5m에 달한다. 뼈가 '''파란색'''이다. 특히 가열하면 아쿠아마린과 같은 투명한 파란색이 된다. 맛없는 생선 이미지가 박힌 물고기 중 하나인데, 사실 봄에 잡힌 동갈치 회의 맛은 썩 훌륭하다. 다만 기생충, 잔가시로 인한 손질의 번거로움, 대부분 선어로 유통되고 상인들도 횟감으로 취급하지 않아 신선도가 아쉽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혀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진 않다. 특별한 감칠맛, 지방맛이 없어 살짝 고소하고 담백하다. 그 탓에 가열하여 구이나 탕으로 만들면 매우 심심한 맛이다. == 기타 == [[이와이 슌지]] 감독의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서 밤에 거북이가 알을 낳는 것을 보러 갔다가 바다에 불 빛을 비춰서 이 생선이 튀어올라 호시노가 다칠 뻔 하기도 했다. 또, 영화에서는 교통사고로 거의 죽은 모습으로 나왔던 아저씨가 소설판에서 이 생선에 심장이 찔려 죽는다. [[휴먼버그대학교]]의 [[사타케 히로후미]]의 에피소드로도 나왔다. 여기선 바다낚시 도중 사타케가 동갈치에 찔린다. [[분류:동갈치과]][[분류:생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