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순창군의 중학교]][[분류:1968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include(틀:전라북도 순창군의 중학교)] ||||
'''{{{+1 동계중학교}}}[br]東溪中學校[br]Donggye Middle School''' || |||| [include(틀:지도, 장소= 동계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68년]]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훈''' || 성실 ㆍ창조 ㆍ봉사 || || '''교화''' || [[철쭉]] || || '''교목''' || [[매실나무]] || || '''교조''' || [[까치]] || || '''학생 수''' || 10명[*기준 2023년] || || '''주소''' ||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강동로 74 ||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donkhi/M01/|[[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전경 == [[파일:동계중학교.jpg|width=100%]] == 개요 == 동계중학교(東溪中學敎)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연혁 == *1967년 11월 27일 : 동계중학교 인가 *1968년 03월 02일 : 동계중학교 개교 *1983년 11월 21일 : 동계고등학교 인가 *1999년 09월 01일 : 동계중ㆍ고등학교 통합 (중학교 3학급, 고등학교 9학급) *2017년 02월 10일 : 동계중학교 제47회 졸업생 배출 (누적 총 졸업생 5,499명) == 교훈 == 건학이념: 교훈: 성실(誠實), 창조(創造) 봉사(奉仕). == 교가 == || [[파일:external/donkhi.hs.kr/song.jpg]] || == 학교 상징 == 교목: 매실나무[* 학교 뒷산에 매실나무가 많이 있다. 학교 뒷산 뿐 아니라 동계면 전체에 매실 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다. 매해 봄 매실따기 행사를 갖고, 학생들이 채집한 매실로 매실 엑기스를 담군다. ] 교화: 철쭉 교조: 까치 == 역사 == 1968년 개교한 [[동계중학교]]는 사립학교였고, 이 후 공립 학교인 [[동계고등학교]]가 1984년에 세워졌다. 두 학교는 별개의 학교로 운영 되다가 90년대 말 전국적인 학교 통폐합 영향으로 통합되었다. 동계중학교의 교사(校舍)는 연산사거리 동쪽 오수천 근방에 있었고, 동계고등학교의 교사는 연산사거리에서 임실 [[강진면]]으로 가는 길목에 있었는데 동계고등학교 교사(校舍)로 통합되었다. 아무래도 동계중학교의 역사가 길다보니 동계고등학교보다 동문회가 잘 활성화 되어 있다. == 출신인물 == *[[정승균]]: [[해군교육사령관|28대 해군교육사령관]] *[[박후성]]: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핵·WMD대응본부장[* 동계중학교를 졸업하지는 않았고 1학년을 마치고 서울로 전학을 갔다.] == 기타 == === 초미니 학교 === 2017년 기준으로 전교생이 10명이다. 1학년 3명, 2학년 3명, 3학년 4명으로 두자릿 수 유지도 힘겨운 상황이다. 성별로는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으로 성비는 황금 비율이다. 학생이 너무 적다보니 사실상 전교생이 다 학급 임원내지는 학교 임원이고, 간부수련회를 전교생이 참여하는 위엄을 보이기도 했다. 체육대회 때에는 당연히 반별 대항전은 꿈꿀 수 없고, 전교생을 두 팀[* 팀명은 인근에 위치한 산의 명칭을 사용한다.]으로 나눠서 진행한다. 수업시에는 선생님과 학생을 합해봐야 5명도 안되기 때문에 옹기종기 모여서 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다보니 학생들이 졸업 후 학생이 많은 학교에 가면 적응을 걱정 할 수 밖에 없지만 대개의 경우 --거의 100%-- 같이 교사(校舍)를 사용하는 [[동계고등학교]]로 진학 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듯 하다. 어차피 동계고등학교의 경우에도 2017년 기준 전교생이 24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학교 때 보다 규모가 약간 커지는 수준일 뿐이라 별 차이도 없다. 진정한 컬쳐 쇼크는 대학에 진학 할 때 느낄 수 있을 듯 하다. === 영화 [[피끓는 청춘]] 촬영지 === 2013년 영화 [[피끓는 청춘]]이 동계고등학교에서 촬영 되었다. [[이연우]]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박보영]], [[이종석(배우)|이종석]] 등 나름 인지도 있는 배우들이 출연했다. 여름방학동안 촬영이 시작 되었으나 개학이후에도 촬영이 이어졌다. 워낙 시골인 순창군에서도 면단위에 있는 학교라 연예인 보기가 어렵다 보니 촬영 내내 학생들이 연예인들을 보기 위해 북새통을 이뤘다. --어느 학교인들 연예인 오면 구경을 안하겠는가?-- 그러나 촬영 당시 학교에서의 인기와는 달리 영화 자체는 크게 흥행[* 누적 관객수 1,676,040명을 기록했다. ] 하지는 못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