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동대구IC'''}}}[br]{{{-2 '''東大邱 交叉路'''}}}[br]{{{-2 '''East Daegu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동대구TG'''[br]{{{-2 East Daegu Tollgate}}}}}}}}} || || [[삼락IC|{{{#!html
부산 방면}}}]][[수성IC]][br]← 3.6 km || [[중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html
중앙고속도로}}}]] {{{#white '''{{{+1 10}}}'''}}} || [[춘천IC|{{{#!html
춘천 방면}}}]][[동대구JC]][br] 1.8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35.865966 128.68624,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율하동 || ||<-3> {{{#fff '''관리기관'''}}} || || [[중앙고속도로|{{{#fff 중앙고속도로}}}]] ||<-2>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 || ||<-3> {{{#fff '''개통'''}}} || ||<-3> [[2005년]] [[7월 15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화랑로(대구)|화랑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 10번.'''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율하동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 과거 동대구IC란 이름은 [[경부고속도로]]상의 IC가 가지고 있었으나, 2005년 7월 15일 중앙고속도로 동대구IC ~ [[동대구JC]] 구간 개통에 따라 이 기존의 IC가 [[동대구JC]]로 전환되면서 현 위치로 이설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앙고속도로의 IC로 변경되었다. 톨게이트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화랑로100길 61 (용계동 484-5)에 있다. == 구조 == === [[춘천IC|춘천]] 방향 === * 진출 가능 : [[4번 국도]]([[화랑로(대구)|화랑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4번 국도]]([[화랑로(대구)|화랑로]]) 양방향 === [[삼락IC|부산]] 방향 === * 진출 가능 : [[4번 국도]]([[화랑로(대구)|화랑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4번 국도]]([[화랑로(대구)|화랑로]]) 양방향 == 역사 == * 1969년 12월 29일 [[경부고속도로]]의 대구 - 부산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경부고속도로]]의 IC로 영업을 시작했다. * 2005년 7월 15일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의 동대구JC - 동대구IC 구간이 임시 개통되면서 [[중앙고속도로]]의 IC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2005년 7월 기존 [[경부고속도로]]의 동대구IC가 [[동대구JC]]로 변경되면서 [[중앙고속도로]]의 IC로 변경되었지만, 기존 대비 통행료 300원을 추가로 지불하게 되었고 이동거리 또한 3km 가까이 늘어나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었다. 이에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주민들이 항의하면서 동대구IC의 [[경부고속도로]] 원상복귀 운동을 펼치는 등 지역 분위기가 험악해지기도 했었으나, 단거리 운전차량(대구, 경산)에 300원 면제를 하는 쪽으로 합의를 보았다. 비슷한 사례로는 [[경기도]] [[시흥시]]의 [[월곶JC]]가 있다. 이후 대구부산고속도로가 통행료를 인하하면서 할인이 폐지되었다. * 이 IC에서 동대구JC 구간의 경우 [[중앙고속도로]]의 대동JC - 동대구JC 구간을 운영하는 [[현대산업개발]] 측에서 민자로 시공했지만, 기존 [[경부고속도로]]의 IC에서 [[중앙고속도로]]의 IC로 변경된 점을 감안하여 관리 및 운영은 [[한국도로공사]]에서 하고 있고 민자 구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동대구IC 요금소의 운영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하고 있다. [[http://www.dbeway.co.kr|홈페이지 참고.]] 원톨링 서비스 개시 이전 이 IC 다음에는 [[중앙고속도로]]의 상행(춘천/서울방향) 이용객들의 통행료를 중간 정산하기 위한 [[대구TG]](반대쪽 하행은 [[김해부산TG]]에서 정산)가 존재했는데, 만약 [[대구TG]]를 이 IC보다 북쪽으로 끌어당겨서 이 IC까지 민자 구간에 포함시켰다면 통행료가 300원이 아닌 1,500원씩이나 인상될 뻔했다는 말도 있을 정도. * [[수성IC]]의 요금이 걱정된다면 이 IC에서 나가면 된다. 동대구IC에서 수성IC까지 약 3km 구간에 대하여, 통행료가 1종 기준 700원이 더 부과된다.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경부선 하행([[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울산고속버스터미널|울산]],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 [[고속버스]], 경상도 동남부 방면 [[시외버스]]들이 이 IC를 이용한다. * 톨게이트 인근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용계역]] 및 [[고속버스]] 중간 하차장/[[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용계매표소는 아침 6시 30분부터 밤 9시까지 영업한다. * 동대구IC부터 동대구JC까지는 가변 차로 구간이다. 하행선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2017년 추석 때 상행선 구간도 개통되었다. * 대구시내 일부 표지판에는 '''E. Daegu IC'''가 아닌 '''E. Interchange'''로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 [[북대구IC]]도 마찬가지.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대구광역시 광장계획)]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중앙고속도로]][[분류:동구(대구)]][[분류:대구광역시 광장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