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東廟앞驛 / Dongmyo Station}}} ||<-3> {{{+2 '''동 묘 앞'''}}}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소요산역|{{{#!html
소요산 방면}}}]] ||<|2> [[수도권 전철 1호선|{{{#!html
1호선
(127)
}}}]]{{{#!html
(입고열차 시종착)}}} || [[인천역|{{{#!html인천}}}]]·[[신창역|{{{#!html신창}}}]]{{{#!html 방면}}} || ||<|2> [[신설동역|신설동]][br]← 0.7 ㎞ ||<|2> [[동대문역|동대문]][br]0.5 ㎞ → || ||<|2> [[천안급행|{{{#!html
1호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부선 급행 A'''}}}}}} || || [[청량리역|{{{#!html
청량리 방면}}}]] || [[신창역|{{{#!html
신창 방면}}}]] || || [[응암역|{{{#!html
응암순환}}}]][[신당역|신 당]][br]← 0.6 ㎞ ||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36)
}}}]] || [[신내역|{{{#!html
신내 방면}}}]][[창신역|창 신]][br]0.9 ㎞ → || ||<-3>[include(틀:지도, 장소=동묘앞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Dongmyo || || [[한자]] ||<-2> 東廟앞 || || [[중국어]] ||<-2> 东庙 || || [[일본어]] ||<-2> [ruby(東廟前, ruby=トンミョアプ)] || ||<-3> '''주소''' || ||<-3>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 ||<-3>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59 ([[숭인동(서울)|숭인동]] 117번지) || ||<-3>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 ||<-3>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24 ([[숭인동(서울)|숭인동]] 313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50]]]]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12월 15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2005년 12월 2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1층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지하 3층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복선 [[섬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 [[수도권 전철 1호선]] 127번[*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 10개 역들 중 유일하게 역 번호가 개정된 후 개통했으므로 이 역은 처음부터 127번이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59 ([[숭인동(서울)|숭인동]] 117번지) 소재. * [[서울 지하철 6호선]] 636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24 ([[숭인동(서울)|숭인동]] 313번지) 소재. == 역 정보 == || [[파일:동묘앞역 안내도.jpg|width=100%]] || || 역 안내도 || 역명의 유래는 [[임진왜란]] 후 [[명나라]]의 원군들을 통해 들어온 [[관우]] 장군 신앙에 따라 세워진 사당인 [[동관왕묘]]에서 역명이 따 왔다. 정작 정확한 위치를 따지자면 동묘 정전 '뒤'에 있는 1호선 2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든 역 시설이 동묘 '옆'에 있다.~~동묘옆역~~ 사실 대부분 사람들은 '''동묘역'''이라고 읽지 '''동묘앞역'''이라고 읽지는 않는다. [[경성전차]]에 숭인역이라고 이 역 근처에 역이 있었는데 그 숭인역을 그대로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경성궤도]]의 동묘역은 여기가 아니고 좀 더 남쪽의 청계천변에 있었다. 경성전차와 경성궤도는 서로 다른 노선이니 주의바람. 본래는 6호선 [[동대문역]]이 될 예정이었지만, 이렇게 되면 1호선 동대문역과의 거리는 300m, 심지어 4호선 동대문역과의 거리는 600m나 되어서 필연적으로 [[막장환승]]이 나올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에 6호선 동대문역 계획은 폐지되고, 그 자리에 별개의 역이 들어서게 되었는데 그게 바로 동묘앞역. 이렇게 되니 1호선과 6호선은 지하에서 서로 교차함에도 불구하고 환승역이 없었고, 직접 환승을 위해서는 저 위에 있는 [[석계역]]까지 가야했기에, 1호선상에 동묘앞역을 신설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2005년 12월에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되었다. 이 때문에 2005년 12월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되기 전까지 5년 동안 6호선은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지하 구간]]과 환승역이 없었고, 직접환승을 위해서라면 [[석계역]]까지 올라가야 했고, 이 역이 개통한 이후에도 4호선 환승을 위해서는 2번 갈아타거나 [[삼각지역]]까지 가야만 한다. [[답십리역]]과 [[용답역]]의 관계처럼 걸어가면 얼마 안 되는 거리를 지하철로 가면 꽤나 먼 거리가 되는 사례이기도 하다. 또한 6호선 동묘앞역도 다음 역인 신당역과의 거리는 600m 밖에 되지 않는다. 참고로 '''6호선에서 가장 짧은 구간'''도 이 동묘앞역에서 신당역까지의 구간이다.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함으로 그나마 남은 1호선을 이용해 통학하던 고려대학생들도 6호선으로 다 빠지면서 혼잡도를 낮춰줬다. 원래 동대문역의 일부로 짓는 것을 검토했을 정도로 동대문역과의 거리가 가깝다. 환승통로 기준으로야 머나먼 거리지 1호선 동대문역과 동묘앞역의 점대점 거리는 550m 밖에 되지 않으니 지하철 역간거리 치고는 상당히 가까운 편이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짧은 구간이다. 역사 내에 비치된 역 주변도에 [[동대문역|이]][[신설동역|웃]] [[신당역|역]]이 나올 정도로 가까운 거리이며, 때문에 환승은 좋은데 표정속도를 깎아먹는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1호선만 그런게 아니라서 6호선 동묘앞역과 다음 역 [[신당역]]간 거리는 600m 밖에 되지 않으며 6호선에서도 가장 짧은 역간 거리이다.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함으로 그나마 남은 1호선을 이용해 통학하던 고려대학생들도 6호선으로 다 빠지면서 혼잡도를 낮춰줬다.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동묘앞역은 승강장과 맞이방이 같은 층에 있는 역[* 일명 [[바로타(역 구조)|바로타]]]으로 유명하다. 3번 출구의 경우는 지하 1층, 2번 출구도 비슷하게 설정되어 있으나 출구 자체가 지상이므로 3번보단 거리가 길다.[* 3번 출구는 인천/신창 방면에 있고 2번 출구는 소요산 방면에 있다.] 그리고 최근에 지어진 역답게 환승동선도 최소화하여 만들었다. 내진 설계가 적용되어 있고, 상당히 깔끔하다. 또한 개통 처음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다른 1호선 역에 비해 승강장이 상당히 넓은데 본래 이 공간은 서울 지하철 1호선 2복선화에 대비한 지하 구조물이었다. 2복선화 계획이 [[1기 지하철 계획]]으로 인해 취소된 이후 이 공간은 잉여가 되어 각종 파이프나 통신 케이블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는데 이 공간을 활용해 동묘앞역이 만들어졌다. ||[[파일:동묘앞2번출구.jpg|width=100%]]|| || 서울교통공사 1호선 지하 구간을 관리하고 있는 영업관리소와 같이 있는 2번 출구의 모습 || 2번 출구는 영업관리소로 지은 건물과 같이 쓴다. [[서울교통공사]](구 서울메트로) 1호선 지하 구간은 동묘앞역에서 영업관리를 한다. 이 외에도 지상 건물을 따로 지어 출구와 같이 쓰는 역은 8호선 [[잠실역]]이 있다. 1호선 구간에는 내부 화장실이 있는데, 이게 플랫폼에 있어서 1호선 타다가 급할 때는 이곳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위치는 소요산 방면 승강장은 4-4, 인천/신창 방면 승강장은 6-4와 7-3 사이로 대합실까지 합치면 4개다. 이 역의 경우 게이트 안과 밖에 화장실 입구가 있으나 무임승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다. 이 역과 [[신설동역]] 사이에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지선으로 진입할 수 있는 인입선이 존재하며 이 때문에 서울교통공사 소속 1호선 차량 일부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 뒤 2호선 신설동역을 거쳐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한다. 본래 이 역할은 동대문역이 하고 있었으나,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되면서 동대문 종착 열차가 그대로 동묘앞 종착으로 연장되었다. 동묘앞행 막차 중 하나를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이 아닌 [[용두역(서울)|용두역]]에서 종착하거나[*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rain&no=118794|관련게시물, 디시인사이드]]] 동묘앞행 열차를 신설동역 유령승강장 보수 후 신설동행으로 연장하자는 [[https://democracy.seoul.go.kr/front/freeSuggest/view.do?sn=187178|시민제안]]이 있으나 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의 시설 차이와 수요 차이로 인해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된 뒤로 스크린도어 열차 방향 역명판에 어찌된 일인지 영어표기가 'Seoul Dongmyo'로 표기되어 있다. 동대문 - 동묘앞간 공식 운행시간은 1분이지만 정작 동묘앞행 종착 안내방송은 1분 29초이다.[* 서울교통공사 기준 동묘앞역 일반 환승 안내방송은 30초.] 즉 동묘앞행 열차가 꼬리물기로 연착되어 표정속도가 줄어들어 운행시간이 1분 30초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동대문역이 비상사태로 무정차 통과하지 않는 이상 동대문에서 출발 직후 종착 안내방송을 송출해도 도착할 때까지 전부 송출할 수 없다...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전동차가 군자차량기지에 입고하기 위해 있는 행선지여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는 이 역에서 종착하는 일은 없다. == 역 주변 정보 == [[파일:attachment/동묘앞역/ENTRANCE.jpg|width=550]] 1호선 3번출구 밖으로 나가면 그 유명한 중고/골동품/군장품 시장인 [[황학동]] 도깨비 시장이 있다. 또한, 6호선 6번 출구 앞으로 쭉 따라가면 [[동대문 문구완구거리]]와 그 유명한 청계천 [[애완동물]]상가가 나온다. 3번 출구 쪽에는 역명의 유래인 동묘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구원군으로 왔던 명나라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한양 주변에 만들었던 [[관우]]의 사당이다. 총 4개(동서남북)가 있었다고 전하지만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건 여기가 유일하다. * 1번 출구: 숭인공원, 롯데캐슬천지인 * 2번 출구: 숭인2동주민센터, 서울직업전문학교, 종로청계힐스테이트아파트, 숭인119안전센터 * 3번 출구: 동묘공원, 벼룩시장, 서울다솜관광고등학교, 신설동종합시장, 중구적십자봉사단, 청계천 영도교, 황학동롯데캐슬아파트, 종로산업정보학교, 숭인초등학교, 동묘치안센터 * 4번 출구: 종로구시설관리공단 * 5번 출구: 청계천 다산교, 창신1동주민센터, 성동공업고등학교 * 6번 출구: 청계천 다산교, 동대문쪽방상담센터, 창신동문구완구거리 * 7번 출구: 동대문역 방면, 동대문종합시장, 동문시장 * 8번 출구: 창신2동주민센터, 덕산치안센터, 창신시장, 흥인지문공원 * 9번 출구: 창신3동주민센터, 창신초등학교, 창신두산아파트, 종로종합사회복지관 * 10번 출구: 숭인1동주민센터, 숭인동우체국, 롯데캐슬천지인, 종로구민회관, 종로구보건소(동부진료소) == 일평균 이용객 == 동묘앞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10>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5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5> 미개통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460명 || 10,982명 || 13,776명 || 15,151명 || 15,893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6,226명 || 17,235명 || 17,689명 || 18,511명 || 19,949명 || 20,183명 || 20,964명 || 21,355명 || 21,764명 || {{{#0052a4 22,946명}}} || || 2020년 || || '''16,508명''' || ||<-10>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6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5,847명 || 10,447명 || 12,813명 || 12,294명 || 12,527명 || 13,216명 || 16,669명 || 16,959명 || 17,934명 || 18,202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9,125명 || {{{#cd7c2f 19,669명}}} || 19,151명 || 18,886명 || 19,244명 || 18,536명 || 18,283명 || 18,158명 || 19,118명 || 19,468명 || || 2020년 || || '''13,830명''' || * 1호선의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두 역의 이용객을 합산하면 2019년 기준 '''42,414명'''으로, 2000년에 생겨난 신생역치고는 많은 숫자다. 종로에 있는 역들 중 유일하게 2000년대에 개통된 신생 역이다. 따라서 6호선과의 환승 목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1호선은 2005년 이전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 개통 초기엔 6호선 역만 존재했기에 하루에 1만명~1만2천명 수준의 저조한 이용률을 보였으나, 1호선 역이 2005년 12월 21일에 개통되어 두 노선 간의 환승이 가능해짐으로서 이용률이 큰 폭으로 늘었다. 6호선 역시 하루 평균 1만명대 후반으로 올라섰다. 6호선에서 15위로 중상위권에 속한다. 1호선의 경우엔 주변의 동대문, 신설동역 이용자들 및 지하철 위치가 애매해서 버스를 이용하던 승객들을 끌어모아 조금씩 조금씩 이용객이 늘어나는 중이다. '''[[종각역|종각]] - [[청량리역|청량리]] 구간 중 유일하게 이용객이 늘어나는 역'''이라고 볼 수 있다.[* [[회기역]]의 경우 현재 소폭 줄고 있지만 2015년까지만 해도 증가해왔으며, [[시청역(서울)|시청역]]의 경우에는 증가세에 있다.][* 다만 이 중 [[제기동역]]과 [[종로5가역]]은 유지 내지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1호선]] === ||[[파일:attachment/s1_dong.jpg|width=300]] ||[[파일:2020 동묘앞.jpg|width=300]] || || 개통 당시의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승강장 || 현재 모습 ~~화질이 약간 안좋다~~ || ||<-4> ↑ [[신설동역|신설동]]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동대문역|동대문]] ↓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의정부역|의정부]]·[[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ffffff 하}}} ||[[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서동탄역|서동탄]]·[[신창역|신창]]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1호선 (소요산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9-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2-3|| === [[서울 지하철 6호선]] === [[파일:attachment/6ghtjsehdaydkvdur.png|width=500]] [br] [[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 [[https://namu.wiki/w/%ED%8C%8C%EC%9D%BC:attachment/6ghtjsehdaydkvdur.png|크게보기]] [[파일:동묘앞역_역명판.jpg|width=500]] 날개형 역명판 ||<-4> [[신당역|신당]]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창신역|창신]]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이태원]]·[[삼각지역|삼각지]]·[[합정역|합정]]·[[응암역|응암]] 방면|| || {{{#ffffff 하}}} ||[[안암역|안암]]·[[석계역|석계]]·[[태릉입구역|태릉입구]]·[[신내역|신내]]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신내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1호선||2-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응암순환)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1호선||7-3|| == 기타 == * 1호선 동대문 - 동묘앞 구간은 거리가 짧은 덕분에 덕분에 유튜버들의 [[https://youtu.be/eyPxC3TpYeg|지하철 vs 인간 콘텐츠]](지하철에서 내린 뒤 다음역으로 달려가서 그곳에서 다시 아까 내린 지하철을 타는 것)에 자주 등장하는 역이다. ~~하지만 [[망했어요|편성번호 까먹으면...]]~~ 동묘앞역 8번 출구와 동대문역 3번 출구까지는 270미터 밖에 안 된다. * 2001년 [[강호동]], [[강병규]], [[핑클]]이 출연했던 [[한국방송공사|KBS]]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의 코너 '[[99초 스탠바이 큐]]'를 이 역에서 촬영했다. 촬영 당시 6호선 역만 있었으며 그 때는 1호선이 개통되지 않았다. 지하철에 내리는 것에 실패해도 NG 판정이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version=110)] == 버스 == [[서울 버스 142]] [[서울 버스 1014]] [[서울 버스 9403]] [[서울 버스 101]] [[서울 버스 103]]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4]] [[서울 버스 152]] [[서울 버스 201]] [[서울 버스 260]] [[서울 버스 261]] [[서울 버스 262]] [[서울 버스 270]] [[서울 버스 271]] [[서울 버스 370]] [[서울 버스 420]] [[서울 버스 720]] [[서울 버스 721]] [[서울 버스 2233]] [[서울 버스 111]] [[하남 버스 9301]] [[서울 버스 종로03]] [[서울 버스 N26]] [[서울 버스 2112]]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분류:서울 종로구의 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