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同文彙考. [[조선]] [[정조(조선)|정조]] 12년(1788)에 왕명으로 편찬한, [[인조]] 대 이후의 [[청나라]],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대한 모든 제반 사항들을 모은 국가 외교문서집. 원본 129권 60책, 속편 36책으로 이루어졌고,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었다. == 내용 == 정조 8년(1784) 10월 정조의 명으로 인조대 이후의 대청, 대일 외교문서들을 모두 정리하여 정조 12년(1788)에 편찬한 외교문서집으로, 이때 처음 만들어진 것이 총 129권 60책이다. 이후 고종대까지 관련 내용이 꾸준히 증보되었는데, 후대에 추가한 분량은 '속편'이라 불리며 총 36책으로, 원본 초판과 속편을 합쳐 총 96책이다. 원본 초판은 [[인조]] 21년(1643)부터 정조 11년(1787)까지 약 140여 년간 승문원(承文院)에 보관되었던 역대 외교문서들을 정리한 것이고, 속편은 정조 11년(1787)부터 고종 18년(1881)까지 약 100여 년간 조선이 겪었던 외교 상황들을 총집편하여 모은 것이다. 합쳐 1643년부터 1881년까지 약 240여년 간의 외교 관련 문서가 96책에 수록되었다. 초판은 봉전(封典), 애례(哀禮), 진하(進賀), 진위(陳慰), 문사(問使), 절사(節使), 진주(陣奏), 표전(表箋), 청구(請求), 석뢰(錫賚), 견폐(蠲弊), 칙유(飭諭), 역서(曆書), 일월식(日月食), [[교역]](交易), 강계(疆界), 범월(犯越), 범금(犯禁), 쇄환(刷還), 표민(漂民), 추징(追徵), 군무(軍務), 부휼(賻恤), 왜정(倭情), 잡령(雜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속편은 별편(別編) 4권, 보편(補編) 10권, 부편(附編) 36권으로 구성되었다. [[철종(조선)|철종]] 2년(1851)에 중요한 내용들만을 뽑아 동문고략(同文考略) 15책을 추가로 편찬했다. 인조대 이후 동아시아 삼국의 자세한 외교 상황과 기타 관련 외교 문제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세계기록유산 등재 == [[대한민국]]과 [[일본]]은 현재 공동으로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중이다. 일본 측 48건 209점, 한국 측 63건 124점으로 합계 111건 333점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조선국서(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통신사등록]](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동사일기]](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통 참착귀로 행렬도(일본 고려미술관 소장), [[변례집요]](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등이다. 이 외에도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동문휘고, [[통문관지]], [[해행총재]], 해동기(海東記), 청산도유록(淸山島遊錄), 기타 각종 사행록 등의 자료들이 잠정 등재 리스트에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2017년 10월 30일, 동문휘고, 통신사등록, 해행총재의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4294&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동문휘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184&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동문휘고]] [[분류:조선의 도서]][[분류: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장서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