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95959 20%, #595959)" {{{#fff '''동방우의 주요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옥관.jpg|width=170]] || || '''연도''' || '''2002년''' || || '''이름''' || '''명계남''' || || '''분야''' || '''배우''' || ||<-2> '''[[틀:옥관문화훈장|{{{#EDE4D3 옥관문화훈장(4등급)}}}]]''' || }}} || ||<-2> '''{{{+1 동방우}}}[br]東方雨 | Dong Bang-w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627952_STD.jpg|width=100%]]}}} || || '''본명''' ||명계남 (明桂男 | Myung Kye-nam) || ||<|2> '''출생''' ||[[1952년]] [[7월 26일]] ([age(1952-07-26)]세) || ||[[충청남도]] [[공주시]][* 태어난 곳만 [[공주시|공주]]이지 자란 곳은 [[서울특별시|서울]]이다.] || || '''거주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가족''' ||아버지, 어머니, 형 1명, 누나 2명 || ||배우자, 슬하 1남 1녀 || || '''데뷔''' ||1973년 연극배우 || || '''종교''' ||[[개신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학력''' ||[[서울돈암초등학교|서울돈암국민학교]] {{{-2 (졸업)}}}[br][[서울고등학교|서울중학교]] {{{-2 (졸업)}}}[br][[신일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 (신학 / 학사)}}} || || '''소속사''' ||이스트필름 대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영화제작자로 본명은 명계남(明桂男)이며 이는 예전 예명으로도 사용되었었다. 현재 활동명은 본인의 호(號)인데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촬영부터 이 이름을 쓰고 있다. 그가 제작한 영화는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 [[초록물고기]],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가 대표적이다. == 생애 == 1952년 7월 26일 [[충청남도]] [[공주시|공주군]](현 공주시)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살았다. 대구 옥산국민학교, 신암국민학교를 다녔다. 국민학교 6학년 때 서울로 이사한 후 [[서울돈암초등학교|돈암국민학교]], 서울중학교, [[신일고등학교]][* 2회 졸업생이다. 신일고는 개교 당시부터 화제를 모았는데 재단의 적극적 지원에 힘입어 좋은 교육시설을 구비했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전 전기 명문고 입시에서 낙방한 학생들이 후기모집군 고교에서 신일고를 많이 지원해서 학생들의 수준이 높았다. 명계남은 서울고 입시에서 낙방하여 신일고로 입학한 것으로 보인다.]를 졸업하였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 진학하였다. 대학교 때 연희극예술연구회 활동으로 연극생활을 시작했다. 1973년 에드워드 올비의 '동물원 이야기'로 데뷔하였다. 그 후 1975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을 졸업하고 1985년까지 '환상살인', '이상의 날개' 등 여러 작품을 기획하고 또 출연하였다. 그러다가 1985년부터 1992년까지는 광고업, 카피라이터, 리조트 개발계획 등 8년에 걸쳐 여러 다양한 직장생활을 하였다. 그 후 1993년 다시 연극판으로 돌아왔다. 극단 '완자무늬' 창단대표, 극단 '이다' 대표를 지내고, 공연기획 '문화공장', 공연기획 '이다'를 만들며 왕성한 활동을 벌였다. 1993년에는 이창동, 박광수 감독과 의기투합하여 영화 '그 섬에 가고 싶다'에 출연하였다. 그 후 '[[젊은 남자]]'(1994)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였다. 이러한 다작 활동으로 말미암아 한때 “국내영화는 명계남이 출연한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로 구분할 수 있다”라는 우스갯소리가 나돌 정도였다. 1996년에는 영화사 이스트 필름을 만들면서 제작자로서 발돋움 하였다. 1997년 '[[초록물고기]]'를 제작하여 그 해 최고의 화제작으로서 각종 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에는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을 제작하였고, 2002년에는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를 제작하여 호평을 받았다. TV에서도 각종 프로그램의 패널리스트로 나왔고, 출판사 '사람사이'의 설립 대표로도 활동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후보를 열성적으로 지지하였다.[* [[노사모]]의 팬클럽 회원들은 하나같이 그를 [[회장님]]이라 부른다.] 배우 [[문성근]]과 함께 노사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대표일꾼'직을 역임하였다. 참여 정부 출범 이후에는 정치에도 깊이 관여하여 [[열린우리당]]의 국민참여연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다만, 정계진출이나 내각에 들어오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던 듯 하다.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 이후 귀향하자 그 자신도 [[봉하마을]]로 이사하였으며 이후 계속 마을 주민으로서 정착하여 생활하고 있다. 관련 정치인들이 노무현의 묘소를 방문하기 위해 봉하마을을 갈 때면 아무래도 현지 주민이다보니 명계남이 한 마디씩 하게 된다. 2012년도에는 봉하마을을 방문한 국회의원 [[김한길]][* 여담이지만 김한길 부인 [[최명길(배우)|최명길]]과 2019년에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에서 시아주버님-제수 관계로 출연하였다.]의원을 비판하기도 했다. 2017년 대선 경선에서는 [[안희정]]을 지지했다. 2011년 4월엔 후배 배우를 양성하는 연기음악원 매드스타아카데미를 개원, 대표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KBS 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에서부터 동방우[* 명계남의 호다.]라는 이름으로 예명을 정해 활동하고 있다. 세제내딸의 로고 제작도 했다. 근데 은근히 [[에로 영화]]에 많이 출연한다.[* [[에로 영화]]계에 혜성같이 나타난 인기작 "젊은 엄마" 시리즈, 여자 전쟁 시리즈 등등 에로는 아니지만 19금 장면이 나오는 영화에서 그 19금 역할을 하기도 한다. [[중독노래방]]의 변태노인 역할도 그가 했다.] 2021년 최근에는 [[이재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 수상 ==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작품상 * 1997년 제17회 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 1997년 제35회 대종상 영화제 심사워원 특별상 * 2000년 제35회 카를로비바리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 2000년 제37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 2002년 영화발전공로 옥관문화훈장 * 2002년 제59회 베니스영화제 신인배우상 경력이스트 필름 대표 == 작품 == === 주연 === * 대부업자: 소울 앤 캐시 (2018) - 천수관 * [[노무현입니다]] (2017) - 본인 * 우리 손자 베스트 (2016) - 정수 역[* 재미있게도 배우 본인의 정치 성향과는 정반대인 [[극우]] [[정게할배]] 캐릭터다. 또한 손자 역할로 [[구교환]]이 출연했다.] * 여자전쟁 : 비열한 거래 (2015) - 대근 역[* 돈 많은 말기암 환자 노인 역할이다.[[https://blog.naver.com/bacond/221730651845|영화 리뷰]]] * 젊은 엄마: 내 나이가 어때서 (2015) - 용태 역 * 박스 (2015) - 할배 역 * 마님 (2015) - 할아범 역 * 청야 (2013) - 이노인 역 * 미안, 미안해 (2012) - 상호 역 * 마스터 클래스의 산책 (2011) - '이헌의 오디세이' 역 * 남자니까, 여자여서 (2008) - 후배남 역 * 손님은 왕이다 (2006) - 김양길 역 * 면도를 하다 (2003) - 아버지 역 * 수취인불명 (2001) - 지흠부 역 * 복서 (2000) - 관장 역 * 이재수의 난 (1999) - 채군수 역 * 까 (1998) - 강실장 역 * 콘트라베이스 (1997) - 연주자 역 === 조연 === * [[하로동선]] (2022) - 박 회장 역 * [[고스트 닥터]] (2022) - 고재식 역 * [[공작도시]] (2021) - 유진석 역 * 목련 아래의 디오니소스 * [[메기(영화)|메기]] - 계남 역 * [[아름다운 세상]] - 명선 역 *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등장인물#s-3.4.1|한종수]] 역''' * [[최고의 치킨]] - 서명동 역 * [[미스 마:복수의 여신]] - 장일구 역 * [[오장군의 발톱]] - 동쪽나라 장군 역 * [[돌연변이(영화)|돌연변이]] - 투자자 역 * 초인 (2016) - 선생님 역 *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2014) - 도철 역 * 안녕, 투이 (2013) - 시아버지 역 * [[스톤(영화)|스톤]] (2013) - 송원장 역 * 들개들 (2013) - 장기노 역 * [[남영동1985]] (2012) - 박전무 역 * [[유령(드라마)|유령]] (2012) - 조경신 역 * 역전의 명수 (2005) - 송우진 역 * [[눈사람(드라마)|눈사람]] (2003) - 오제표 역 *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2002) - 추풍낙엽_불법접속자 역 * 스물 넷 (2001) - 세탁소 아저씨 역 * 고고 (2001) - 대사관 직원 역 * [[조폭 마누라]] (2001) - 은진 보스 역 * [[신 귀공자]] (2000) - 명기남 역 * [[반칙왕]] (2000) - 달치 역 * [[하피(영화)|하피]] (2000) - 중년남자 역 *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 형사반장 역 * 산전수전 (1999) - 송교수 역 * [[북경반점(영화)|북경반점]] (1999) - 주방장 역 * 자귀모 (1999) - 영업귀신1 역 * 내 마음의 풍금 (1999) - ?? *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1998) - 조세창 역 * [[미스터Q(드라마)|미스터Q]] (1998) - 황천방 역 * 아름다운 시절 (1998) - ?? *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1998) - 배봉수 역 * [[초록물고기]] (1997) - 김양길 역 * 마지막 방위 (1997) - 명준장 역 * 박대박 (1997) - 사무장 역 * 쁘아종 (1997) - 운전자 역 * 똑바로 살아라 (1997) - 달세 역 * 홀리데이 인 서울 (1997) - 주방장 역 * 베이비 세일 (1997) - 신만호 역 * 스카이 닥터 (1997) - 나경위 역 * 본투킬 (1996) - 인혁 역 *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1996) - 남부장 역 * 박봉곤 가출사건 (1996) - 택시기사 * [[깡패수업]] (1996) - 삼순 술집사장 역 * [[정글 스토리#대한민국의 음악 영화|정글 스토리]] (1996) - 형사 역 * 진짜 사나이 (1996) - 강사 역 * [[꽃잎(영화)|꽃잎]] (1996) - 인부 역 * 코르셋 (1996) - 박상무 역 * [[돈을 갖고 튀어라#한국영화|돈을 갖고 튀어라]] (1995) - 장하사 역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1995) - 태일 아버지 역 * 꼬리치는 남자 (1995) - 향수회사 사장 역 * 헤어드레서 (1995) - 배 국장 역 * [[테러리스트(영화)|테러리스트]] (1995) - 형사부장 역 * 내일로 흐르는 강 (1995) - 박한섭 역 * [[장미빛 인생(영화)|장미빛 인생]] (1994) - 사격장 주인 역 * [[세상 밖으로]] (1994) - 교도소장 역 *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94) - 사장 역 * [[젊은 남자]] (1994) - 황 PD 역 === 특별출연 === * [[B컷]] (2022) - 원로 역 * [[자산어보(영화)|자산어보]] (2021) - 나주 목사 역 *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2019) - 임춘봉 준장 역 * [[왓칭]] (2019) - 1층 경비 역 *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2018) - 윤영 부 역 * [[레드카펫#영화|레드카펫]] (2014) - 정우 아버지 역 * [[베를린(영화)|베를린]] (2013) - 동중호 역 * [[용의자X]] (2012) - 진성여관 주인 역 * 7인의 새벽 (2001) - 정 회장 및 조직폭력배 보스 역 == 도서 == * 2012년 봉하로 간다 (모루와정) == 여담 == * 야구선수 중 [[이병규(1983)|이병규]]와 생김새가 닮았다고 평가받는다. * 일본 배우 染島貢와 똑같이 생겼다. * [[2001년]], 클릭엔터테인먼트의 온라인 게임 ‘고고시(GoGo 市)’ 제작에 참여하였고, 초대 고고시 시장으로서 게임 홍보대사를 하였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배우 출신 정치인]][[분류:1952년 출생]][[분류:1973년 데뷔]][[분류:공주시 출신 인물]][[분류:서촉 명씨]][[분류:신일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옥관문화훈장]][[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