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지역의 동백역, rd1=동백역)] ||<-3> {{{+2 '''동백역'''}}} || ||<-3> [[파일:Busan2.svg|width=30]] || || [[장산역|{{{#!html
장산 방면}}}]][[해운대역|해운대]][br]← 1.1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04)
}}}]] || [[양산역|{{{#!html
양산 방면}}}]][[벡스코역|벡스코]][br]1.2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동백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ongbaek || || [[한자]] ||<-2><|2> 冬柏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冬柏, ruby=トンベク)]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522 ([[우동(부산)|우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센텀시티역|센텀시티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02년 8월 29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1.9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동백역 부산1.jpg|width=100%]]}}}|| || '''{{{#FFF [[스크린도어|{{{#FFF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구 역명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4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 522 ([[우동(부산)|우동]]) 소재. 역명의 어원은 [[동백섬]]이며, 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도 동백섬과 [[누리마루]]를 역 이미지로 새겨 넣었다. [[2016년]] [[4월]]부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동백역 2호선.jpg|width=100%]]}}} || || 대합실 || 화장실, 역무실을 제외하면 편의점 같은 상가 시설이 하나도 없다.[* 이는 율리역도 똑같다. 카페 비슷한 가판대가 하나 있기는 하다.] 다른 곳에 비해서 유명하지는 않지만 이 역과 [[해운대역]] 사이에도 R=200 가량의 드리프트 구간이 있다. === 운전취급역 === 동백역은 X자형 회차선과 4편성 주박이 가능한 유치선이 존재한다. 장산 회차선의 부족한 유치 용량을 보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장산역]]에서 종착한 열차가 이 역까지 [[공차회송]]한 후 심야 주박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가끔 비상시에는 동백행 열차가 운행하기도 한다. == 역 주변 정보 == 남쪽에 있는 [[바다]]와 북쪽에 있는 [[장산]] 줄기 사이에 있는 폭 200m 가량의 좁은 저지대에 위치한다. 이 좁은 저지대는 부산 구도심과 [[해운대구]] 남부([[해운대해수욕장]], [[달맞이 고개]] 등)를 잇는 좁은 입구이기도 하다. 역 주변은 새로 조성된 주거 지역으로 [[아파트]] 위주로 조성되어 있어 신도시처럼 보이지만, 본래 이 지역은 운촌이라는 어촌이었다. 현재는 어촌의 기능을 잃은 지 오래고 버스 정류장도 BRT로 바뀐 뒤인데도 운촌이라는 이름이 그대로 쓰일 정도로 유서 깊은 이름이다. 현재의 동백역에서 동백섬으로 들어가는 구간이 어촌이었으며, 마린시티 인근은 원래 운촌항이라는 어항이었다. 2020년대 들어 이 인근을 매립하여 재개발한다는 계획이 있으나, 특혜 및 자연환경 훼손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역 북쪽으로 반도보라빌, 롯데아파트 등이 있고 남쪽으로 [[대우 마리나]]아파트 단지를 지나가면 [[마린시티]]가 있다. 이렇다 보니 이용객들 대부분이 마린시티 아파트 주민이나 대우 마리나, 반도보라빌, 롯데아파트 등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다. 근처에 [[동백섬]]이 있어서 명명되었으나 정작 이 역에서 동백섬까지는 650m 정도 떨어져 있어서 걸어가기에는 약간 멀다. 1번 출구에서 동백섬까지 '[[동백로(부산)|동백로]]' 라는 이름의 길이 직통으로 뚫려 있으니 참고하자. 이정표도 있다. 수영만 요트 경기장 부근으로 나와 있는 [[해강고등학교]] 방향으로 빠지면 절대로 지하철역을 못 찾으니, 걸어가고 싶으면 [[홈플러스 스페셜 해운대점]]으로 들어가는 길 쪽으로 나가야 한다. [[벡스코역]]과 더불어 해림초등학교와 가까운 역인데, 벡스코역은 접근 통로가 차도와 가깝고 횡단보도가 많아 현장 학습 등을 갈 때면 보통 동백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 서쪽 일부분과 [[신세계조선호텔|부산 웨스틴 조선호텔]]은 다음 역인 [[해운대역]]보다 이 역의 1번 출구에서 걸어가는 게 조금 더 가깝다. 해운대역에서 해수욕장으로 나가면 백사장 가운데로 진입하게 되므로, 해변 끝에서 끝까지 볼 생각이라면 이 역에서 시작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이 역이 개업하면서 근처에 있던 [[동서통근열차]]가 운행하던 우일역은 이용객이 폭락해 결국 2014년 공식적으로 폐역이 되었고 영업거리표에만 남아 있다가 [[벡스코역]]으로 개명한 후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으로 재개업했다. [[2013년]] 초 마린시티 주민들이 이 역의 역명을 [[마린시티]]역으로 바꿔 줄 것을 요구했으나 [[부산교통공사]]는 행정적 혼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선례를 만들면 다른 지역에서도 역명 변경을 잇따라 요구할 것을 이유로 들어 반대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419436|관련기사.]] 그래서 [[부역명]]으로라도 마린시티를 병기시켜 달라는 요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 인근에 [[해운대소방서]]가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동백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2.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5,994명 ||[* 2002년 자료는 개통일인 8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5일 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03년 || 6,020명 || || || 2004년 || 6,264명 || || || 2005년 || 6,571명 || || || 2006년 || 7,736명 || || || 2007년 || 8,260명 || || || 2008년 || 9,310명 || || || 2009년 || 9,856명 || ||}}}}}}}}} || || 2010년 || 10,516명 || || || 2011년 || 11,584명 || || || 2012년 || 12,439명 || || || 2013년 || 13,670명 || || || 2014년 || 14,269명 || || || 2015년 || 14,534명 || || || 2016년 || 14,656명 || || || 2017년 || {{{#81bf48 15,043명}}} || || || 2018년 || 14,385명 || || || 2019년 || 14,872명 || || || 2020년 || 10,647명 || || || 2021년 || 11,305명 || || || 2022년 || 12,69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872명(2019년 기준)으로, 부산 2호선의 평균적인 수요를 보이는 역이다. 이 노선에서는 주요 역이라고 보기 어려우나 지역 주민들이나 외지인들에게 인지도는 높은 역이다. 왜냐하면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에 [[동백섬]]이 등장하면서 인지도가 엄청나게 올라갔기 때문에 동백섬의 이름을 딴 동백역은 개통하자마자 자연스레 인지도가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 실제 역 이용객의 상당수가 동백섬을 찾는 [[관광객]]이며 [[웨스틴 조선호텔]]을 비롯하여 [[해운대해수욕장]] 주변에 흩어진 호텔로 가는 승객들 역시 적지만 꾸준히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마린시티]] 역시 인지도에 꽤 영향을 미쳤다. 다만 실제로는 표에 나와있다시피 승객이 그렇게 많은 역이 아니다. [[더베이101]]나 [[동백섬]], 해수욕장[* 그나마 해운대 해변이 목적인 절대 다수의 관광객은 그냥 해운대역을 이용한다.]을 찾는 일부 관광객을 제외하면 이 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거의가 [[대우 마리나]]아파트 + 구 [[동해남부선]] 너머 + [[마린시티]] + [[현대 베네시티]], [[경동제이드]] 등의 지역 주민들인데, 마린시티의 인구는 분명 상당하지만 미묘하게 먼 데다 [[부촌|자가용 소유 비율이 매우 높아]] 인구에 비하면 대중교통 수요가 그렇게 크지는 않다. 다만 어디까지나 평범한 주거 지역과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이곳에서도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의 숫자는 결코 적지 않다. 왜냐하면 마린시티의 첫 입주가 시작된 2007년과 2017년의 이용객은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분명히 마린시티를 포함한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의 존재가 아니라면 이 정도의 증가율을 기록하기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1008 동백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1008 동백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4.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해운대역|해운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벡스코역|벡스코]] || || {{{#ffffff 상}}} ||<|2>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해운대]]·[[중동역(부산)|중동]]·[[장산역|장산]] 방면|| || {{{#ffffff 하}}} ||[[수영역|수영]]·[[서면역|서면]]·[[사상역(도시철도)|사상]]·[[덕천역|덕천]]·[[양산역|양산]]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양정역(부산)|양 정]]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장산역|장 산]] || ◁ || {{{#c0c0c0 동 백}}} || ▷ || [[지게골역|지게골]]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 || [[수영역|수 영]] || ▷ || [[사직역|사 직]]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5> {{{#c0c0c0 없 음}}}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거제해맞이역|거제해맞이]] || ◁ || {{{#c0c0c0 벡스코}}}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 연계 교통 == * 동백역(정류장 번호: 09-723)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38]]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39]] - 남구국민체육센터행 * [[부산 버스 40]] - 구덕운동장행 * [[부산 버스 63]] - 부산진구청행 * [[부산 버스 100]]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100-1]]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115-1]] - 대진여객.고촌역행 * [[부산 버스 141]][*심야 심야포함]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81]] - 센텀파크행 * [[부산 버스 200]] - 구포시장행 * [[부산 버스 1006]]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1011]] - 경제자유구역청행 * 동백역(정류장 번호: 09-724) * [[부산 버스 31]] - 송정행 * [[부산 버스 38]]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39]] - 기장(교리)행 * [[부산 버스 4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6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15-1]] - [[해운대구청]]행 * [[부산 버스 141]][*심야] - 송정행 * [[부산 버스 18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20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6]] - [[신해운대역|동해선신해운대역]]행 * [[부산 버스 101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분류:해운대구]][[분류:해운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