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수도권 광역전철 노선/미개통)] [목차] == 개요 == [[용인경전철]] [[동백역(용인)|동백역]]에서 구성지구를 거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용인역(GTX)|용인역]]([[분당선]] [[구성역]])과 [[용인플랫폼시티]] 부지, [[신분당선]] [[성복역]]을 거쳐 [[수지구]] [[신봉동(용인)|신봉동]]까지 연구용역 단계에서 임시로 계획되고 있는 14.4km의 [[경전철|신교통수단]] 노선이다. [[용인플랫폼시티]] 건설에 대한 배후 교통수단으로 기획된 부분으로 2018년 지방선거 후보였던 [[정찬민(정치인)|정찬민]] 민선 6기 용인시장과 [[백군기]] 민선 7기 용인시장의 선거 공약[* 다만 정찬민 전 용인시장 안에서는 성복역을 제외하고 상현역이나 수지구청역으로 연장하도록 기획되었다.]으로 기획된 노선이다. == 진행 경과 == 용인시에서는 [[용인플랫폼시티]](보정마북경제신도시) 구상이 본격화되면서 이를 언남지구(경찰대) 광역교통대책 수립과 연계해 동백지구(어정역) ~ 언남(경찰대) ~ [[구성역]] 간 용인경전철 지선 노선 부설 방안을 2017년 사전 타당성 조사에 붙인 바 있으나 경제성이 크게 부족해(B/C=0.28~0.31)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난 바 있었다. 이후 2017년 [[용인시청]]에서 [[정찬민]] 용인시장이 추진하던 동백역([[에버라인]]) ~ 구성역([[분당선]],[[GTX]]) ~ 수지구청역([[신분당선]]) 방안이 2018년 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공식화, 구체화되었다. 현직 용인시장 [[정찬민(정치인)]]에 맞서 도전장을 내민 [[백군기]] 민주당 후보는 [[수지구청역]] 대신 아래와 같은 [[성복역]] 연결 노선을 제시했다. 그리고 백군기 후보가 당선되면서 동백역 ~ 구성역 ~ 성복역 노선으로 구상하게 된다. [[https://www.gisulin.kr/m/content/view.html?§ion=1&no=19755&category=6|예상 노선도]] 이후 GTX [[용인역(GTX)|용인역]]([[분당선]] [[구성역]])과 그 일대에 들어서는 [[용인플랫폼시티]] 및 언남동의 경찰대 이전부지에 추진중인 용인 언남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의 교통대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용인시에서 발주한 동백~신봉 신교통수단 사전타당성 조사를 포함한 '''용인시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 경강선 연장, [[기흥역]]~[[광교중앙역]] 경전철, 동백~신봉 경전철 연장 사업 경제성 확보를 위한 대안노선 검토 및 기술적·학술적 검토 수행, 국가철도망계획 등 중장기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을 [[서울과기대]] 정성봉 교수 연구팀에서 낙찰받아 2019년 7월 12일부터 1년간의 타당성조사에 돌입했다. [[http://www.yongin.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1&q_bbscttSn=20191202134149095&q_clCode=5|용인시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 [[파일:dongbaekshinbongline.jpg]] 1년간 진행된 이 사전타당성용역 결과가 2020년 7월 발표되었는데 전체구간 14.4km에 걸쳐 12개 역을 건설하고 2량 지하경전철을 운행하는 방안이 B/C 0.92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2019년에 용역 발주시에는 종점이 [[성복역]]으로 계획되었으나, [[수지구]]에서 [[분당선]], [[신분당선]]이 다니지 않는 교통소외지역인 [[신봉동(용인)|신봉동]] 주민들의 요구를 용인시가 반영하여 계획을 수정, [[서울과기대]] 프로젝트팀이 도출한 최종 결과에서는 신봉동으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파일:1811091346217530.jpg]] 향후 국토부에서 허가를 내주기까진 많은 시간과 절차가 필요하다. 도시철도는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및 확정 고시(경기도, 국토교통부) → 예비타당성 조사(기획재정부) → 노선별 도시철도기본계획 수립 및 확정 고시(경도, 국토교통부) → 사업계획 수립 및 승인 고시(경기도, 국토교통부) → 착공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용인시의 사전타당성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2021년 10월 개시된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용역에 검토 대상 노선으로 포함되어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1741|2023년 9월 3일]] 현재 경기도에서 국토부로 계획 승인 요청을 한 상황이다(위 그림 5번 단계). 이후 연말까지 경기도와 국토부가 협의 중에 있으며 국토부 승인을 받으면(6번 단계) 2023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확정 고시(4번 단계)된다. [[파일:동백신봉선노선도(2023용인시시정운영계획).jpg|width=100%]] 2023년 신년을 기해 발표된 [[https://www.yongin.go.kr/home/ifOp/ifOpReci/ifOpReci04.jsp|2023 용인시 시정운영계획]]에 나온 노선을 보면 기점 동백역을 출발해 동백지구 중심부(동백소방서/우체국), 동백북단(동백중학교)을 지나 청덕지구, 언남동을 통과하여 구성역(분당선)/용인역(GTX)에 접속하며 이후 플랫폼시티 내부를 훑는 대신 소실봉을 관통하여 성복역(신분당선)을 지나 신봉동 안쪽으로 들어가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 차량 == 차량은 김포 도시철도, 우이신설선과 유사하게 2량 지하경전철로 추진 중에 있으며, 차량기지 및 여타 제반시설 확충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원안처럼 [[용인 에버라인]]의 지선형태로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은 경제성 미달로 기각된 바 있다. 물론 지선으로 지어져도 동백역을 제외하면(혹은 포함해서) 전부 지하로 지어질 가능성이 크다. 만약 에버라인의 지선으로 운행된다면 거리상의 문제로[*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은데, 에버랜드~신봉 계통으로 운행 시 합치면 30km 정도 되며, [[인천 도시철도 2호선]]보다 조금 더 짧다.] 에버랜드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지는 않고 차량기지 인근 [[초당역]]에서 종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민자노선인 에버라인과 직결한다면 이 노선 또한 200원의 추가요금이 붙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신분당선과 에버라인의 추가요금을 합산하면 이미 1200원이고, 신분당선으로 [[판교역(성남)|판교역]] 이북으로 이동할 시 200원이 더 추가된다. --편도인데 요금이 벌써 2배-- 이렇게 되면 이 노선의 흥행이 쉽지많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파일:dongbaekshinbongtrainbaselocation.png]] 차량기지는 현재까지 진행된 용인시 사전타당성 용역 단계에서 종점인 [[신봉동(용인)|신봉동]]에 신축을 하는 방안([[https://m.cafe.naver.com/seosuji/857|#]])으로 검토되었다.[* 우이신설선처럼 지하에 기지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신봉동(용인)|신봉동]] 주민들의 반발은 덜할 것으로 보이지만 공사비의 증액이 우려된다. 지상에 만든다면 안 그래도 [[난개발/경기도|난개발]] 때문에 불만이 많은 [[수지구]] 입장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인경전철과 동일한 봄바디어 INNOVIA Mark.II를 사용한다면 [[용인경전철차량사업소]]를 공유하는 방식[* 이 경우 인프라 구축은 용이하지만, 최소한 회차가 가능한 [[초당역]]까지는 반강제로 노선을 연장해야 한다. 또한 30편성 정도가 추가로 들어올 텐데, [[용인경전철차량사업소]]가 열차를 얼마나 더 수용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으로 갈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용인경전철 분쟁으로 용인시와 [[봄바디어]]가 국제상사분쟁을 벌일 정도로 관계가 최악이고, 국내 최초 경전철 사업이었던 에버라인과 달리 대한민국은 현재 경전철로 [[K-AGT]]를 사용하도록 국가정책을 펴고 있어서 그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혹은 [[용인플랫폼시티]]를 조성하면서 경전철 차량기지 부지를 미리 마련해놓을 수도 있다. [[삼가역]] 근처에 위치한 [[용인 에버라인]] 차량기지나 [[보라매공원]] 지하에 조성되는 [[서울 경전철 신림선]] 차량기지를 보면 기종착역 대신 노선 중간에 기지창이 조성되기도 함을 알 수 있다. == 기대 역할 == 이 노선이 개통되면 [[용인시]] [[수지구]]와 [[기흥구]](옛 구성읍 지역 한정)[* 보정동·구성동·마북동·동백1~3동·상하동[* 상하동은 생활권이 조금 달라 제외될 수도 있다.]을 구성구로 분구하는 방법이 현실화된다면 기존 기흥구(구 기흥읍) 지역은 단 1cm도 지나가지 않게 되고 새로 분구되는 보정·구성·마북·동백1~3동·상하동 (가칭)구성구 지역만 지나간다. 그러나 [[기흥구]]의 중심지인 [[구갈동]]에서 먼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계는 가능하다.], [[처인구]][* [[처인구]]의 경우도 [[용인 경전철]]이 지나가는 시내동지역과 [[포곡읍]]만이 해당된다. 물론 처인구 인구의 절반을 웃도는 인구가 이 지역에 몰려 있긴 하니...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GTX]]환승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어 줄 예정이다.[* 다만 2020년 현재로서도 죽전역을 넘어가지 않고도 갈 수 있으나, 이 노선을 이용하는 버스 노선은 전무하다. 다만 [[상현역]]에서 출발하는 [[용인 버스 77|77번 버스]]가 예정 경로와 비슷하게 이동한다.] * [[기흥구]] [[동백동]], [[청덕동]], [[언남동]] 이 노선의 개통 시 가장 수혜를 입는 지역으로 꼽히며, 현재 구 구성읍 지역에서 교통이 가장 불편한 지역이다. 동백동의 경우, 따로따로 놀던 북부-중부-남부가 이어지게 되고, 북부 지역은 버스 외에도 통근에 용이한 [[GTX]], [[수인분당선]] 및 [[신분당선]]과 연계되는 철도교통이 확충되고, 남부 지역은 지역 내에서 이용객이 많은 편인 [[동백역(용인)|동백역]]이 환승역이 되기 때문에 이득이다. 또한 ~~파리만 날리고 있는~~ [[쥬네브]] 상가의 활성화 혹은 재개발도 어느 정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청덕동은 버스 소외지역에다가 동백동 그리고 [[분당신도시|분당]]과의 버스연계에 비해 구성동과 마북동으로 연계되는 버스편이 너무 넓은 배차간격 문제로 영 좋지 않았는데 이게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이며, 경찰대 부지 재개발을 앞둔 언남동도 철도가 들어오게 되어 서울 및 분당으로 출퇴근이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 [[기흥구]] [[마북동]] [[마북동]]은 이미 확정된 [[용인플랫폼시티]], 공사 중인 [[용인역(GTX)|용인역]]과 더불어 또 다시 수혜를 입는다. 주민들 입장에서는 [[구성역]]을 이용하기 좋은 곳에 역이 생긴다면 [[구성역]]으로 출퇴근이 용이할 것으로 보여진다. * [[수지구]] [[성복동]] [[성복동]]은 이미 [[신분당선]]이라는 분당/서울 출퇴근 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에 앞 지역들보다 이 노선의 중요성이 떨어지긴 하나, 이 동네에서 이 노선이 지니는 가치는 [[삼가동|용인 행정타운]]-[[보정동|보정]]-[[기흥구|기흥]]까지의 생활권 확장에 있다. [[GTX A]]를 이용할 수 있고 기존 이용하기 어려웠던 용인시청 등 용인시 행정타운까지 최단시간으로 이어주는 노선이 생기기 때문에 나쁠 건 없다. 동시에 수지구의 유동인구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다. 또한 접근성이 더 좋아진 [[롯데몰 수지]]의 흥행 역시 기대할 만 하다. * [[수지구]] [[신봉동(용인)|신봉동]] 신봉동은 [[수지구]] 내에서는 거의 유일한 철도 소외지역이었으나, 이 노선이 개통되면 철도가 들어오게 된다. [[신분당선]], GTX, [[용인시]]내 행정기구와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 이후 버스가 줄어들어 현재 신봉동을 지나가는 버스마다 사람들이 타고 내리기도 힘들 정도로 가득차있어 버스 이용도 힘들고, 안전 사고 발생 우려가 큰 상황인데 이를 완화시키는데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그 외 지역 그 외 수인분당선으로 연계되는 [[보정동]], [[신갈동]], [[구갈동]], [[상갈동]]이나 신분당선으로 연계되는 [[풍덕천동]], [[죽전동(용인시)|죽전2동]], [[동천동(용인)|동천동]], 용인 경전철로 연계되는 [[상하동]], [[처인구]] 시내동지역과 [[포곡읍]]에서도 [[수지구]]와 [[기흥구]], [[처인구]]를 오가는 철도교통수단이 생겼다는 점 등에서 이득이 된다. * [[용인 에버라인]]은? 반면 기존의 [[에버라인]](특히 [[어정역]]~[[동백역(용인)|동백역]] 구간)의 경우, 이 노선이 개통된다면 서울이나 분당으로 통근, 통학하는 승객들이 굳이 [[기흥역]]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큰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은 상황. 접근성이 더 좋고 배후 인구도 많은 동백지구 중심지에 역이 생기는 게 유력하기 때문에 [[어정역]]은 안그래도 적던 수요가 저쪽으로 몰려 이용객 폭락이 예상된다. [[기흥역]]의 경우도 이 노선이 개통되면 기존 에버라인의 [[왕십리역]] 방향 수요는 기존 기흥역 환승에서 [[구성역]]이나 [[성복역]] 환승으로 대거 이탈할 가능성이 크다.[* 물론 [[수원역]], [[인천역]] 방향 수요는 [[기흥역]] 환승이 가장 합리적인 경로인지라 여전히 유지될 예정이고, [[광교중앙역]] 연장안이 완공되면 오히려 실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대역]], [[지석역]] 연선의 경우도 굳이 동백역으로 돌아가서 환승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대로 [[기흥역]] 환승을 유지할 것이니 직접적으로 손해를 볼 구간은 [[어정역]] 정도로 보인다. ] 다만 기존처럼 수인분당선 급행이 [[구성역]]은 통과하고 [[기흥역]]만 정차하면 급행 시간대만큼은 [[기흥역]]에 몰릴 가능성도 있으나, 수인분당선 급행이 상당히 적기 때문에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 문제점 == * '''주 수요처 미경유''' * [[수지구]]의 경우 수지에서 최대 교통체증 혼잡지역인 [[죽전동(용인시)|죽전동]]을 제외함으로서 [[죽전역(분당선)|죽전역]] 그리고 중심지인 [[수지구청역]]을 지나가지 않고, 그 인근의 [[구성역]], [[성복역]]을 지나간다. * [[처인구]]의 경우, 주요 행정시설인 용인시청([[시청·용인대역]]), 원 용인 최대 상권 김량장([[운동장·송담대역]]), 대형 관광지인 [[에버랜드]]([[전대·에버랜드역]])까지 가지 않고 중간에 환승을 한 번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 [[기흥구]]의 경우, 시외버스와 광역버스의 최적 환승 위치의 [[기흥역]], [[신갈동|신갈오거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 주 수요처로 이동 시 환승 강제 - 위와 연계된다. 이 노선 연선의 거주자들은 [[분당신도시]] 쪽으로의 통근 비율이 압도적이고 일부 [[수원시]] 통근자가 있는데, 이쪽으로 가려면 [[구성역]]과 [[성복역]]에서 적어도 1회의 환승이 강제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용인시청의 경우도 현재 안으로서는 [[동백역(용인)|동백역]]에서 환승이 강제될 것이다. 수지구에서는 [[용인 버스 690]] 등, 동백에서는 [[용인 버스 810]] 등의 경쟁자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환승 없이 분당([[미금역]])이나 용인시청을 잇는 노선이다. 과연 이런 알짜 버스들을 상대로 1~2회 환승이 강제되는 이 노선의 수요가 보장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 [[동탄인덕원선]] 미연계 - [[서천역]], [[영통역]]과의 미연계로 [[안양시]], [[수원시]], [[화성시]]로의 만안, 영통, 동탄 통근 이용객을 끌어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반론 === * [[죽전역(분당선)|죽전역]], [[수지구청역]] 등 [[상현동]], [[동천동(용인)|동천동]], [[죽전동(용인시)|죽전동]], [[풍덕천동]]의 [[수지구]] 중심지역 반경과의 연계 * 확실히 [[죽전동(용인시)|죽전동]], [[동천동(용인시)|동천동]], [[풍덕천동]]은 심각한 교통체증에 의한 잦은 신호문제, [[상현동]]은 혼잡한 도로망 문제가 중첩되어 수요도 많기에 아쉬운 부분이긴 하나,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으로 연계가 가능하며, 수지구 중심지에서 처인구 [[용인시청역|용인시청]]으로의 직행이 되지 않는다. 반면 수원 팔달구 경기도청은 도청이 수원 광교신도시로 이전하는 2021년 이후 지하철과, 버스노선 등으로 연계할 수 있다. 이 노선은 신봉동을 끝으로 단절되기 때문에 분당으로 직접 들어가는 [[용인 버스 810|810번]]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용인시청]], [[김량장역]], 에버랜드 등 [[처인구]] 중심지역 반경과의 연계 * 일단 결정적으로 시청까지 가야 하는 일부 행정 업무, 일부 통학 수요를 제외하면 구성동과 용인시 처인구 원도심 간에 교류가 많지 않아 무의미한 연계이며, 세 곳 모두 [[동백역(용인)|동백역]]에서 1회 환승(혹은 직통으로) 갈 수 있다. 애초에 수지구~처인구 직행 버스는 그다지 많지도 않고 위에서 언급된 690번은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고 소요시간 또한 상당하다. 현재도 수지구와 처인구간 이동시 버스 보다는 분당선과 에버라인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오히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에버라인 환승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존 수요 유지에 더해 신규 수요가 더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 [[기흥역]], [[신갈정류장]] 등 [[신갈동]], [[구갈동]]의 [[기흥구]] 서부 중심지역 반경과의 연계 * 이쪽도 수지구 쪽에서는 교류가 많지 않으며, 구성동 쪽에서도 구갈, 신갈 지역으로는 잘 가지 않는다. 다만 동백동 등지에서 [[광역버스]]를 타면 필연적으로 기흥역과 신갈오거리를 지나가긴 하는데, 이 수요는 2024년 이후 개통되는 [[GTX A]]가 서는 [[구성역]]을 지나가는 것으로 대체될 것이다. * 용인시 내 상권과의 연계 * GTX 용인역 인근, [[용인플랫폼시티]] 내에 상업지구 부지가 있고, 경찰대학 뉴타운 부지에는 아파트 단지의 조성으로 신규 상권이 창출될 것으로 보이기에, 현재 용인시 주요 상권과의 접근성 문제는 그간 [[동백동]]을 제외하면 중심지가 없던 기흥구 동부 지역에 신규 상권을 창출하는 것으로 상쇄될 것으로 보인다. * [[동탄인덕원선]] 미연계 * [[환승저항]]을 간과하기는 좀 어려운 부분도 있으나, 그걸 감안해도 이쪽에 대한 미연계는 예비타당성 계측 조사를 간과한 비판도 있다. 애초에 이 노선의 주요 수요처와 동탄선인덕원선은 완벽하게 평행선을 달리기 때문에 연계 환승역을 신설하는 방안 역시 쉽지 않다. 또한 2020년대 후반에는 아래의 루트들이 대안이 될 수도 있다. == 역명 == 현재까지 진행된 계획 단계(용인시 사전타당성 용역)에서는 [[동백역(용인)|동백역]]([[에버라인]]) ~ [[구성역]]([[분당선]],[[GTX]]) ~ [[성복역]]([[신분당선]]) ~ 신봉동에 걸친 노선 연장 14.4km에 12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1020010011160|출처]] ## 공식적인 용역결과나 오피셜이 난 역만 적을것. ||<|2><:> 역번 ||<|2><:> ㎞ ||||<|2><:> 역명 ||||<:> 승강장 ||<|2><:> 분기선 ||<|2><:> 환승노선 ||<|2><:>소재지 || ||<:> 형태 ||<:> 횡단 || || 1 ||<:>0.0 ||<:>[[동백역(용인)|동 백]] ||<:> 東 栢 || || || ||<:>{{{#4ea346 ●}}} [[용인경전철]]||<|2><:>[[용인시]][br][[기흥구]]|| || ||<:> ||<:>[[구성역|구 성]][br]([[용인역(GTX)|GTX 용인역]])[* GTX 개통상황에 따라 역명이 변동될 수 있다. 용인시에서 첫 트리플환승역이 된다.]||<:> 駒 城 || || || ||<:>{{{#AB087D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 A]][br]{{{#ffb300 ●}}} [[수인·분당선]]|| || ||<:> ||<:>[[성복역|성 복]] ||<:> 星 福 || || || ||<:>{{{#c82127 ●}}} [[신분당선]] ||<|2><:>[[용인시]][br][[수지구]]|| || 12 ||<:> ||<:>[[신봉역|신 봉]] ||<:> 新 鳳 || || || || || [[분류:수도권의 계획 중인 도시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