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절 문자의 계보)] [include(틀:방글라데시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는 문자 체계이다. 주로 [[벵골어]]와 [[아삼어]]의 표기에 사용되며, 벵골-아삼 문자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 동부 지방에서 [[산스크리트어]]의 표기에 사용되었던 문자이며, 지금도 가끔 산스크리트어를 이 문자로 적기도 한다. [[힌디어]] 등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하는 다른 인도아리아계 언어도 필요하다면 데바나가리만큼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적을 수 있다. 벵골어, 아삼어 외에 인도 동부 지방에서 사용되는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어(Bishnupriya Manipuri), 코크보로크어(Kokborok), [[방글라데시]]에서 사용되는 치타공어,[* 벵골어와 별개로 간주할 경우] 실레트어[* 벵골어와 별개로 간주할 경우]도 동부 나가리 문자를 주 표기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인도 동부의 산탈리어, 차크마어, [[마니푸르어|메이테이어]], [[쿠루흐어]]도 각기 주 표기 문자가 있기는 하지만 동부 나가리 문자도 표기에 폭넓게 사용한다. == 모음자 == || || 문자 || IPA[br](현대 벵골어) || IPA[br](산스크리트어) || 자음 합성 표기 || ||<|7> (역사적)[br]단모음 || অ || /ɔ/ || /ɐ/ || (기본음) || || ই || /i/ || /ɪ/ || ি || || উ || /u/ || /ʊ/ || ু || || এ || /e~ɛ/ || /eː/ || ে || || ও || /o/ || /oː/ || ো || || ঋ || /ɾi/ || /ɽ̩/ || ৃ || || ঌ[*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li/ || /l̩/ || ৢ || ||<|7> (역사적)[br]장모음 || আ || /a/ || /aː/ || া || || ঈ || /i/ || /iː/ || ী || || ঊ || /u/ || /uː/ || ূ || || ঐ || /oi/ || /aːi/ || ৈ || || ঔ || /ou/ || /aːu/ || ৌ || || ৠ[*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ɾi/ || /ɽ̩ː/ || ৄ || || ৡ[*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li/ || /l̩ː/ || ৣ || == 자음자 == 왼쪽의 '후음, 구개음', 위쪽의 '파열음' 등은 산스크리트어 자음 분류에 따른 전통적 분류 방식으로, 현대 음운론에 따른 분류와는 벵골어 등 동부 나가리 문자가 사용되는 언어 내의 역사적 변이로 인해 현대음과 약간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 분류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현대 표준 벵골어[*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는 파찰음의 조음 위치가 조금 앞쪽으로 옮겨져 후치경 파찰음들이 치경 파찰음으로 조음되는 경향이 있다.] 기준 IPA를 따로 아래에 병기하였다. || ||<-4> [[파열음]] || [[비음]] || [[접근음]] ||<-2> [[마찰음]] || || 청탁 ||<-2> 무성 ||<-4> 유성 || 무성 || 유성 || || 기식 || 무기 || 유기 || 무기 || 유기 ||<-3> 무기 || 유기 || || [[연구개음|후음]] || ক[br]/kɔ/ || খ[br]/kʰɔ/ || গ[br]/gɔ/ || ঘ[br]/ɡʱɔ/ || ঙ[br]/ŋɔ/[* 현대 벵골어에서는 초성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 ||<-2> || হ[br]/ɦɔ~hɔ/ || || [[경구개음|구개음]] || চ[br]/tʃɔ/ || ছ[br]/tʃʰɔ/ || জ[br]/dʒɔ/ || ঝ[br]/dʒʱɔ/ || ঞ[br]/ẽɔ/[* 복자음에서는 /n/ 음이 됨. 현대 벵골어 표기에서는 드물게 사용되며, 벵골 문자에서는 언젠가 사라질 것으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 || য[br]/dʒɔ/[br]/zɔ/[* 벵골어 /zɔ/는 페르시아어, 아랍어 외래어에서만 실현된다.] || শ[br]/ʃɔ/ || || [[권설음]] || ট[br]/ʈɔ/ || ঠ[br]/ʈʰɔ/ || ড[br]/ɖɔ/ || ঢ[br]/ɖʱɔ/ || ণ[br]/nɔ/[* 잘 교육받은, 특히 산스크리트 교육을 받은 사람의 경우 권설음으로 구별해서 발음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 র[br]/ɾɔ/ || ষ[br]/ʃɔ~sɔ/[* 잘 교육받은, 특히 산스크리트 교육을 받은 사람의 경우 권설음으로 구별해서 발음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 || [[치음]] || ত[br]/t̪ɔ/ || থ[br]/t̪ʰɔ/ || দ[br]/d̪ɔ/ || ধ[br]/d̪ʱɔ/ || ন[br]/nɔ/ || ল[br]/lɔ/ || স[br]/sɔ~ʃɔ/ || || [[양순음|순음]] || প[br]/pɔ/ || ফ[br]/pʰɔ/[*ʰp 구어에서 흔히 \[fɔ\]로 발음된다.] || ব[br]/bɔ/ || ভ[br]/bʱɔ/[*ʱb 구어에서 흔히 \[vɔ\]로 발음된다.] || ম[br]/mɔ/ || == 비다샤고르 개혁 == 19세기 [[벵골 르네상스]] 시대에 이쇼촌드로 비다샤고르(ঈশ্বরচন্দ্র বিদ্যাসাগর, Ishwar Chandra Vidyasagar, 1820 ~ 1891)가 벵골어의 표기에 쓰이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개혁했다. 비다샤고르는 벵골어 정서법을 조금 더 직관적으로 바꾸고, 19세기 벵골어 음운 구조에 맞게 산스크리트어 표기에는 사용되었지만 벵골어를 적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3개 모음자 'ৠ'(장모음 ṝ), 'ঌ'(단모음 ḷ)[* 단 20세기 후반까지도 이 문자 역시 여러 지역의 표준 벵골어 교육에서는 여전히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자가 완전히 쓰이지 않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ৡ'(장모음 ḹ)를 삭제하고, 19세기 벵골어를 위한 3개의 새로운 자음자 'ড়'(ṛô /ɽɔ/), 'ঢ়'(ṛhô /ɽʱɔ/), 'য়'(yô /jɔ/)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현대 벵골어에서 권설 탄음 /ɽ, ɽʱ/은 동부 [[다카(방글라데시)|다카]] 방언을 포함한 많은 동부 방언에서 치경 탄음 /ɾ/과 함께 [[접근음]]화되어 모두 /ɹ/로 동화되었다. 표준 문어와 [[콜카타]] 등 서부 방언에서는 아직 탄음의 치경음-권설음 구별이 남아 있다.] 이 비다샤고르 개혁은 일반적으로 벵골어권 외에도 동부 나가리 문자 사용 지역에서 받아들여졌으며, 이에 따라 근대 이전 동부 나가리 문자와 근현대 동부 나가리 문자는 표기 문자의 수와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 벵골 문자와 아삼 문자의 차이 == 벵골어에서 사용하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벵골 문자', 아삼어에서 사용하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아삼 문자'라고 한다. 둘 모두 이상의 비다샤고르 개혁을 받아들였고, 따라서 기본 자형은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우선 무엇보다 중요한 차이는 아삼어에서는 치(경)음과 권설음의 동화가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벵골어에서 권설음으로 읽는 자음을 아삼어에서는 대응하는 치(경)음으로 읽는다는 것이다. 이 외의 차이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 IPA || 벵골 문자 || 아삼 문자 || || /ɾɔ~ɹɔ/ || র || ৰ || || /wɔ/ || - || ৱ || || /kʰjɔ/ || - || ক্ষ || || 문자 || 벵골어 음 || 아삼어 음 || || শ, ষ || /ʃɔ/ ||<|2> /xɔ/ || || স || /sɔ~ʃɔ/ || || চ || /tʃɔ/ ||<|2> /sɔ/[* 여러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도 이렇게 발음한다.] || || ছ || /tʃʱɔ/ || || য || /dʒɔ/[br]/zɔ/[* 벵골어 /zɔ/는 페르시아어, 아랍어 외래어에서만 실현된다.] ||<|3> /zɔ/[* 여러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도 이렇게 발음한다.] || || জ || /dʒɔ/ || || ঝ || /dʒʱɔ/ || [[분류:브라흐미계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