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t African Rift [[파일:external/20f312ac8e816585e388f03425fa1d44e3324957417fbc2a1c5ad136f07436f7.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Africa.png]] [목차] == 개요 ==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이름 그대로 [[아프리카]]의 동부에 발달한 [[지구대#s-2|지구대]](地溝帶)다. 판의 발산형 경계에 있기 때문에 '동아프리카 열곡대(裂谷帶)'라고도 하며, 최신 서적에서는 이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중동]] [[레바논]]의 [[베카#s-4|베카 계곡]] 부터 동남아프리카 [[모잠비크]] 까지 이어진 대(大)지구대(The great rift valley)의 일부로 보며, 북쪽으로는 [[에티오피아]]와 [[지부티]] 국경지대에 걸쳐있는 아파르 지방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는 모잠비크에 이르는 거대한 지각판의 발산 경계다.[[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95%84%ED%94%84%EB%A6%AC%EC%B9%B4_%EC%A7%80%EA%B5%AC%EB%8C%80|위키백과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 자연 == 유명한 아프리카 최고봉인 [[킬리만자로 산]]과 올 도이뇨 렝가이 화산 등이 있다. [[다나킬 사막]]도 이곳에 있으며, 사막의 이색적인 풍경도 지질활동 덕에 생겨난 것이다. 물덕들에게 시클리드 산지로 잘 알려진 [[말라위 호]], [[탕가니카 호]], [[빅토리아 호]], [[투르카나호]]가 모두 이 협곡을 따라 줄줄이 나 있다. 특히 이 지구대의 계곡은 초기 인류의 진화가 일어난 인류 진화의 요람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직립보행을 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화석으로 유명한 "루시"의 화석도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인류의 조상 화석들이 다수 발굴되어 인류의 조상들이 이 지역에서 발생 진화했다는 게 확실해 고인류학의 보물섬이나 마찬가지이다. 지구대 계곡에는 큰 강이 많고 퇴적이 빨라 인류 화석이 보존될 가능성이 높다. == [[대륙 이동설]] == [YouTube(Hk7vm_XQu-Y)] 동아프리카 지구대에 대해 가장 자세하게 설명된 [[NHK]] [[다큐멘터리]] '지구대기행'이다. 아래의 사진이 나오는 부분은 44분 부근이다. 이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고 항목 상단의 사진을 다시 보면, 땅이 찢어지면서 나타난 반복적인 계단식 지형을 위성에서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external/s12.postimg.org/africa_future.png]]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아프리카]]를 둘로 나누고 있다. 먼 훗날 [[소말리아]] 전체와 [[에티오피아]] 일부, [[지부티]]의 절반, [[케냐]]와 [[탄자니아]]의 대부분, [[모잠비크]]의 일부분은 따로 [[인도양]] 쪽으로 떨어져 나와 소대륙이 될 가능성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7/2018040700126.html|관련 기사]] [[분류:아프리카의 지리]][[분류:자연지리]][[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