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FFF>[[파일:dongcheonsjj.jpg|width=100%]]|| ||<:>작가||<:>서정주|| ||<:>출판사||<:>민중서관|| ||<:>출간일||<:>1968년 11월 30일|| ||<:>수록 편수||<:>50편|| [목차] [clearfix] [[분류:서정주]] == 개요 == 미당 [[서정주]]의 다섯 번째 시집. 1968년 민중서관에서 출간되었다.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사이에 쓰인 70여 편 중 50편을 묶었으며, <[[서정주시선]]>에서 나타나던 내면세계의 승화가 시에서 다시금 나타나면서 새로운 경지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수록 작품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동천|| || ||<:>1||동천||현대문학 1966년 5월호|| || ||<:>2||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현대문학 1964년 6월호||[* 원제는 '무제']|| ||<:>3||피는 꽃||사상계 1966년 3월호|| || ||<:>4||님은 주무시고||한국일보 1967.10.29.|| || ||<:>5||모란꽃 피는 오후||월간문학 1968년 11월호|| || ||<:>6||내 영원은||현대문학 1960년 3월호|| || ||<:>7||내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은||현대문학 1968년 6월호||[* 원제는 '내 그대를 남모르게 사랑하는 마음은']|| ||<:>8||추석||현대문학 1967년 4월호||[* 원제는 '달밤']|| ||<:>9||눈 오시는 날||예술원보 12호 (1968.11.)||[* 원제는 '눈 오는 날']|| ||<:>10||마른 여울목||현대문학 1959년 7월호|| || ||<:>11||무의 의미||현대문학 1959년 2월호|| || ||<:>12||동지의 시||예술원보 (1959.12.)|| || ||<:>13||저무는 황혼||현대문학 1967년 4월호||[* 원제는 '오수의 노래']|| || ||<-2>고대적 시간|| || ||<:>14||선운사 동구||예술원보 11호 (1967.12.)|| || ||<:>15||삼경||현대문학 1967년 4월호||[* 원제는 '무제']|| ||<:>16||재채기||사상계 1962년 4월호|| || ||<:>17||우리 님의 손톱의 분홍 속에는||신사조 1962년 9월호|| || ||<:>18||여자의 손톱의 분홍 속에서는||현대문학 1968년 6월호|| || ||<:>19||비인 금가락지 구멍||사상계 1963년 12월호|| || ||<:>20||수로부인의 얼굴||-|| || ||<:>21||영산홍||문학 1966년 11월호|| || ||<:>22||봄볕||경향신문 1965.4.18.|| || ||<:>23||고요||현대문학 1962년 8월호|| || ||<:>24||무제||사상계 1963년 8월호|| || ||<:>25||내가 돌이 되면||현대문학 1966년 8월호|| || ||<:>26||외할머니네 마당에 올라온 해일||현대문학 1963년 7월호|| || ||<:>27||어느 날 밤||-|| || ||<:>28||한양호일||-|| || ||<:>29||산골 속 햇볕||-|| || ||<:>30||전주 우거||현대문학 1955년 4월호|| || ||<:>31||중이 먹는 풋대추||법륜 1집 (1968)||[* 원제는 '채권']|| ||<:>32||마흔다섯||사상계 1959년 8월호|| || ||<:>33||실한 머슴||사상계 1968년 2월호|| || ||<:>34||가벼이||시문학 1965년 5월호|| || ||<:>35||연꽃 위의 방||신동아 1967년 12월호||[* 원제는 '연꽃 속의 방']|| ||<:>36||고대적 시간||예술원보 12호 (1968.11.)||[* 원제는 '옛날의 시간']|| || ||<-2>여행가|| || ||<:>37||여행가||문학춘추 1965년 4월호||[* 원제는 '기인 여행가']|| ||<:>38||봄치위||현대문학 1962년 4월호|| || ||<:>39||내가 또 유랑해 가게 하는 것은||현대문학 1963년 12월호|| || ||<:>40||칡꽃 위에 뻐꾸기 울 때||현대문학 1966년 8월호|| || ||<:>41||일요일이 오거든||-|| || ||<:>42||무제||동국문학 1955년 11월호||[* 원제는 '고풍']|| ||<:>43||석류꽃||예술원보 12호 (1968.11.)|| || ||<:>44||어느 가을날||사상계 1961년 12월호|| || ||<:>45||산수유 꽃나무에 말한 비밀||현대문학 1968년 8월호|| || ||<:>46||경주 소견||현대문학 1967년 1월호|| || ||<:>47||강릉의 봄 햇볕||신동아 1966년 5월호||[* 원제는 '춘천의 봄 햇볕']|| ||<:>48||무제||현대문학 1967년 1월호|| || ||<:>49||나는 잠도 깨어 자도다||현대문학 1968년 6월호|| || ||<:>50||나그네의 꽃다발||동국 4호 (196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