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동해 가스전}}}[br] 東海 가스田}}}'''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해 가스전.jpg|width=100%]]}}} || || '''{{{#fff 착공}}}''' ||[[2002년]] [[3월 15일]] || || '''{{{#fff 최초 생산}}}''' ||동해-1 : [[2004년]] 7월[br]동해-2 : [[2016년]] 7월 || || '''{{{#fff 생산 종료}}}''' ||[[2021년]] [[12월 31일]] || || '''{{{#fff 위치}}}''' ||[[울산광역시]] 남동쪽 해상 약 58km || || '''{{{#fff 관리}}}''' ||[[한국석유공사|[[파일:한국석유공사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한국석유공사 흰색 로고.svg|width=50%&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의 남동쪽에 있는 [[대륙붕]] [[제6-1광구]]에 있는 가스전이다. [[한국석유공사]]가 [[1998년]] 7월 탐사 시추에 성공한 [[한국]] 최초의 가스전으로, 채굴 가능한 매장량은 [[액화천연가스]](LNG) 기준 500만톤이다. 2004년 11월부터 상업생산에 들어갔으며, 채굴량은 하루 약 1,000톤이며, [[한국가스공사]]를 통해 우선 [[경상도]]에 공급된다. 하루 1,000톤은 전국 [[LNG]] 소비량의 약 2%이다. LNG 외에 휘발유성 원유인 초경질원유(컨덴세이트)도 하루 750배럴씩 생산해 국내에 공급한다.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나라'라는 관용어구가 정착할 정도로 자원이 부족했던 나라를 [[산유국]] 지위에 올려준 귀한 유전이지만 [[2021년]] 12월 31일부로 가스 생산이 종료돼 현재는 생산시설의 철거가 진행 중이다.[[https://www.knoc.co.kr/sub03/sub03_1_4.jsp|#]] 이후에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설[* [[https://blog.naver.com/mocienews/222571868949|동해가스전에 30년간 연 40만톤 이산화탄소 저장]]]로 전환할 예정이다. == 역사 == * 1998년 7월 27일, 울산광역시 동남쪽 50km해역 대륙붕 6-1광구에서 탐사시추한 결과, 고래-Ⅴ구조의 심도 2,291∼2,470m사이의 4개 구간에서 양질의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2004358_30723.html|가스층]] 발견. * 1999년 6월 6일,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802525|평가시추]]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최종확인. * 2000년 2월 23일, 동해-1 가스전 개발 선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30184?sid=101|울산앞바다 가스전 개발 공식선언...한국석유공사]]] * 2001년 3월 13일, 현대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컨소시움에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348186?sid=101|동해-1 가스전 설비공사]] 수주. * 2002년 3월 15일, 가스생산시설 착공식[* [[https://imnews.imbc.com/replay/2002/nwdesk/article/1887824_30761.html|동해-1 가스전 4백만톤 규모 천연가스 첫 개발]]] * 2003년 3월 27일, 추가 가스층 발견[*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5200&bbs_cd_n=81¤tPage=11&search_key_n=title_v&cate_n=&dept_v=&search_val_v=%EA%B0%80%EC%8A%A4%EC%A0%84|동해-1가스전 100만톤 추가매장량 확인!]]] * 2003년 9월 22일 동해 가스전 개발타당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463064?sid=100|논란]] 발생. * 2003년 11월 20일 가스 생산파이프라인 파손사고 발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0029709?sid=115|동해 가스전 사고, 생산 차질]]] * 2004년 4월 2일 시험생산 시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0116916|동해 가스전 7월부터 생산…산유국 진입,국내 수요 2% 자체 조달]]] * 2004년 11월 5일 상업생산 시작.[*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655308|40년 만에 이룬 꿈]]] * 2005년 3월 3일 동해-1 가스전 인근 80만톤 규모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287594?sid=101|새 가스층]] 발견. * 2006년 2월 20일 고래14구조에서 22만톤 규모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235975?sid=101|새 가스층]] 발견. * 2015년 1월 22일 동해-2 가스전 발견.[* [[https://www.khan.co.kr/economy/industry-trade/article/201501222124125|동해 6-1 광구 가스전 2017년부터 상업생산]]] * 2016년 11월 7일 동해-2 가스전 상업생산.[*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6/11/07/2016110710060.html|석유공사, '동해가스-2' 본격생산 돌입... 3년간 3500억원 규모 생산]]] * 2021년 12월 31일 매장량 고갈로 생산종료[*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3847|동해 가스전의 불꽃 꺼졌다]]] == 시설 == [[파일:동해 가스전/시설.jpg|width=300]] * 육상처리시설 [[천연가스]]와 초경질원유를 슬럭캐쳐에서 분리하며, 분리된 천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고 열량조절설비에서 소량의 [[LPG]]를 혼합하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치는 시설이다. * 해상처리시설 유수분이 섞인 [[원유]]를 끌어올려 가스 및 초경질원유를 분리하고 수분을 처리한 뒤 육상처리시설로 이송하는 시설이다. == 의의 == [youtube(vqr-dKCkUiU)] 이 가스전의 개발로 한국도 [[산유국]]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고, [[LNG]] 일부를 국내에서 자체 조달할 수 있었다. [[2021년]] [[12월 31일]] 생산 종료까지 17년 동안 [[천연가스]] 4100만배럴(원유 환산시), 초경질유 390만배럴을 생산하면서 24억달러 가량의 수입 대체 효과를 냈다. 투자액은 1조 2천억원이지만 회수액은 2조 6천억원으로 220%의 회수율을 달성했다. == 기타 == [youtube(WZBsbzM557o)] 2007년 12월 [[무한도전]] 멤버들이 이곳을 방문했다. [[분류:2002년 건설]][[분류:2021년 해체]][[분류:울산광역시]][[분류:한국석유공사]][[분류:한국가스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