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해산타열차]]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관광열차)] ||<-2> {{{#ffffff {{{+1 '''동해산타열차'''}}}[br]'''EAST SEA & SANTA VILLAGE TRAIN'''}}} || ||<-2> [[파일:동해산타bi.jpg|width=150]] || ||<-2> {{{#fff '''열차정보'''}}} || || '''운행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 || '''열차 종류''' || [[관광열차]] || || '''기점''' || [[강릉역]] || || '''종점''' || [[분천역]] || || '''정차역 수''' || 13 || || '''운행개시일''' || [[2020년]] [[8월 19일]] ||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 '''사용 차량'''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 || ||<-2> [[파일:동해산타열차.jpg|width=100%]] || ||<-2> {{{#white 간선형전기동차 08호기 (200851편성)}}} || ||<-2>[[파일:동해산타열차열차.jpg|width=100%]]|| ||<-2> {{{#white '''동해산타열차 측면 도색'''}}}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LljbDAI6L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LGag27Iym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0kQ0i0xgBI)]}}} || || {{{#white '''동해산타열차 [[강릉역|{{{#white 강릉}}}]]-[[동해역|{{{#white 동해}}}]] 전면 주행 영상'''}}} || {{{#white '''동해산타열차 [[강릉역|{{{#white 강릉}}}]]-[[분천역|{{{#white 분천}}}]] 주행 영상'''}}} || {{{#white '''동해산타열차 [[분천역|{{{#white 분천}}}]]-[[강릉역|{{{#white 강릉}}}]] 주행 영상'''}}} || 2020년 8월 19일부터 [[중부내륙순환열차]](O트레인)가 폐지되고 차량을 일부 개수해 운행하는 열차이다. 그래서 이 열차는 기존 O트레인이었던 [[누리로]][* 다만 등급은 관광열차로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지만, 새마을호 일반실 요금을 받는다. ] 4량 1편성을 도색만 바꿔 그대로 운행하며, 이름 그대로 동해와 영동지방의 바다와 산의 경관을 즐기며 분천 산타마을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 측면 도색은 푸른색 물결무늬와 붉은색 삼각무늬가 양쪽 끝으로 있고 이 두 무늬는 차량 가운데로 갈수록 흐려지면서 흰색으로 [[그라데이션]]된다. 푸른색 물결무늬는 동해바다를 상징하고, 붉은색 삼각무늬는 분천 산타마을의 산맥을 상징한다. 맨 앞칸은 앞쪽이 물결무늬고 뒤쪽이 삼각무늬이며, 그 다음칸은 반대로 앞쪽 삼각무늬와 뒤쪽 물결무늬, 또 그 다음칸은 앞쪽 물결무늬와 뒤쪽 삼각무늬 식으로 두 무늬의 앞뒤가 번갈아가면서 나타난다. [[손현주의 간이역]] [[신기역(영동선)|신기역]] 편을 촬영했을 때 특별히 코레일에서 출연진들이 이 열차를 정동진에서 신기역까지 이동하게 해 준 적이 있었다. 테마가 테마이다보니 크리스마스 시즌에 가장 높은 조기 매진률을 기록한다. --이 열차를 타면 산타를 볼 수 있다.-- == 역사 == 2020년 8월 19일에 운행을 개시했다. 강릉역 출발시간을 보면 철저하게 서울역에서 오는 KTX와 연계가 되도록 시간이 짜여 있다. 2020년 12월 3일과 4일에 고장으로 인한 긴급 정비로 운휴했고 2020년 12월 23일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한동안 운행이 중지되었으나 2021년 11월 12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에 접어듦에 따라 다수의 관광열차들이 운행을 재개하면서 이 열차도 운행을 재개하였다. 시간표가 살짝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서울에서 오는 KTX와 연계가 되도록 짜여 있다. 2022년 3월 1일부터 4월 12일까지 내부 설비 정비로 운행이 되지 않았다. [[http://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2141|2022년 8월 17일부터]] [[비동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운행계통 == ||[[파일:동해산타열차 노선 재수정본.png|width=100%]]|| 운행계통은 한 가지로 [[강릉역]] - [[정동진역]] - [[묵호역]] - [[동해역]] - [[신기역(영동선)|신기역]] - [[도계역]] - [[동백산역]] - [[철암역]] - [[석포역]] - [[승부역]] - [[양원역(영동선)|양원역]] - [[분천역]] 을 운행한다.[* 사진은 강릉, 정동진, 묵호, 동해역에 [[KTX-산천]]이 정차한다고 표시되어 있지만, 2021년 8월 1일 부로 전원 [[KTX-이음]]으로 교체되었다.] ||<-20>''' #2502 (강릉 → 분천, 2023년 3월 1일 기준)'''|| || 정차역명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 도착시각 || 출발 || 10:31 || 11:01 || 11:09 || 11:33 || 11:55 || 12:10 || 12:21 || 12:35 || 12:48 || 12:59 || 13:09 || || 출발시각 || 10:13 || 10:41 || 11:02 || 11:11 || 11:34 || 11:56 || 12:11 || 12:22 || 12:38 || 12:53 || 13:00 || 도착 || || 정차시간 || || 10 || 1 || 2 || 1 || 1 || 1 || 1 || 3 || 5 || 1 || || ||<-20>''' #2503 (분천 → 강릉, 2023년 3월 1일 기준)'''|| || 정차역명 || 분천 || 양원 || 승부 || 석포 || 철암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 || 도착시각 || 출발 || 15:50 || 15:56 || 16:06 || 16:20 || 16:32 || 16:50 || 17:08 || 17:36 || 17:47 || 18:07 || 18:22 || || 출발시각 || 15:42 || 15:51 || 15:57 || 16:08 || 16:22 || 16:33 || 16:51 || 17:10 || 17:40 || 17:48 || 18:08 || 도착 || || 정차시간 || || 1 || 1 || 2 || 2 || 1 || 1 || 2 || 4 || 1 || 1 || || 참고로 [[강릉역]]에서 연계되는 [[KTX]]는 행신발 강릉행 [[KTX-이음]] #805[* 07:33 행신 출발, 10:01 강릉 도착(동해산타열차 강릉출발이 10시 13분이라서 12분안에 움직여야 탈 수 있다.). 정차역: [[서울역|서울]], [[청량리역|청량리]], [[양평역(중앙선)|양평]], [[만종역|만종]], [[횡성역|횡성]], [[둔내역|둔내]], [[평창역|평창]], [[강릉역|강릉]].] 열차와 강릉발 서울행 [[KTX-이음]] #822[* 18:40 강릉 출발, 20:51 서울 도착. 정차역: [[진부(오대산)역|진부]], [[평창역|평창]], [[둔내역|둔내]], [[횡성역|횡성]], [[만종역|만종]], [[양평역(중앙선)|양평]], [[상봉역|상봉]], [[청량리역|청량리]], [[서울역|서울]].] 열차이다. 또는 서울 방향 한정으로 [[동해역]]이나 [[묵호역]], [[정동진역]] 등에서 하차해서 KTX 846 열차를 이용해도 된다.[* 19:03 동해 출발, 19:09 / 19:10 묵호 정차, 19:29 / 19:31 정동진 정차, 21:46 서울 도착. 정차역: [[진부(오대산)역|진부]], [[평창역|평창]], [[횡성역|횡성]], [[만종역|만종]], [[양평역(중앙선)|양평]], [[상봉역|상봉]], [[청량리역|청량리]], [[서울역|서울]].] 저녁식사를 든든하게 먹고 갈 생각이라면 KTX 출발 시각을 고려할 때 오히려 이 쪽이 더 나을 수도 있다. == 여담 == 철암에서 분천까지는 백두대간협곡열차와 중복구간이다. 시간이 안 맞을때는 백두대간협곡열차를 이용해서 나가도 무방하다. 내부설비 개량을 하고 운행을 재개한 이후로부터는 더 이상 과거와 같이 전면 주행영상을 틀어주지 않고, 한국문화 홍보영상과 열차 행선 및 정차역 안내 스크롤만 모니터에 표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