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시 공영차고지)] [목차] {{{+2 東湖公營車庫地 | Dongho Public Garage}}}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경안로 700([[동호동(대구 동구)|동호동]])에 있는 시내버스 [[공영 차고지]]. 공식적인 명칭은 동호동공영차고지다. == 상세 == [[대덕교통]], [[달구벌버스]]가 이 곳을 본사로 사용 중이다. 반야월네거리 북쪽의 각산푸르지오 방향에는 [[경북교통]] 차고지가 있다. 차고지 바로 앞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이 있어서 접근성이 좋은 편이지만, 차고지 구내에 승강장이 없어서 차고지 내에서는 승하차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노선들 중 차고지에서 곧바로 [[신기역(대구)|신기역]] 쪽으로 빠지는 [[대구 버스 651|651번]]이나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 차량들은 차고지의 안심교 쪽 차량 출입구로 나와 반야월네거리에서 좌회전한 후, [[반야월역]]에서 좀 떨어진 서호동 안심중학교 앞 정류장에서 출발한다. [[2003년]]에 개장했다. 당시 [[수성구]] [[만촌동|만촌3동]] 대륜중고교 옆에 있던 [[대덕버스]]와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용계동[* [[율하역]] 엘크루 건너편 동도LPG충전소 바로 뒤에 차고지가 있었다. 이 곳에는 [[세진교통]]과 합병된 [[동광버스]]도 있었다.]에 있었던 [[우성교통|극동버스]][* 2004년 [[성보교통]]의 계열사로 편입되어 사명을 [[우성교통]]으로 바꾼 후, 2010년 10월 16일에 성보교통과 합병하고 얼마 후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검단동차고지로 통합했다. 그리고 일부 차량들은 2011년 1월에 [[경상버스]]로 넘어갔다.]가 이 곳으로 들어왔다. 개장 당시에는 종점 기능을 하지 않다가[* 당시에는 북쪽의 [[경북교통]] 차고지가 종점 역할을 했었다.] 2004년부터 동호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대구 버스 628|628번]]이 여기를 기점으로 바꿨고, 실질적인 종점의 역할은 2006년 2월 19일 대개편 이후부터 시작했다. 2010년 10월 16일 [[우성교통]]이 [[성보교통]]과 합병하고 나서 얼마 후 동호공영차고지를 떠나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검단동으로 완전히 이전했다. 때마침 이현동차고지의 임차계약 문제 때문에 새 차고지를 구하고 있었던 [[달구벌버스]]가 기다렸다는 듯이 동호공영차고지 입주 신청을 했고, 시청으로부터 입주 승인을 받아 달구벌버스가 2011년 4월 9일에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하게 되면서 현재 이 곳에 입주해 있는 업체는 [[대덕교통]]과 [[달구벌버스]] 2곳이다. 2020년 7월 15일부터 [[대구 버스 805|805번]]에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의 운행이 시작됨에 따라, [[전기버스]] 충전기가 들어선다.[* 805번만 동호공영차고지 [[전기버스]] 충전기를 사용하다가 2021년 8월에 [[대덕교통]]에서 [[대구 버스 836|836번]]에도 전기버스 [[에디슨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110]]을 투입하면서 동호공영차고지 입주 업체 또한 [[전기버스]] 충전기를 사용한다.] 2023년 8월부터 [[대구 버스 518-1|518-1번]]에 운행을 시작한 FCEV는 [[대구신서혁신도시]]에 있는 [[한국가스공사]] 본사 근처의 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한다. === 우려사항 === 율하지구, [[대구신서혁신도시]] 등의 입주 및 인근에서 종착하던 가스 충전이 불편했던 노선들이 계속해서 연장되어 들어오면서 지금은 [[대곡동공영차고지]] 못지않은 포화 상태라고 한다. 게다가 동호공영차고지 회차 노선들 모두 여기에서 장기정차를 한다. 그래서 그런지 근처 도로에 노상대기하는 차량도 간혹 보인다.[* 651번과 수성3(-1)번은 신기역에서, 618번은 영조아파트에서, 동구2번은 강동중고교에서, 동구4-1번은 반야월역 3번출구 정류장에서 노상대기한다.] 그나마 대구 노선이 가스를 충전하는 CNG 충전소 중 가장 큰 충전소가 이 곳에 있다는 점이 다행이라면 다행. 회차 공간을 고려하면 만약 타 노선이 또 들어올 경우 새로 들어온 노선은 가스만 충전하고 회차는 경북교통이나 신일여객 차고지에서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문에 [[경북교통]]에서 운행하는 동호공영차고지 종착 노선의 전기버스의 경우 경북교통 차고지에서 전기 충전하는 경우도 있다.] == 운행노선 == 장기 정차 노선은 '''볼드체''' 표시 * '''동호지구 미경유'''[* 출발 노선들 중 805번과 836번은 반야월역 4번 출구, 651번과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은 안심중학교에서 탑승이 가능하다. 차고지로 들어올 때는 네 노선 모두 반야월역 3번 출구에서 종착한 후, 해당 정류장을 지나서 옆길로 들어간다.] * '''[[대구 버스 651|651번]]'''(동호공영차고지 ~ [[대구역]] ~ 명곡미래빌1단지) * '''[[대구 버스 805|805번]]'''(동호공영차고지 ~ [[반월당역]] ~ [[달서아트센터|웃는얼굴아트센터]]) * '''[[대구 버스 836|836번]]'''(동호공영차고지 ~ [[DGB대구은행파크]] ~ [[대천동공영차고지]]) *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동호공영차고지 ~ [[TBC]] ~ 동호공영차고지) * '''동호지구 경유'''[* 출발점인 동호초등학교에서 탑승이 가능하다. 차고지로 들어올 때는 상록아이투빌아파트에서 종착한다.] * '''[[대구 버스 518-1|518-1번]]'''(동호공영차고지 ~ 하양코아루아파트 ~ 동호공영차고지) * '''[[대구 버스 618|618번]]'''(동호공영차고지 ~ [[대구역]] ~ [[대곡동공영차고지]])[*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과 달리 1일 6회 금강동으로 가는 노선은 들어오지 않는다.] *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동호공영차고지 ~ [[담티역]] ~ 동호공영차고지)[* 각각 1일 3회 금강동을 경유하며, 849번은 차고지로 들어올 때, 849-1번은 차고지에서 나갈 때 경유한다.] *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동호공영차고지 ~ [[대구향교]] ~ 동호공영차고지) *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1)번]]'''(동호공영차고지 ~ [[대구신서혁신도시]] ~ 동호공영차고지)[* 동구4번은 반야월역 4번 출구 북쪽에서 출발하고, 동구4-1번은 반야월역 3번 출구에서 종착한다.] * '''[[대구 버스 동구7|동구7번]]'''(동호공영차고지 ~ 새론초교 ~ 동호공영차고지) *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동호공영차고지 ~ [[동대구역]] ~ 노곡동) * '''중간경유 노선들''' * [[대구 버스 518|518번]] (정류장 : 반야월역(3번출구/4번출구2)) * [[대구 버스 719|719번]] (정류장 : 반야월역(2번출구)) * [[대구 버스 980|980번]] (정류장 : 반야월역(2번출구)) * '''기타''' * [[대구 버스 동구5|동구5번]] : 매여동-[[율하역]]을 잇는 신설노선으로, 양쪽 어디에도 식사 및 충전할 곳이 없어서 정해진 아침, 점심, 저녁식사 시간대에 이 곳으로 [[공차회송]]하여 해결한다. 따라서 [[대구 버스 동구5|동구5번]] 다이어에서 비어 있는 시간대는 식사/충전하는 시간대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 [[대구 버스 동구6|동구6번]] : 숙천동, 내곡동-[[안심역]]을 잇는 신설노선으로, 사유는 [[대구 버스 동구5|동구5번]]과 같다. * [[대구 버스 403|403번]] : 북구 조야동 - 수성구 사월동을 잇는 노선으로, 주로 장기정차지인 조야동에서 가까운 상리동CNG 충전소에서 하지만, 첫 차 운행전과 막차 이후에는 동호동에서 충전한다. * [[대구 버스 650|650번]] : 고령군 다산면 - 동양맨션을 잇는 노선으로, 신흥버스에서 충전 못 할 경우, 신암동 강남약국에서 동호동까지 공차회송해서 충전할 때도 있다. 첫차 운행전, 막차 이후에 CNG를 충전해둔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