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두브레우일로사우루스}}}[br]Dubreuillosaurus}}}''' || ||<-2> [[파일:Dubreuillosaurus_reconstructed_skull.png|width=100%]] || ||<#F93> '''학명''' || ''' ''Dubreuillosaurus valesdunensis'' '''[br]Allain 2005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FC6> {{{#000 '''계통군'''}}} ||메갈로사우루스류^^Megalosauria^^||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메갈로사우루스과]]^^Megalosauridae^^|| ||<#FC6> {{{#000 '''아과'''}}} ||†아프로베나토르아과^^Afrovenatorin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두브레우일로사우루스속^^''Dubreuill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두브레우일로사우루스 발레스두넨시스(''D. valesdunensis'')^^{{{-1 [[모식종]]}}}^^[br]Allain 2005 || || [[파일:dubreuillosaurus_by_cisiopurple_dbqp3td-pre.jpg|width=43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중기 [[프랑스]]에서 살았던 [[메갈로사우루스과]] 공룡. == 상세 == 1984년 Pierre de Caen의 채석장에서 공룡 화석이 표면에 드러났다고 언급하였다. 2002년 그의 화석을 [[포에킬로플레우론]]의 새로운 종이라고 생각하여 학명을 '[[포에킬로플레우론]]? 발레스두넨시스'라고 명명한다. 참고로 학명에 물음표가 붙은 이유는 이미 포에킬로플레우론에 대한 할당을 나타낸다. 후에 2005년 알랭이 포에킬로플레우론과는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학명 두브레우일로사우루스를 명명한다. 가장 가까운 친척으론 [[마그노사우루스]]가 있다. 몸길이는 5.5m로 한때 9m로 과장되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포에킬로플레우론]] * [[마그노사우루스]] [[분류:아프로베나토르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