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d5a1e 두에인 카이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8번}}}''' || || 오시 블랑코[br](1974) || {{{+1 →}}} || '''{{{#ffffff 두에인 카이퍼[br](1974~1981)}}}''' || {{{+1 →}}} || 케빈 롬버그[br](1983)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18번}}}''' || || 크리스 보저스[br](1980) || {{{+1 →}}} || '''{{{#ffffff 두에인 카이퍼[br](1982~1985)}}}''' || {{{+1 →}}} || [[밥 멜빈]][br](1986)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ne-kuiper.jpg|width=100%]]}}}|| ||<-2> '''NBC Sports Bay Area''' || ||<-2> '''{{{#ffffff {{{+2 두에인 카이퍼}}}[br]Duane Kuiper}}}''' || || '''본명 ''' ||두에인 유진 카이퍼[br]Duane Eugene Kuiper || ||<|2> '''출생''' ||[[1950년]] [[7월 19일]] ([age(1950-07-19)]세) || ||[[위스콘신|위스콘신 주]] 러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J.I. 케이스 고등학교 - 인디애나 힐스 커뮤니티 칼리지 -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 || '''신체''' ||183cm / 79kg || || '''포지션''' ||[[2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1968년 드래프트 12라운드 (전체 256번, [[뉴욕 양키스|NYY]])[br]1969년 1월 2차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160번, [[밀워키 브루어스|SEP]])[br]1970년 1월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5번, [[시카고 화이트삭스|CHW]])[br]1970년 2차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57번, [[신시내티 레즈|CIN]])[br]1971년 2차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70번, [[보스턴 레드삭스|BOS]])--[br]1972년 1월 2차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21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 '''소속팀'''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74~1981)[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82~1985) || || '''가족''' ||동생 [[글렌 카이퍼]], 사촌 딕 보스만 || || '''SNS''' ||[[https://www.instagram.com/smoothie1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내야수 출신 방송인. == 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5c43a42e5a0fbde7c21b215be42751.jpg|width=100%]]}}} || 원래 1968년 [[뉴욕 양키스]]에서 지명을 받았으나, 대학 진학을 위해 지명을 포기했다. 1971년에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아마추어 드래프트로 그를 지명했으나, 아직 졸업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마저도 포기했다. 이듬해인 1972년 1월, 2차 아마추어 드래프트를 통해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입단했다. 하지만 선수생활 만큼은 그렇게 큰 빛을 보지 못했다. 통산 타율은 .271로 나쁘지 않은 타격을 자랑했는데, 문제는 통산 홈런이 딱 1개라는 점이다. 이는 1977년에 때린 것인데, 피홈런의 주인공은 바로 현재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해설을 맡고 있는 [[스티브 스톤]][* 1980년에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에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을 받은 투수이다.]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9eWcbCK7VQ)]}}} ||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 홈런이었다. 그 후 1982년에 [[에드 윗슨]]을 상대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트레이드 됐고, 1985년 7월에 선수생활을 끝마쳤다. == 해설가 경력 == 한 동안 휴식을 취하다가 1986년부터 샌프란시스코 지역 라디오 중계방송으로 방송계에 진출했고, 1993년에 창단한 [[콜로라도 로키스]]의 중계방송을 잠시 맡았었다. 이듬해인 1994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지역채널로 다시 합류하여 본격적인 TV 중계를 하게 되었고, 26년이 지난 지금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계신다. [youtube(4MET3nlzzys)] 2003년부터 2005년까지 EA스포츠에서 발매한 MVP BASEBALL에서 [[마이크 크루코]]와 함께 목소리로 출연했다. [youtube(vhaUXJUDtBk)] 2017년 5월 12일(현지시간)에 펼쳐진 [[신시내티 레즈]]와의 홈경기인데, 무려 6시간 반 만에 끝났다.[[버스터 포지]]의 끝내기포로 천신만고 끝에 승리를 챙겼다. 끝내기 홈런으로 승부가 결정되자 카이퍼는 그제서야 안도하며 "이제 집에 갑시다." 라는 위트있는 멘트를 날렸다.[* 한국시간 오후 5시 45분에 끝났다.. 다음 경기가 낮경기라 그런지 두 팀은 저질스러운 경기력을 선보였다.] 2021년 6월 8일(현지시간)에 갑자기 건강에 이상이 생겼는지 체내 염증[* 증상은 공개하지 않았다.]을 화학적 요법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소견을 받았다. 그래서 당분간은 중계에 참석하지 못한다는 입장을 내놨고, 치료에 전념하겠다고 했다. 다음 달이면 만 71세가 되는 나름 고령자의 반열에 오르기 때문에, 이러한 카이퍼의 대처는 현명하다는 평이다.[* [[데이브 플레밍]], [[존 밀러]], [[하비 로페즈]], 션 에스테스, 그의 동생인 [[글렌 카이퍼]]와 다저스의 아나운서인 [[조 데이비스]]도 그의 쾌유를 기원했다.] 그리고 한달 반 만인 7월 24일(현지시간)에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홈경기 때 건강한 모습으로 복귀했다. 특유의 장난스러운 모습[* 중계부스에 들어오자마자 "나 돌아왔드아아아~~~" 라고 외쳤다. 그의 유쾌한 성격을 증명하는 모습.]으로 그의 파트너인 [[마이크 크루코]]와 해후했다. --하지만 이날 에이스인 [[케빈 가우스먼]]이 무기력하게 무너진 것이 함정-- 피츠버그 중계진인 [[그렉 브라운(1954)|그렉 브라운]][* 유명한 콜로 '''RAISE THE JOLLY ROGER!'''가 있다.]도 축하 인사를 전했다. === 독특한 멘트들 === * '''"GOT 'EM!"''' : 투수가 삼진을 잡아냈을 때 & 포수나 야수들이 주자를 잡아냈을 때.[* 특히 자이언츠가 병살 플레이를 만들 때에는 톤이 극도로 높아진다.] * '''"That'll end the inning"''' 또는 '''"That's gonna end inning"''' : 이닝 종료 시. * '''"And that's how this game gets started"''': 경기 첫 아웃카운트를 잡아냈을 때. * '''"He hits it high... hits it deep... it is (or this baby is) OUTTA HERE!'''" 또는 '''"HIGH DRIVE... LEFT (or RIGHT) FIELD... IT IS (sometimes: THIS BABY IS) OUTTA HERE!"''' 또는 '''"THAT ONE'S HIGH, AND DEEP, AND... GONE! A HOME RUN!"''': 홈런을 쳤을 때.[* 세번째 항목은 자이언츠가 크게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주로 쓴다.] * '''"And that's the ball game!"''' : 경기 종료을 알리는 콜.[* 동생인 [[글렌 카이퍼]]와 종료 멘트가 똑같다.] * '''"And we are going home!"''' 또는 '''"And this game is over!"''' : 끝내기 승리시의 멘트 == 여담 == * 밀워키 원정을 갈 때에는 고향집(위스콘신 주 러신)에서 농사일을 도운 다음에, 경기장으로 출근한다고 한다. * 형제 중에서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야구 중계를 하는 [[글렌 카이퍼]]가 두에인의 제일 막내동생이다. 특히 베이브릿지 시리즈 중계 시 야구장 안에서는 엄청난 직업의식으로 무장하여 임하지만, 야구장 밖에만 나오면 둘도없는 절친한 형제 사이로 돌아온다고 한다. 두 형제의 집도 캘리포니아 주 댄빌인데, 걸어서 5분 이내의 거리에 있을 정도로 굉장히 가깝다. * 2022년 2월 20일 아내와 [[사별]]했다. * 2022 시즌부터 소속팀 중계 방송국인 NBC Sports Bay Area에서 원정 중계 일정을 조정한 관계로 4월 중후반에 있었던 원정 11연전[* 클리블랜드(3경기) - 뉴욕(4경기) - 워싱턴(3경기) - 밀워키(1경기)]에 동행하지 않았다. 70대의 고령 반열에 올랐기 때문에 홈 중계 위주로 편성할 것으로 보인다. * 2023 시즌에 [[글렌 카이퍼|동생]]이 [[인종차별|큰 실수]]를 저질러 직장에서 해고되자, 크게 혼을 냈다고 한다.[* 그는 인종차별을 극도로 혐오하는 사람 중 하나이다. 그의 직언을 빌리자면 "인종차별은 멍청한 사람들이나 하는 짓이죠."] 사람 좋은 그가 화내는 것은 처음 봤다는 후문이 전해질 정도면.. 흠좀무.. 하지만 동생이 힘들게 살아가는 것을 가만 둘 수는 없었는 지, 과거에 저지른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매달 생활비를 보내준다고 한다. --또 하면 까버린다잉--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남성 방송인]][[분류:미국 남성 아나운서]][[분류:1950년 출생]][[분류:1974년 데뷔]][[분류:1985년 은퇴]][[분류:러신(위스콘신) 출신 인물]][[분류: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