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fafa,dimgray>[[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B%91%A5%EA%B7%BC%EB%AA%A8%EA%BC%B4.png]]|| [목차] == 개요 == 1990년대 중후반, [[굵은체]]와 더불어 [[PC통신]]계를 주름잡던 [[글꼴]]. [[굵은체]]와 함께 한국 PC통신 터미널 글꼴을 양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굵은체와 다른 점은 모음자가 구부려져 있지 않다. == 역사 및 특징 == > 각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고 균형 있게 처리함으로서 아름답고 읽기 편한 글꼴로 만들었습니다. 각모서리 부분(네모부분)을 둥글게 만들었다고 해서 ‘둥근모꼴’이라고 붙였습니다. 김중태 IT문화원 원장이 제작하여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한 비트맵 [[폰트]] 중 하나로 모양은 이름 그대로 고딕체의 획을 두루뭉술하게 해 놓은 것이다. 이름 그대로 동글동글한 게 깔끔하고 예쁘다. 이 폰트는 [[Microsoft Windows|윈도우]]판 [[PC통신]] 단말기 에뮬레이터의 양대산맥인 [[이야기]]와 [[새롬 데이타맨]]에서 쓰였기 때문에 그 시절 PC통신을 해 본 사람들은 이 폰트를 보면 '아~' 하면서 그 때 그 시절을 추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본 폰트는 꽤 용량이 작은데, 파일을 뜯어보면 초중종성만 있다. 초중종성을 조합해서 글자가 나오는 조합형 폰트인데, [[다섯벌식|초성과 중성도 종성이 있을 때 쓰는 것과 없을 때 쓰는 것을 따로 구분해 놓아서]] 완성형에 비해도 손색없는 글자 모양이 나온다. 다만 비트맵 폰트인 관계로 고해상도 + [[HiDPI]] 환경에서는 [[계단 현상|둥글지 않고 울퉁불퉁함이 부각된다]]. == 다운로드 == 원본 소스는 제작자인 김중태의 [[http://ith.kr/about/font.html|홈페이지]]에서 배포하고 있다. 원본 소스에 들어 있는 글꼴은 옛날 [[MS-DOS]]를 쓰던 시절의 환경에 맞게 제작된 것이므로 현대의 OS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다행히 몇몇 사람들이 현대의 OS에 맞게 변환하여 배포하고 있다. * 둥근모꼴과 Fixedsys를 조합한 글꼴은 [[http://cactus.tistory.com/193|여기]]에서 배포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퍼블릭 도메인]] 라이센스로 배포해서 사용이 매우매우 자유롭다.[* 참고로 보통 글꼴은 자유롭게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글꼴이라고 하더라도 [[OFL]]이나 [[GPL]] 라이센스로 배포하지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표적으로, 후술할 Neo둥근모 글꼴도 OFL 라이센스로 배포한다.] * 둥근모꼴을 트루타입으로 변환하고 한글 글꼴과 어울리는 영문 글꼴을 새로 만들어 넣은뒤 각종 기호를 추가한 Neo둥근모는 [[https://neodgm.dalgona.dev|여기]]에서 배포하고 있다. == 사용례 == [[파일:attachment/둥근모꼴/Korail_LED_FONT.jpg]] 대부분의 [[코레일]] 관할 승강장 전광판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1]]·[[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도 기존에는 [[바탕체]]를 쓰다가 2012년경부터 이걸로 바꿨다가 2017년 가을부터 기존의 LED 전광판이 모니터형 전광판으로 교체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참고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경우 처음부터 모니터형 전광판을 사용하며, 화면 디자인이 1,2호선과 다르다. 글꼴은 [[맑은 고딕]]. [[이승엽 야구장|이승엽 야구장(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목동 야구장]],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의 옛 전광판에도 팀 이름과 선수 이름 표시할 때 이 글꼴을 사용했다. 현재 이승엽 야구장을 제외하고는 두 개의 야구장 전광판이 새로 교체되었고 이승엽 야구장도 2014년 무렵에 전광판 소프트웨어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글씨체를 [[굴림체]]로 바꿨다.[[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coreboard_at_Cheongju_Ball_Park.JPG|청주 야구장 전광판의 둥근모꼴]] 서울시내버스 대다수 및 2014년식~2016년식 초기형 인천시내버스 차량 내부 전광판도 둥근모꼴을 사용하고 있다. [[Stardew Valley]]의 안드로이드/iOS & iPadOS 버전의 한글폰트도 둥근모꼴이었다. 1.5버전 이후에는 PC 및 콘솔판처럼 산돌미생체로 통합되었다. 2021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전광판에 둥근모꼴이 사용됐다[* 정확히는 디자이너 길형진이 [[https://cactus.tistory.com/193|재작업한 버전]] ]. [[블루 아카이브]]의 [[게임개발부]]의 모모이와 미도리의 소개에도 둥근모꼴[* 정확히는 둥근모+FixedSys 변형]이 사용됐다. 부산광역시의 일부 버스정보안내기에도 둥근모꼴이 쓰이기도 한다. 정롹히는 서면역 롯데호텔백화점 정류장 기준 Neo둥근모로 추정되는 변형을 쓴다. [[분류:한글 글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