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1D29 20%, #FFFFFF 20%, #FFFFFF 40%, #DD1D29 40%, #DD1D29 60%, #FFFFFF 60%, #FFFFFF 80%, #DD1D29 80%)" '''{{{#!html 드라간 스코치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 [[틀: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틀: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20000 '''이란'''}}}]]}}}[br]{{{-2 41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20%, #DD1D29 20%, #DD1D29 40%, #FFFFFF 40%, #FFFFFF 60%, #DD1D29 60%, #DD1D29 80%, #FFFFFF 80%)" {{{+1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html 크로아티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B323A 20%, #313F5C 20%, #313F5C 40%, #2B323A 40%, #2B323A 60%, #313F5C 60%, #313F5C 80%, #2B323A 80%)" {{{#f15f58 '''Hrvatska nogometna reprezentacija do 21 godin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74449.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드라간 스코치치'''}}}[br]'''Dragan Skočić''' || ||<-2> {{{#ffffff ''' 출생 ''' }}} ||<(> [[1968년]] [[9월 3일]] ([age(1968-09-03)]세) /[br]{{{-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SFR]]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크로아티아SR]] [[리예카]] }}} || ||<-2> {{{#ffffff ''' 국적 ''' }}}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 ||<-2> {{{#ffffff ''' 신체 ''' }}} ||<(> [[키(신체)|키]] 184cm || ||<-2> {{{#ffffff ''' 직업 ''' }}} ||<(> 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 [[HNK 리예카]](1987~1991)[br][[UD 라스팔마스]] (1991~1993) [br] SD 콤포스텔라 (1993~1996) [br] [[HNK 리예카]] (1996) [br] NK 노발랴 (2001~2004) [br] 알 이티하드 칼바 FC (2004) || || {{{#ffffff ''' 감독 ''' }}} ||<(> [[HNK 리예카]] (2005~2006) [br] NK 인터블록 (2007~2008) [br][[알 아라비 SC]] (2009~2010) [br] [[알 나스르 FC]] (2011) [br] [[HNK 리예카]] (2012) [br] 말라반 FC (2013~2014) [br] 풀라드 FC (2014~2016)[br] FC 쿠네 베 쿠네 (2018) [br] 사낫 나프트 아바단 FC (2019~2020) [br]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대표팀]] (2020~2022) [br]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U-21 대표팀]] (2023~ ) || ||<-2> {{{#ffffff ''' 국가대표 ''' }}} ||<(>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로아티아]] 국적의 [[축구 감독]]. == 감독 경력 == 성적 부진과 임금 체불 문제로 짤린 [[마르크 빌모츠]]의 후임으로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차 예선 탈락 위기에 놓인 이란을 빠르게 수습하며 최종예선 진출에 성공했고 무패행진을 달리며 승승장구하였다. 4차전 홈 경기에선 그 동안 우위를 점해오던 대한민국과 대결했는데 손흥민에게 선제골을 허용했다가 [[알리레자 자한바크슈]]의 동점골로 간신히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고전했다. 이후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단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가 선수단 반발에 직면했다. [[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343/0000108641|#]] 이에 자신을 비난한 [[메흐디 타레미]]를 11월 A매치 명단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응수했다. [[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421/0005716572|#]] 그럼에도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에 승리를 거뒀다. 이후 2022년 1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본선 진출에 성공한 공로 덕분에, [[2023 AFC 아시안컵]]까지 계약을 1년 연장했다. 그러나 예선 막바지였던 2022년 3월 2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0-2로 완패한 것 때문에 카타르 월드컵 본선 성적에 대해 벌써부터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이란을 이끌고 무패 행진을 달리긴 했지만 대부분 한 수 아래의 팀을 상대로 이뤄낸 것이고, 대등한 전력을 가진 한국에겐 1무 1패로 열세를 보였기에 그의 지도력이 본선에서도 통할지 팬들이 의문을 품고 있다. 다행히 최종전에서 대한민국이 아랍에미리트에 패하며 1위 자리는 유지했다. 일단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조 추첨|조 추첨]] 결과 잉글랜드, 미국,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와 함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B조|B조]]에 속하게 됐으나, 예선에서의 막판 부진 때문에 역시나 우려를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알제리와의 평가전에서 1-2로 패하자 이란축구협회는 최근 3경기에서 2패함과 동시에 선수단과의 불화를 이유로 들어 7월 11일, 스코치치 감독을 경질시켰다가 엿새 후 다시 복귀시키는 촌극을 벌이기도 했다. 이후 모로코가 [[바히드 할릴호지치]]를 경질하면서 월드컵을 앞두고 지휘봉을 내려놓는 첫 감독이란 불명예는 면하게 되는 듯 했으나 메흐디 타지 전 이란축구협회 회장이 최근 다시 협회 수장으로 선임되면서 재임 시절 함께 일했던 케이로스 감독을 불러들였다. 타지 회장은 선거 공약으로 케이로스의 대표팀 감독 복귀를 내걸었고, 이후 이란 축구협회 신임 회장이 [[카를로스 케이로스]]를 선임했는데, 문제는 이란축구협회가 협회의 재정 문제로 스코치치의 위약금을 지불할 수 없는 상황이라 스코치치와의 계약을 해지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를 두고 마찰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이란 국적의 팀 매니저도 이 사실을 알지 못했고, 협회의 기술위원회도 거지지 않은 타지 회장의 직권으로 벌어진 일이라 이를 마무리하는 데엔 꽤나 큰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2022년 10월 28일, [[박항서]] 감독의 사의 표명으로 공석이 될 예정인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2023년 4월 14일,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https://hns-cff.hr/news/25380/dragan-skocic-novi-izbornik-mlade-reprezentacije/|#]] == 전술 스타일 == 전형적인 4-4-2 전술을 구사한다. 경기의 주도권을 쥐고 점유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빠른 공수 전환을 중요시 하며 역습 시 공을 한 번 소유하면 빠른 템포로 공간을 만드는 공격적인 전술을 보여준다. 4-4-2를 기반으로 공수 밸런스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술 하의 미드필더는 상당한 활동량을 요구받는다. [[분류:1968년 출생]][[분류:유고슬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리예카 출신 인물]][[분류:1987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