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 '''{{{#fff {{{+1 드라큘라}}} (2020)}}}[br]{{{+1 {{{#D82929 DRACUL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V5BNTBmNzM4ZGMtMTE3OC00Mjc4LWE3OGEtYzA3ZmQ1MGJkNjMyXkEyXkFqcGdeQXVyNDk3ODk4OQ@@._V1_.jpg|width=100%]]}}} || ||<#000> '''{{{#fff 장르}}}''' ||[[판타지]], [[공포]] || ||<#000> '''{{{#fff 원작}}}'''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 ||<#000> '''{{{#fff 감독}}}''' ||조니 켐밸, 데이먼 토마스, 폴 맥귀건 || ||<#000> '''{{{#fff 제작}}}''' ||<|2>[[마크 게이티스]], [[스티븐 모팻]] || ||<#000> '''{{{#fff 작가}}}''' || ||<#000> '''{{{#fff 출연}}}''' ||클레스 방, 돌리 웰스, 존 헤퍼넌 등 || ||<#000> '''{{{#fff 서비스}}}''' ||[[영국방송공사|[[파일:BBC 로고.svg|width=7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70]]]] || ||<#000> '''{{{#fff 횟수}}}''' ||3부작 || ||<#000> '''{{{#fff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15세 이용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BBC]]와 [[넷플릭스]]의 합작 [[드라마]]. [[브램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를 바탕으로 총 3부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국에서는 2020년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 한 편씩 방송되었다. 제작자는 [[셜록(BBC)|셜록]]의 제작자인 마크 게이티스와 스티븐 모펏인데 방영 전 셜록 제작진이 만든 드라마라며 홍보를 엄청 했었다. 주인공인 드라큘라 백작은 [[더 스퀘어]]에서 주연을 맡은 클레스 방이 맡았다. 특이하게도 이 드라마는 각 에피소드마다 [[감독]]이 다른데 1화는 조니 캠벨, 2화는 데이먼 토마스, 3화는 폴 맥귀건이 맡았다. 그래서인지 각 에피소드마다 분위기나 느낌이 조금씩 다른 게 특징. 참고로 1화는 시청자가 기대하는 드라큘라 스토리지만 2~3화는 드라큘라 드라마 오리지널 각색이 많이 들어가있다. 시청 등급이 15세 이상 이용가지만 [[고어]]가 상당하며 이를 어필하듯 흡혈귀의 설정도 몇 가지 바뀌었다. [[변신]]도 [[늑대]] 속에서 껍질을 찢고 나오는 식으로 표현하며 드라큘라를 제외한 다른 흡혈귀는 거의 [[좀비]]에 가까운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는 드라큘라의 초창기 제목이 [[언데드]]였던 만큼 현대 언데드 캐릭터의 대명사인 좀비의 이미지를 참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TVo_q9zn8)]}}} || ||<#000> '''{{{#fff 드라큘라 | 메인 예고편 |}}} {{{#D82929 Netflix}}}''' || ||
<#fff> 드라큘라의 전설이 새롭게 진화한다. 핏물로 뒤덮인 그의 죄악, 생생한 사연으로 되살아나는 어둠. 수백 년이 지나서야 드러나는 그의 진정한 약점은 무엇일까? 셜록 제작진의 신작! ---- - 소개 ||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355_DRACULA_20MARCH19RV-mi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gatha_Van_Helsing.jpg|width=100%]]}}} || ||<#000> '''{{{#D82929 {{{+1 드라큘라 백작}}}}}}[br]{{{#fff 배우: 클레스 방}}}''' ||<#000> '''{{{#D82929 {{{+1 아가타 반 헬싱}}}}}}[br]{{{#fff 배우: 돌리 웰스}}}''' || * '''[[드라큘라 백작]] (클레스 방[* [[더 스퀘어]]와 [[노스맨]]으로 유명하다.])''' * [[아브라함 반 헬싱|아가타 반 헬싱 / 조이 반 헬싱]] (돌리 웰스) * 조너선 하커 (존 헤퍼넌) * 미나 하커 (모피드 클라크) * 엘레나 (루이자 릭터) * 소콜로프 선장 (조너선 에어리스) == 에피소드 == ||
<#000> '''{{{#fff 회차}}}''' ||<#000> '''{{{#D82929 제목}}}''' ||<#000> '''{{{#fff 내용}}}''' ||<#000> '''{{{#fff 러닝 타임}}}''' || || 1 || 괴물의 법칙 ||처참하게 망가진 채로 신의 보호를 구한 남자. 한 수녀가 그를 찾아와 지난 사정을 캐묻는다. 하커는 드라큘라의 성에서 무슨 일을 겪었을까? 그 기이한 죽음의 미로에서. || 89분 || || 2 || 피바다 ||이상한 상자들을 싣고 배 한 척이 영국으로 출항한다. 그 배에 오른 어둠의 승객. 사람들은 하나둘 사라지고, 바다에는 안개가 깔린다. 어떻게든 드라큘라를 막아야 한다. || 88분 || || 3 || 암흑의 나침반 ||깊은 바다를 지나 낯선 땅에 상류한 드라큘라. 누군가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수백 년을 살아온 뱀파이어. 두려움을 모르는 그 앞에 탐나는 신부가 나타난다. || 91분 || == 평가 == ||||
<:>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s://www.rottentomatoes.com/tv/dracula_2019|신선도 71%]]''' ||<:> '''[[https://www.rottentomatoes.com/tv/dracula_2019|관객 점수 60%]]''' ||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s://www.imdb.com/title/tt9139220/?ref_=nv_sr_srsg_3|유저 평점 6.8 / 10]]''' || [[https://www.rottentomatoes.com/tv/dracula_2019/s01|평론가들은 대체적으로 호의적이지만 관객들 사이에선 호불호가 갈린다.]] 방영 후 1화와 2화는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는데 3화에서 주춤하는 기색을 보였다. 이를 확실히 보여주는게 [[IMDb]] 별점. 전체적인 별점이 '''6.8'''인데 1화 별점이 '''8.1''', 2화 별점이 '''7.6''', 그리고 3화 별점이 '''5.2(...)'''이다. 1화의 경우 원작을 나름대로 잘 반영했고 드라큘라 백작과 반 헬싱 간의 주고받는 외줄타기 심리전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그러나 2화와 3화는 원작의 재해석이 들어가면서 1화와는 전혀 다른 느낌의 배경과 스토리가 이어지다 보니 이야기 측면에서의 무리수가 두드러진다. 특히 3화에서 [[중세시대]]가 가장 잘 어울리는 드라큘라를 [[현대]]로 갑작스럽게 끌고온 것이 시청자 입장에선 뜬금없이 여겨질 수도 있는 부분이다. 더욱이 3편은 백작과 조연 간의 공감하기 어려운 관계의 전개가 지속되다가 급하게 엔딩을 내는 바람에, 1화를 보고 기대를 한 사람이라면 용두사미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나름대로 설정상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신중을 가한 흔적이 보이기는 하나 여러모로 앞의 두 편에 비해 아쉽고 모자란 점이 크다는게 문제. 아무래도 에피소드마다 연출 감독을 다르게 한 것이 이질감의 큰 원인일 수도 있다. 그래도 [[평작]] 이상이라는 점은 변함없는데, 앞서 말한 감점 요인을 신경쓰지 않고 1화의 높은 완성도에 의미를 두자면 괜찮게 평가할 수 있다. == 기타 == * 실제 [[드라큘라 백작|원작인 소설의 캐릭터]] [[연출]]을 거의 흡사하게 재현해냈다. 원작의 팬이라면 재밌게 볼 수 있는 요소 중 하나. [[분류:2020년 드라마]][[분류:드라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