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 ||<-3> '''{{{#white {{{+1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br]Dragon Marked for Death[br]ドラゴン・マークト・フォー・デス}}}''' || ||<-3>{{{#!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cover.jpg|width=100%]]}}}|| || '''{{{#white 제작}}}''' ||<-2> [[인티 크리에이츠]] || || '''{{{#white 플랫폼}}}''' ||<-2>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PS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br][[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3> '''{{{#white 출시일}}}'''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2019년 1월 3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19년 3월 7일 ||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2020년 4월 21일 || || [[PS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2020년 7월 22일 || || '''{{{#white 장르}}}''' ||<-2> [[ARPG|액션 RPG]] || ||<|3> '''{{{#white 등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ffffff 15세 이용가}}}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CERO]] 「C」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SRB]] 「T - Teen」 || || '''{{{#white 웹사이트}}}''' ||<-2> [[http://dragonmfd.com/en/index.html|홈페이지(英)]][br][[http://dragonmfd.com/jp/|홈페이지(日)]][br][[http://dragonmfd.com/kr/|홈페이지(韓)]][br][[https://twitter.com/DragonMFD|트위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티 크리에이츠]]에서 [[Nintendo Switch]] 독점으로 출시하고 훗날 [[Steam|스팀]]과 [[PlayStation 4]]에 이식한 게임. 퀘스트를 순차적으로 해금 및 클리어하면서, 아이템을 모아가며 캐릭터를 육성하는 [[ARPG]]이다. 의도적으로 레트로한 느낌을 살리기 위해 도트 그래픽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최대 4인까지 로컬/온라인 협력 플레이가 가능하다. 아쉽게도 기기 하나로는 멀티플레이가 불가능하며 각 플레이어별로 기기+소프트를 하나씩 소유해야 한다. 각 플랫폼 간의 [[크로스 플랫폼|크로스 플레이]] 역시 지원하지 않는다. [[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와 더불어 한글화가 확정된 타이틀이다. [[http://www.gameshot.net/common/con_view.php?code=GA5b46f3302d903|#]] [[http://bbs.ruliweb.com/news/read/110147|##]] 다만 한글판은 일본판보다 한 발 늦은 3월에 출시되었으며, 일본판의 경우 한글판 발매일에 배포된 업데이트를 적용하면 언어 설정 시 한글을 고를 수 있다. 공식 트위터 계정 등에서는 '''드래곤MFD''' 혹은 '''DMFD'''라고 줄여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 프롤로그 == [[파일:DwmbzTmU8AAUDk_.jpg|width=500&align=center]] >일족의 조상이 고룡(古龍)의 피 덕에 목숨을 건진 이후, 자신의 몸에 고룡의 힘을 이어받은 백성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용혈 일족. > >그러나 세상은 바야흐로 백신(白神) '프리마티스'의 세례를 받은 성왕(聖王) 가문이 다스리는 왕국의 시대. 고룡 '아트룸'을 일족의 수호룡으로 삼은 그들은 성왕 가문 사람들로부터 무시당하여, 그 토지와 떨어진 곳에 일족의 마을을 만들고 죽은 듯 조용히 살고 있었다. > >그러던 중, 기사단장 바시스가 이끄는 '중앙 국가 메디우스'의 성기사단이 용혈 일족의 마을을 강습한다. 그들은 마을을 불태우고, 비보 '혼의 그릇'을 이용한 산 제물의 의식을 진행하기 위해 일족의 무녀 '아미카'를 잡아갔다. 여행을 갔다가 돌아온 일족의 젊은이들은 불타버린 마을을 목전에 두고, 복수할 것을 맹세하고 고룡 아트룸과 계약하여 잡혀간 아미카를 쫓는다. > >투쟁 저편에 있는 것은, 일족의 부흥인가 파멸인가... 저주받은 용혈 일족이 만들어내는 이야기가 막을 연다. 위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의 일본판 프롤로그로, 백신과 고룡의 과거는 북미판 프롤로그와 인티 크리에이츠 공식 트위터에 명시되어 있다. 아래는 해당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 참고로 성왕 가문의 경우 일본어 원문에서는 '성왕가(聖王家)'라고 적는다. >과거에 혼돈의 땅에서 백신의 군세와 고룡의 군세 간의 싸움이 벌어졌다. 신에게 구원을 청하는 자와 용의 그늘에 가려진 자들이 전쟁의 종식을 기다리는 가운데, 가장 거대한 고룡 아트룸이 쓰러졌다. 백신 프리마티스에 의해 연거푸 무기가 꽂힌 아트룸은 땅에 드러누웠으며, 싸움 끝에 신들의 군세가 승리하였다. > >싸움에 패한 용의 시신은 신들의 무기로 정화되어, 싸움으로 사라진 대지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리고 신들도 대지를 지켜보는 두 개의 달을 하늘에 남겨둔 다음, 몸을 치유하기 위해 모습을 감췄다. > >창세의 시대에 신과 용이 싸움을 벌일 때 인간은 싸움에 휘말린 피해자였지만, 싸움이 끝나고 성왕 가문의 시대가 되자 대부분이 백신 프리마티스를 숭배하는 무리가 되었다. 하급층은 신의 가르침=성왕 가문의 가르침에 순응하여, 수렵물과 작물, 나무와 석재 등을 공물로 성왕 가문에 바치고 있다. 아트룸이 패한 이후 나머지 고룡 세력도 혼란에 빠져 하나 둘씩 무너졌으며, 결국 힘겨운 싸움 끝에 백신들이 승리를 쟁취한다. 한편 이 전쟁에 휘말린 인류의 일부는 심연 속으로 떨어지고 말았는데, 죽어가던 아트룸이 우연히 이들을 발견한다. 아트룸은 그들에게 자신의 피를 나누어 주어 목숨을 구해준다. 이들이 바로 아트룸을 수호룡으로 삼아 숭배하는 용혈 일족. 아트룸이 인간에게 이렇게 자비를 베푼 이유가 전쟁에 말려든 그들을 가엾게 여겨서인지, 아니면 그냥 일시적인 변덕 때문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백신을 숭배하던 사람들은 남아 있는 백신의 무기로 성을 지었고, 자신들을 신격화하는 동시에 아트룸의 시신에 사는 자들을 천히 여겼다. 전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용혈 일족을 제외하면 이 성왕 가문에 충성을 바쳤다. 이후의 일은 일본판 프롤로그에 적힌 바와 같다. == 용어 및 세계관 == === 용혈 일족 === || '''{{{#white The Dragonblood Clan}}}''' || || [[파일:용혈의일족1.jpg|width=70%]] || ||과거에 반죽음 상태의 아트룸에게 구원받은 인간을 조상으로 둔 일족. 기본적으로 생김새는 인간과 같지만, 태어날 때부터 몸 어딘가에 '용흔(龍痕)'이라는 흉터가 있고, 그 부위에 한해서 조금이지만 용의 힘을 이어받는다. (엄니나 짧은 꼬리, 두꺼운 팔, 비늘 형태의 살갖 등) 수는 적지만 '용을 떠받드는 더러운 일족'으로서 일반 사회에도 알려져 있고, 거리에서는 노예나 빈민처럼 상당히 미천한 몸으로 여겨진다. 용의 피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보다 생명력, 근력, 마력의 소양이 우수하지만, 그 뛰어난 능력 또한 두려움의 대상으로써 차별의 원인이 되었다. || || [[파일:용혈의일족2.jpg|width=70%]] || ||용혈 일족은 용흔을 타고났을 뿐 외모는 인간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분노나 절망이라는 강한 감정을 품었을 때, 고룡의 의식과 소통하여 계약을 맺을 수 있게 됐다. 계약을 하면 용흔이 있는 부위에 용의 힘이 아니라 용 자체가 깃들게 된다. || === 레물리아 대륙 === [[파일:DwnXoV-U0AAh1GL.jpg|width=500&align=center]] >레물리아 대륙의 문명 레벨은 사냥꾼에 의한 수렵, 가축에 의한 농경, 운반, 이동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인 동력은 물레방아와 풍차에 의한 것이 대부분. 증기 기관 등의 원동기는 보급되지 않은 상태이며, 북부 국가 파그나스에서 크고 단순한 기구가 간신히 실용화된 정도이다. 본작의 배경이자 '''백신의 다섯 무기로 정화한 아트룸의 시신.''' 영문 표기가 Lemria임에도 불구하고 한글판에서 대륙 이름이 '''레물리아'''라고 번역됐다. 후술할 국가의 명칭 중에도 가타카나에 기반한 것이 보인다. 현재는 용혈 일족을 포함한 인간과 소수의 몬스터가 살고 있으며, 하단에 명시된 다섯 국가가 이 땅에 세워져 있다. 부분적으로 정화가 덜 된 땅도 존재하고 이곳 역시 몇 종의 몬스터가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서 하늘을 올려다 보면 색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달을 볼 수 있다고 한다. 하얀색인 '''자비의 달'''은 신들이 대지를 지켜보고 있다는 증거라고 전해지며, 정화가 덜 된 땅에서는 그곳의 몬스터들을 감시하는 듯한 '''단죄의 달'''이 붉게 빛난다. * 중앙 국가 메디우스(Medius)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xUtJtMU8AAwp3G.jpg|height=300]]}}}||{{{#!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xPpsgHUUAAIBVv.jpg|height=300]]}}}|| || 신의 검 || 용혈 일족이 사는 마을 || 아트룸의 가슴부터 허리까지의 부분에 해당하는 가장 크고 번영한 지역. 심장 부분에 꽂혀 있는 '''신의 검'''은 오늘날 성왕 가문이 거주하는 성으로 쓰이고 있으며, 왕도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산맥에 용혈 일족이 사는 마을이 있다. 다만 용혈 일족이 전부 이 마을에 모여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레물리아 대륙 각지에 숨어 살고 있다. * 남부 국가 리투스(Litus) [[파일:DxjrRIBVsAAOymh.jpg|width=400]] 아트룸의 허리부터 둔부까지의 부분에 해당하는 지역. 허벅지 부분에 '''신의 지팡이'''가 세워져 있다. 과거에는 뛰어난 마법 기술을 보유하여 메디우스와 나란히 번영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리투스 성왕의 사망을 계기로 마법력이 폭주하여 남부 일대가 사막 지대로 변하고, 현재는 마법 기술을 잃고 멸망한 상태이다. 마법 왕국이 멸망한 이후 마법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용혈 일족의 마녀를 제외하면 성왕 가문에 속하는 극소수의 인원밖에 없다고 한다. * 북부 국가 파그나스(Pagnus) [[파일:DxpOm7yUUAI-iAo.jpg|width=400]] 아트룸의 머리부터 목까지의 부분에 해당하는 지역. 아트룸의 안구에 해당하는 호수에 '''신의 도끼'''가 꽂혀 있다. 광산 자원이 풍부하다 보니 철강과 건축 기술 등이 발달한 국가이며, 희소한 국토를 방위하는 차원에서 군사 국가의 색이 짙어지고 있다. * 동부 제도 국가 말레우스(Malleus) [[파일:DxuY4DSVsAI0oMN.jpg|width=400]] 아트룸의 날개에 해당하는 지역. 서쪽은 중앙 대륙과 연결되어 있지만 그 외의 영토는 중규모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문화적으로 타국과 단절되어 독특한 문화권이 형성된 상태. 왕도는 북쪽 땅에 꽂혀 있는 거대한 망치이다. 영문판 PV 등에서는 Marlayus라고 표기한다. * 남서 제도 국가 하스타(Hasta) [[파일:DxzjM7JUYAAYTJI.jpg|width=400]] 아트룸의 꼬리에 해당하는 지역. 국토는 주로 중앙 대륙 남단에서 북서쪽으로 뻗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에 '''신의 창'''이 꽂혀 있다. 동부의 해로와 남부의 육로를 통해 중앙 대륙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으며, 바다에 둘러싸인 섬나라이기 때문에 어업과 선박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 등장인물 == === 플레이어블 캐릭터 === 멀티플레이 시 다수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캐릭터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녀와 도적은 Ver.3.0.0 업데이트 패치로 추가되었으며 이 중 도적을 선택하려면 추가 시나리오 시즌 패스가 필요하다. * [[황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황녀]] * [[전사(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전사]] * [[닌자(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닌자]] * [[마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마녀]] * [[무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무녀]] * [[도적(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도적]] === NPC === [anchor(무녀 아미카)] ==== 무녀 아미카 ==== || '''{{{#white Amica, The Dragonblood Oracle}}}''' || || [[파일:DxKVxTIU0AALT-t.png|width=50%]] || ||고룡 아트룸의 신탁을 일족에게 알리는 능력을 갖춘, 용혈 일족의 무녀. 기사단장 바시스가 이끄는 중앙 국가 메디우스의 성기사단에게 잡혀간다. || 태어날 적부터 아트룸의 힘을 이어받아 무녀가 된 인물. 용혈 일족의 무녀는 100년에 한번 꼴로 태어난다고 하는데, 설정화에 의하면 아미카의 머리에 난 뿔은 무녀의 증표이다. '고룡의 동굴'에서 아트룸의 신탁을 받아 용혈 일족에게 이를 고하는 것이 그녀의 능력. 참고로 고룡의 동굴에는 아트룸의 심장이 담긴 제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굴의 입구 앞에는 고룡을 받들어 모시기 위한 모뉴먼트가 있다. 또한 용혈 일족에게는 고룡의 동굴 안쪽으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 있다. 일족의 황녀랑은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으며, 아미카를 구출하고 중앙 국가 메디우스에 복수하는 것이 플레이어블 캐릭터 일행의 목표이다. 참고로 Ver.3.0.0 추가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무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무녀]]는 아미카와 무관한 별개의 인물이다. ==== 메디우스 성기사단장 바시스 ==== || '''{{{#white Vasith, Leader of the Divine Knights}}}''' || || [[파일:DxZ7BlrVYAEmTAT.png|width=60%]] || ||다섯 신의 무기로 정화된 '레물리아 대륙'의 중앙에 자리잡고, 백신 프리마티스를 수호신으로 삼은 성왕 가문이 통치하는 '중앙 국가 메디우스'의 성기사단장. 용혈 일족을 몰살하고 일족의 무녀인 아미카를 잡아갔다. 성기사단의 주된 임무는 침략자나 몬스터와의 전투이며, 임무를 수행할 때는 일절 자비를 베풀지 않는다. 여기에 소속된 기사는 특별한 의례를 받아 몸에 성흔(聖痕)이 새겨져 있으며, 본인의 역량에 따라 백신의 힘을 행사할 수 있어 다른 나라의 기사와는 전투력이 다르다. 과거에는 '남부 국가 리투스'의 병사도 성흔을 통해 백신의 힘을 다뤘지만, 마법 문명이 사라진 현재 백신의 힘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메디우스 성기사단이 유일하다. || 성왕 가문을 섬기는 메디우스 성기사단의 단장. 현재 메디우스 성기사단은 설정상 레물리아 대륙에서 최강의 무력을 자랑하며, 바시스는 그러한 성기사단 내에서도 가장 강한 기사라고 한다. 빈민가의 주점 오른쪽에 서 있는 두 여성에게 말을 걸면 바시스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아무도 그의 맨얼굴을 본 적이 없다고 전해진다. 게임 내의 일부 퀘스트에서는 보스 몬스터로 등장한다. 소지하고 있는 양날검은 쌍칼로 분리된다. ==== 메디우스 성왕 ==== || '''{{{#white Duchis Medius}}}''' || || [[파일:Dy2nilZVAAAa3vb.jpg|width=60%]] || ||중앙 국가 메디우스를 다스리는 국왕. 대대로 이어지는 성왕 가문의 이름과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각 국가의 압박으로 인해, 대륙 전토의 지배와 보다 견고한 지배력을 추구하여 백신과 동등한 힘을 얻는 방법을 찾고 있다. 병을 앓고 있으며 다가오는 죽음을 극도로 두려워하고 있다. || 메디우스 성왕 가문의 14대 당주로, 용혈 일족을 나라의 미래를 위한 주춧돌로 삼겠다며 그들의 마을에 성기사단을 보낸 장본인이다. 이름은 '''메디우스 두키스'''. 카데나 숲에서 진행되는 퀘스트 '''불사의 쌍룡'''에서 플래그를 수집할 때 한번 언급되는데, NPC 에테르노를 찾아가 그가 연구하는 불사(不死)에 관해 물어보고 갔다고 한다. 에테르노의 평가를 빌리면 '''죽지 않는 백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 죽음을 엄청 겁내는 한심한 사내.''' ==== 백신 프리마티스 ==== || '''{{{#white Celestial Primatis}}}''' || || [[파일:백신_프리마티스.jpg|width=60%]] || ||신들의 군세에 속하는 신. 머리가 흰 수컷 원숭이를 우상으로 삼았으며 '개념'이기 때문에 실제 모습은 불명이다. 아트룸의 심장에 칼을 꽂아 격파한 영웅신이라고 알려져 있다. 싸움이 끝난 뒤에는 자비의 달에 있는 신계로 돌아가고, 사람들의 신앙심과 가르침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영혼을 양식 삼아서 상처를 치유하고 있다. || >일찍이 세상에 두 개의 달이 강림하였다. 만물의 영혼을 양식 삼아 힘을 떨친 그 달은, 우리 세계의 영혼을 두고 싸움을 시작했다.[br]이윽고 하나의 달이 승리했다. 우리는 승자를 '''백신'''이라 부르며 맞아들였다. 그리고 패자는 '''고룡'''이라고 불리며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br]- 리투스 왕묘 내부에 새겨진 글 中 >이전에 백신은 사람들의 신앙을 조건으로 종의 존속을 약속했다. 우리는 백신을 맞아들였고 생활은 풍족해졌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는 오래된 시대에, 우리는 신에게 기대지 않고 살지 않았는가.[br]그렇다면, 과연 신이란 무엇인가. 신앙이라는 형태로 우리의 영혼을 얻는 백신과 파괴를 통해 우리의 영혼을 먹는 고룡. 양자를 나누는 기준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br]우리는 인간이라는 하나의 종으로서 진실을 추구하리라.[br]- 우어스의 탑에 새겨진 고대 문자 메디우스 성왕 가문의 수호신. 창세의 시대에 인간의 영혼을 두고 고룡 아트룸과 싸워 승리한 뒤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사자를 자처하는 몬스터들이 레물리아 대륙에 살고 있으나, 그 중 하나인 에쿠스의 말에 의하면 인간의 소업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는 모양. 예외로 백신에게 다가가고자 우어스 탑에 오르는 인간이 있을 경우, 에쿠스와 마찬가지로 백신의 사자인 토니트루스가 직접 신벌을 내린다. ==== 고룡 아트룸 ==== || '''{{{#white Astral Dragon Atruum}}}''' || || [[파일:고룡_아트룸.jpg|width=60%]] || ||용들의 군세 중 하나. 붉은 수염이 난 용을 우상으로 삼았으며 '개념'이기 때문에 실제 모습은 불명이다. 백신 프리마티스와 싸워 빈사 상태가 될 정도의 상처를 입고, 얼마 남지 않은 목숨을 용혈 일족에게 넘긴 채 쓰러졌다. 그의 영혼은 용혈 일족이 사는 마을에 있는 '고룡의 동굴' 깊숙한 곳의 제단에 안치되어 있다. || >복수할 힘을 원하는가. 나의 피를 이어받은 일족의 아이여. 나의 이름은 고룡 아트룸. 그대의 분노가, 슬픔이 나를 불러 깨웠다.[br][br]창세의 시대에 백신과 싸워서 패배한 우리는 인간 세상과의 연을 끊고 이 마을에 자리를 잡았다. 허나, 힘도 싸움도 버린 우리를 여전히 몰아내려는 자가 있다. 잔혹하게 학대하는 자가 있다. 그렇다면, 힘으로 알리는 수밖에 없지. 일족의 목숨을 빼앗은 성왕 가문의 사람들에게 새겨줄 수밖에 없어! 우리가 삶까지는 버리지 않았다는 사실을![br][br]그 이형의 몸은 그대가 복수할 힘을 손에 넣었다는 증거. 고룡의 힘이 몸에 깃든 그대를 막을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없겠지. 가족, 벗, 돌아올 장소를 뺏어간 성왕 가문을 그대의 손으로 심판하여라! 메디우스 성기사단이 마을을 휩쓸고 간 뒤, 뒤늦게 마을로 돌아온 주인공과 계약한 고룡. 튜토리얼 퀘스트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주인공에게 말을 걸며 진행에 도움을 준다. 이를 클리어하고 나면 아미카가 성기사단에게 잡혀갔다는 사실을 알려 주인공이 왕도로 향하도록 유도하고, 빈민가에 몸을 숨기도록 조언해준다. 주인공이 빈민가에 자리를 잡은 뒤 고룡의 동굴에 찾아와 말을 걸면 아미카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고, 주인공과 아미카가 친구 사이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주인공에게 흐르는 고룡의 피를 통해 자신의 기억 중 일부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잡혀가기 전의 아미카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면서 용혈 일족이 메디우스 성왕 가문에게 당한 일을 상기시킨다. [anchor(리발리스)] ==== 리발리스 ==== || '''{{{#white Rivalis}}}''' || || [[파일:Rivalis.png|width=50%]] || ||용혈 일족과 인간의 하프로 자신의 몸에 흐르는 용혈 일족의 피를 혐오한다. 고대의 마법도구를 모으고 있으며, 이를 구사하는 기상천외한 싸움법은 대립하는 자에게 꽤나 성가신 대상이다. || 추가 시나리오 '''용혈의 도적 편'''에서 일부 퀘스트의 보스로 등장하는 인물. Ver.3.0.0 추가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도적(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도적]]과는 무관하다. 아버지는 평범한 귀족, 어머니가 용혈 일족이었으며 본인에게도 용흔이 있다. 한정판 사운드트랙에 적힌 노트에 의하면 원래 특정 퀘스트에 '''랜덤하게''' 난입하는 캐릭터가 될 예정이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폐기되어 나타나는 때와 장소가 정해져 있다. 이름의 유래는 경쟁 상대 혹은 적수 등을 의미하는 라틴어 rivalis. 모종의 사건을 겪은 이후 중앙 국가 메디우스의 한 고아원 앞에서 피투성이로 쓰러진 채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후 아무 말도 하지 않다가 몸이 회복되자마자 고아원을 떠나버리고, 이후 악명 높은 도적이 된 상태이다. 그가 머무른 고아원의 운영자 말로는 성별을 속이고 살고 있는 모양. 게임 공식 홈페이지에는 남성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리발리스의 부모를 아는 NPC에게서 그들의 과거 이야기를 들어보면 아들을 낳았다고 기억하고 있다. 참고로 이름인 리발리스 역시 남자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일부 퀘스트에서 보물 탈취를 시도하다가 주인공에게 패배하고 도주하는데, 보물의 힘을 이용해 용흔을 지우고 평범한 인간이 되는 것이 그의 목적으로 보인다. 용혈의 도적 편 최종 퀘스트의 이벤트 CG에 의하면 두건 안에 뿔이 숨겨져 있다. 여담으로 1인칭은 [[오레]]. ==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시스템|시스템]] ==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시스템]] 문서 참조. == 제품 구성 == === [[Nintendo Switch]] === ==== 패키지판 ==== || {{{#white '''통상판'''}}} || {{{#white '''한정판'''}}}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_normal.jpg|height=500]]}}}||{{{#!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_spe.jpg|height=500]]}}}|| ||<-2> {{{#white '''제품 정보'''}}} || || {{{#ffffff '''가격'''}}} || 통상판: 49,800원[br]한정판: 89,800원 || || {{{#ffffff '''동봉 특전'''}}} || '''시즌 패스''' 다운로드 번호 || || {{{#ffffff '''초회 구입 특전'''}}} || DLC 장비 '''뇌정의 무구''' 다운로드 번호 || || {{{#ffffff '''한정판 특전'''}}} || OST CD, 설정자료집 || 패키지판은 다운로드판의 두 버전과 시즌 패스를 모두 포함한 합본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한정판의 경우 패키지 아트가 통상판과 다르고, 70곡 이상의 사운드트랙이 수록된 OST CD 두 장과 설정자료집이 동봉되어 있다. 다만 '''한국 정발판의 경우 패키지에 시즌 패스가 포함되지 않아''' 개별적으로 구매를 해야만 하고, 한정판 특전은 번역되지 않은 일본어판이 수록되어 비판을 받았다. ==== 다운로드판 ==== ===== 베이직 세트 / 엑스퍼트 세트 ===== || {{{#white '''Frontline Fighters Pack - Empress & Warrior[br]베이직 세트 - 황녀와 전사 -'''}}} || {{{#white '''Advanced Attackers Pack - Shinobi & Witch[br]엑스퍼트 세트 - 닌자와 마녀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_황녀와전사.jp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_시노비와마녀.jpg|width=100%]]}}}|| ||<-2> {{{#white '''제품 정보'''}}} || || {{{#ffffff '''가격'''}}} || 각각 1815엔(세금 별도) || || {{{#ffffff '''예약 구매 기간'''}}} || 2019년 1월 10일 ~ 1월 30일 || || {{{#ffffff '''예약 구매 특전'''}}} || DLC 장비 '''뇌정의 무구''' || 초창기의 다운로드판은 흡사 [[록맨 에그제 시리즈]]나 [[유성의 록맨 시리즈]]처럼 2개의 버전으로 나뉘어 있었다. 가격이 저렴한 대신 선택 가능한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한정되어 있고, 한쪽 세트를 구매하고 나면 나머지 한쪽은 자동적으로 같은 가격의 DLC로 바뀐다. 또한 이 방식대로 게임을 구매한 경우 시즌 패스도 따로 사야 한다. 2020년 8월 8일부터는 올인원 팩의 판매가 개시되었으며, 위와 같이 DMFD를 나눠서 구매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 추가 시나리오 시즌 패스 ===== || {{{#white '''Dragon Marked For Death 추가 시나리오 시즌 패스'''}}}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DMFD시즌패스.jpg|width=100%]]}}} || 유효화 시 각종 추가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즌 패스. 일본 패키지판은 다운로드 번호가 동봉되어 있고, 다운로드판의 경우 올인원 팩에 기본적으로 들어 있다. 본편을 베이직 세트, 엑스퍼트 세트로 나눠서 구매한 경우에는 시즌 패스를 따로 사야 하는데, 한국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e숍]]에는 '''등록이 안 되어 있으므로'''[* 어째서인지 게임 본편조차 등록이 안되어있다.] 해외 e숍에서 구매해야 한다. 시즌 패스로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는 다음과 같다. * 추가 퀘스트 '''용혈 마을''' 일본판 발매일인 1월 31일부터 바로 플레이할 수 있었던 유일한 추가 퀘스트. 튜토리얼 퀘스트인 '''매장된 일족'''과 맵을 공유하고 보스도 동일하다. * 추가 시나리오 '''용혈의 도적 편''' Ver.2.0.0 업데이트가 배포된 3월 28일에 해금된 추가 시나리오. 총 11개의 추가 퀘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마지막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본편과는 별개의 엔딩을 볼 수 있다. * 엑스트라 캐릭터 '''[[도적(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도적]]''' Ver.3.0.0 업데이트 후 용혈의 도적 편을 클리어하면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추가된다. ===== 올인원 팩 ===== ||<-2> {{{#white '''제품 정보'''}}} || || {{{#ffffff '''가격'''}}} || 4000엔(세금 포함) || || {{{#ffffff '''출시일'''}}} || 2020년 8월 8일 || 베이직 세트, 엑스퍼트 세트, 시즌 패스를 묶어놓은 형태로, 패키지판과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예약 구매 특전이었던 뇌정의 무구는 주어지지 않는다. === [[Steam|스팀]]/[[PlayStation 4]] === ||<-3> {{{#white '''제품 정보'''}}} || || {{{#ffffff '''가격'''}}} ||<-2> 4000엔(세금 포함) || ||<|2> {{{#ffffff '''조기 구입 기간'''}}}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2020년 4월 21일 ~ 5월 4일 || || [[PS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2020년 7월 22일 ~ 8월 4일 || || {{{#ffffff '''조기 구입 특전'''}}} ||<-2> DLC 장비 '''뇌정의 무구''' || [[Nintendo Switch]]용 통상판 패키지나 올인원 팩과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와 시즌 패스가 기본으로 제공된다. === 뇌정의 무구 === ||<-3> {{{#white '''Striker Gear[br]뇌정의 무구'''}}} || ||<-3> [[파일:뇌정의무구.jpg|width=75%]] || ||<-3> {{{#white '''목록'''}}} || || {{{#c11401 '''카테고리'''}}} || {{{#c11401 '''명칭'''}}} || {{{#c11401 '''장착 가능 플레이어'''}}} || || 장검 || 보검 스메라기 (宝剣皇神, Sumeragi Glaive) || [[황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황녀]] || || 양손검 || 스파크 칼리버 (スパークカリバー, Luxcalibur) || [[전사(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전사]], [[무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무녀]] || || 수리검 || 피뢰침 (ダート, Dart) || [[닌자(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닌자]] || || 마도서 || 페어리 테일 (フェアリーテール, Grimoire) || [[마녀(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마녀]] || 조기 구입 특전으로 DLC 장비인 '''뇌정의 무구(雷霆の武具)'''가 무기점의 라인업에 추가된다. 이름이나 생김새를 보면 알 수 있듯 같은 회사에서 만든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에서 따온 무기들이다. 패키지판의 경우 통상판이든 한정판이든 입수 가능. 페어리 테일을 제외하면 전부 물리 공격에 금 속성을 부여하며, 드래곤 스피어 발동 중 물리 공격력이 50%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페어리 테일은 금 속성 마법의 공격력과 명중률을 10%씩 높여준다. 참고로 피뢰침은 수리검임에도 불구하고 [[닌자(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닌자]]만 사용할 수 있고, [[도적(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도적]]은 아예 장착 자체가 불가능하다. 레벨 10 무기인 데다가 강화도 불가능하여, 성능은 극초반에나 쓸 수 있을 정도로 좋지 못하다. 그런 와중에 가격마저 5000 골드로 무기점에서 취급하는 다른 레벨 10 무기들에 비해 비싸다. 독자적인 외형 외에는 내세울 장점이 별로 없는 무기. === 사운드트랙 === ||<-2> '''{{{#white DRAGON MARKED FOR DEATH SOUNDTRACK}}}''' || ||<-2>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000000000074_tmTH2ln.jpg]]}}} || || '''{{{#white 상품명}}}''' || ドラゴン・マークト・フォー・デス サウンドトラック || || '''{{{#white 발매일}}}''' || 2019년 2월 22일 (인티 다이렉트)[br]2019년 3월 1일 || || '''{{{#white 가격}}}''' || 4320엔 (세금 포함) || || '''{{{#white 판매처}}}''' || [[http://www.inti-direct.com/shopdetail/000000000074/|인티 다이렉트 상품 페이지]] || 총 77개의 트랙을 디스크 A와 B에 나눠서 수록한 앨범. 디자인은 다르지만 수록곡은 한정판 사운드트랙과 완전히 동일하다. 용혈의 도적 편 관련 트랙과 보너스 트랙은 모두 디스크 B에 수록되어 있다. ||<-4> '''{{{#white DISC A}}}''' || || {{{#!folding [펼쳐보기 · 접기] || '''{{{#white 트랙}}}''' || '''{{{#white 곡명}}}''' || '''{{{#white 사용 시기 및 장소}}}''' || '''{{{#white 비고}}}''' || || '''{{{#white 1}}}''' || [[https://www.youtube.com/watch?v=YyjcHk9QzxE|Theme of Dragon Marked For Death]] || 뮤직 비디오 || 게임 내 미수록 || || '''{{{#white 2}}}''' || 용혈(龍血) || 타이틀 화면, 스태프 롤 || || || '''{{{#white 3}}}''' || 업화의 기억(業火の記憶) || 오프닝 || || || '''{{{#white 4}}}''' || 음침한 피의 외침(暗き血の呼び声) || 데모 - 튜토리얼 퀘스트 등 || 고룡 아트룸의 테마곡 || || '''{{{#white 5}}}''' || 고룡의 힘(古龍の力) || 데모 - 튜토리얼 퀘스트 등 || || || '''{{{#white 6}}}''' || 매장된 마을(葬られし[ruby(郷, ruby=さと)]) || 징글 - 용혈 마을 || || || '''{{{#white 7}}}''' || 여행길에 오르다(旅立ち) || 스테이지 BGM - 용혈 마을 || || || '''{{{#white 8}}}''' || 역부족(力及ばず) || 징글 - 퀘스트 실패 시 || || || '''{{{#white 9}}}''' || 달성의 순간(達成の[ruby(瞬間, ruby=とき)]) || 징글 - 퀘스트 클리어 시 || || || '''{{{#white 10}}}''' || 원하는 대가(求める対価) || 리절트 화면 || || || '''{{{#white 11}}}''' || 자유와 훤소의 거리(自由と喧騒の街) || 빈민가 BGM || || || '''{{{#white 12}}}''' || 빛이 스며드는 방(光差し込む部屋) || 여관 BGM || || || '''{{{#white 13}}}''' || 만전의 채비(万全の支度) || 도구점(빈민가) BGM || || || '''{{{#white 14}}}''' || 지고의 절품(至高の逸品) || 도구점(중류층) BGM || || || '''{{{#white 15}}}''' || 몸을 지키기 위하여(その身を守るため) || 무기상(빈민가) BGM || || || '''{{{#white 16}}}''' || 새단장(装い新たに) || 무기상(중류층) BGM || || || '''{{{#white 17}}}''' || 은밀한 거래(闇中の取引) || 암시장 BGM || || || '''{{{#white 18}}}''' || 다시 만난 술잔(巡り合う盃) || 주점 BGM || || || '''{{{#white 19}}}''' || 위엄의 땅(威厳の地) || 데모 - 중앙 국가 메디우스 || || || '''{{{#white 20}}}''' || 재앙을 당한 언덕(災下の丘) || 징글 - 시카 마을 || || || '''{{{#white 21}}}''' || 저주받은 고성(呪われし古城) || 징글 - 엔시스 고성 || || || '''{{{#white 22}}}''' || 영화의 발치(栄華の足元) || 징글 - 메디우스 성 || || || '''{{{#white 23}}}''' || 복수의 길을 떠나다(復仇の道征き) || 스테이지 BGM - 메디우스 || || || '''{{{#white 24}}}''' || 마주하는 적의(相対する敵意) || 배틀 BGM - 메디우스 || 에쿠스, 맨드레이크 등 || || '''{{{#white 25}}}''' || 경종(警鐘) || 데모 - 메디우스 || || || '''{{{#white 26}}}''' || 전율과 대립([ruby(戦慄, ruby=わなな)]きと対立) || 보스전 BGM - 메디우스 || 오우거프린스, 라이칸스로프 등 || || '''{{{#white 27}}}''' || 준엄한 땅(峻厳の地) || 데모 - 파그나스 || || || '''{{{#white 28}}}''' || 험준한 은령( [ruby(嶮, ruby=けわ)]しき銀嶺) || 징글 - 타폴 설산 || || || '''{{{#white 29}}}''' || 시뻘건 숨결(紅蓮の息吹) || 징글 - 불꽃의 미궁 || || || '''{{{#white 30}}}''' || 강철의 이념(鋼の理念) || 스테이지 BGM - 파그나스 || || || '''{{{#white 31}}}''' || 격렬한 투쟁(激しき闘争) || 배틀 BGM - 파그나스 || 거대소라게, 성기사 등 || || '''{{{#white 32}}}''' || 바짝 조인 개갑(引き締まる([ruby(鎧甲, ruby=がいこう)]) || 데모 - 파그나스 || || || '''{{{#white 33}}}''' || 쇠조차 분쇄하는 힘(鉄をも砕く力) || 보스전 BGM - 파그나스 || || || '''{{{#white 34}}}''' || 공생의 땅(共棲の地) || 데모 - 하스타 || || || '''{{{#white 35}}}''' || 거친 바다에 흔들리며([ruby(荒海, ruby=あらうみ)]に揺られて) || 징글 - 란사 해역 || 마룡의 해역, 여객선 호위 || || '''{{{#white 36}}}''' || 마룡의 태동(魔龍の胎動) || 징글 - 란사 해역 || 위험한 와인 쿨러 || || '''{{{#white 37}}}''' || 원색의 밀림(原色の密林) || 징글 - 카데나 숲 || || || '''{{{#white 38}}}''' || 미답의 오지로(未踏の奥地へ) || 스테이지 BGM - 하스타 || || || '''{{{#white 39}}}''' || 덤벼드는 엄니(襲いかかる牙) || 배틀 BGM - 하스타 || 거대소라게, 맨드레이크 등 || || '''{{{#white 40}}}''' || 자욱한 짐승의 기운(立ち籠める獣気) || 데모 - 하스타 || || || '''{{{#white 41}}}''' || 야성의 격류(野性の奔流) || 보스전 BGM - 하스타 || 크트루후, 트윈드래곤 등 || }}} || ||<-5> '''{{{#white DISC B}}}''' || || {{{#!folding [펼쳐보기 · 접기] || '''{{{#white 트랙}}}''' || '''{{{#white 곡명}}}''' || '''{{{#white 사용 시기 및 장소}}}''' || '''{{{#white 비고}}}''' || || '''{{{#white 1}}}''' || 황막한 땅(荒漠の地) || 데모 - 리투스 || || || '''{{{#white 2}}}''' || 유사의 왕묘(流砂の王墓) || 징글 - 리투스 왕묘 || || || '''{{{#white 3}}}''' || 하늘에 우뚝 솟은 거탑(天に聳える巨塔) || 징글 - 우어스 탑 || || || '''{{{#white 4}}}''' || 미지의 유구(未知なる遺構) || 스테이지 BGM - 리투스 || || || '''{{{#white 5}}}''' || 방해하는 자(阻みし者) || 배틀 BGM - 리투스 || 에쿠스, 맨드레이크 등 || || '''{{{#white 6}}}''' || 솟구치는 경외(湧き上がる畏れ) || 데모 - 리투스 || || || '''{{{#white 7}}}''' || 사람의 지식을 뛰어넘은 힘(人智を超えた力) || 보스전 BGM - 리투스 || 토니트루스, 노귀의 꼭두각시 등 || || '''{{{#white 8}}}''' || 패도의 땅(覇道の地) || 데모 - 말레우스 || || || '''{{{#white 9}}}''' || 심우의 성루([ruby(甚雨, ruby=じんう)]の城閣) || 징글 - 무라마사 성 || || || '''{{{#white 10}}}''' || 황천에 이르다(常世に至る) || 징글 - 아스라 문 || || || '''{{{#white 11}}}''' || 흉사에 앞서서(凶事に先んじて) || 스테이지 BGM - 말레우스 || || || '''{{{#white 12}}}''' || 요수난전(妖獣乱戦) || 배틀 BGM - 말레우스 || 스마히코, 주인 등 || || '''{{{#white 13}}}''' || 위급존망지추(危急存亡) || 데모 - 말레우스 || || || '''{{{#white 14}}}''' || 뚫기 어려운 바위(穿たれ難き磐[ruby(磐, ruby=いわ)]) || 보스전 BGM - 말레우스 || 진류, 아스라고블린 등 || || '''{{{#white 15}}}''' || 애도(哀悼) || 데모 - NPC 사망 시 || 불타는 성 등 || || '''{{{#white 16}}}''' || 무녀의 상념(巫女の想念) || 플래그 이벤트 || 끔찍한 예감 || || '''{{{#white 17}}}''' || 쟁혼의 그릇(争魂の器) || 보스전 BGM - 바시스 || || || '''{{{#white 18}}}''' || 무자비한 달(無慈悲なる月) || 데모 - 바시스 격파 시 || 백신 프리마티스의 테마곡 || || '''{{{#white 19}}}''' || 예부터 울려퍼지는 포효(古より哮り響く) || 징글 - 고룡의 동굴 || || || '''{{{#white 20}}}''' || 혼의 제단(魂の祭壇) || 고룡의 동굴 BGM || || || '''{{{#white 21}}}''' || 복수의 불꽃의 매개체([ruby(讐炎, ruby=しゅうえん)]の依り代) || 최종 보스전 BGM || 아미카, 아트룸 || || '''{{{#white 22}}}''' || 만물을 집어삼키는 용(万物を喰らう龍) || 최종 보스전 BGM || 신생 아트룸, 심연에 잠든 하얀 거짓의 신 || || '''{{{#white 23}}}''' || 증오의 대지(憎しみの大地) || 엔딩 || || || '''{{{#white 24}}}''' || 고룡(孤龍) || 엔딩 || || || '''{{{#white 25}}}'''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ruby(등불, ruby=-리구-)]-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ruby(灯, ruby=-リグ-)]-) || 아미카의 노래 || || || '''{{{#white 26}}}''' || 두 개의 등불(ふたつの[ruby(灯, ruby=ともしび)]) || 엔딩 || || || '''{{{#white 27}}}''' || 도주의 끝 -바람직하게 사는 내일로- (逃走の果て -望まれ生きる明日へと-) || 엔딩 || || || '''{{{#white 28}}}'''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 스태프 롤 || || || '''{{{#white 29}}}''' || 고고한 도적(孤高の盗賊) || 데모 - 리발리스와 조우 시 || 리발리스의 테마곡 || || '''{{{#white 30}}}''' || 빼앗는 자(奪う者) || 보스전 BGM - 리발리스 || || || '''{{{#white 31}}}''' || 들끓는 증오(滾る憎悪) || 데모 - 리발리스 폭주 시 || || || '''{{{#white 32}}}''' || 미쳐 날뛰는 유혈(荒れ狂う血潮) || 최종 보스전 BGM || 리발리스(폭주 형태) || || '''{{{#white 33}}}'''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ruby(흑, ruby=-아토루-)]-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ruby(黒, ruby=-アトル-)]-) || [[https://www.youtube.com/watch?v=fb3eA4GrCws|애니메이션 Ver. A]] || 보너스 트랙 || || '''{{{#white 34}}}'''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ruby(백, ruby=-베루-)]-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ruby(白, ruby=-ベル-)]-) || [[https://www.youtube.com/watch?v=o_ZOgRbo7vc|애니메이션 Ver. B]] || 보너스 트랙 || || '''{{{#white 35}}}'''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PV 버전-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PV Version-) || 게임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V2zi9k7tJw|1]] [[https://www.youtube.com/watch?v=nTTeWN_teW4|2]] || 보너스 트랙 || || '''{{{#white 36}}}''' || [ruby(집으로 돌아가는 길, ruby=파라나자(Faranaja))] -가라오케 버전- ([ruby(家路, ruby=ファラナジャ)] -Karaoke Version-) || - || 보너스 트랙 || }}} || == 출시 전 정보 == === 2017년 === 최초 공개된 장소는 2017년 8월 스위치 인디 쇼케이스이다. 처음에는 닌텐도 스위치와 [[닌텐도 3DS]]로 동시 발매한다는 오보가 있었으나 곧 개발사에서 닌텐도 스위치 독점 타이틀이라고 정정했다. 정확히는 3DS판도 실제로 개발되고 있었지만 무산된 것. [[파일:DZ01FnwV4AALDDL.jpg|width=400]] 최초 공개된 일러스트. 현 버전과 타이틀 로고가 다르다. [youtube(dY8OCBFl1Qg, start=875)] 2017년 여름에 공개된 영상. 이때는 2017년 겨울 출시를 예고했지만, 2017년 12월 퀄리티 향상을 위해 1년 발매 연기를 발표했다. === 2018년 === [youtube(ZsLt3SSayNU)] 7월에 제1차 소개 영상이 공개되고 발매 예정 시기가 2018년 겨울이 되었다. 이때를 기점으로 로고가 바뀌었으며, 공식 명칭도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에서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로 변경되었다. 이후 같은 해 8월에 발매일이 12월 13일로 구체화됐으나, 9월에 위 영상의 일본판이 공개되면서 일본판 발매일은 2019년 1월 31일로 늦춰졌다. [youtube(fb3eA4GrCws)] 11월에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트레일러 중 타입 A가 공개되었고, 일본판과 북미판의 발매일이 2019년 1월 31일로 통일된 것으로 드러났다. 참고로 [[https://youtu.be/o_ZOgRbo7vc|타입 B]]는 게임이 발매된 지 일주일이 지나고 뒤늦게 공개된 상태. [youtube(QB3nP2GFjUQ)] 12월에 공개된 2차 소개 영상. [[https://youtu.be/nTTeWN_teW4|일본어판]] [[파일:dmfd_xmas_1920x1080_j.jpg|width=600]] 공식 홈페이지에서 [[http://dragonmfd.com/jp/special/#special03|2018년 크리스마스 축전 일러스트]]를 받을 수 있다. 아마존닷컴 특전용 일러스트와 마찬가지로 챙을 없앤 마녀를 볼 수 있다. === 2019년 1월 === [youtube(YyjcHk9QzxE)] 9일에 메인 테마곡 Faranaja의 공식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다. 수많은 관현악단이 함께 녹음한 것이 특징. 13일에는 [[인티 크리에이츠]] 대표인 아이즈 타쿠야가 개인 트위터 계정에 [[https://twitter.com/t_aizu/status/1084643398466691072|본작의 개발 초안]]을 올렸다. 홍보 계획을 조정하면서 공개할 자료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라고 하며, 작성자는 츠다 요시히사. 그리고 아이즈가 밝힌 이 초안의 제작 날짜는 '''2008년''' 8월 18일로, 처음에는 [[PSP]]용으로 구상했다고 한다. [youtube(uPU5nq1VT00)] 17일에 일본판 성우 소개 트레일러가 공개되고, 이와 동시에 '''Ver 1.1.0''' 업데이트 패치를 예고했다. 이 업데이트는 게임 발매일인 1월 31일에 바로 적용되었으며, 드래고나이트로 레벨업 보너스를 재분배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수많은 미세 조정이 이루어졌다. [youtube(JsMwYoLqP74)] 한국 시간 18일에는 한글판 발매일과 제2차 소개 영상의 한국어판이 공개되었다.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다소 군대 [[정훈교육]] 같다는 평가가 있다(...). [youtube(lr1NjHeUvss)] 24일에는 작곡가 인터뷰 영상이 공개되었다. 영상에 삽입된 BGM은 본작의 '''최종 보스전 테마곡'''이다(...). == 공식 생방송 == === 드래곤 마크드 포 라이브 === 본작의 정보를 중심으로 인티 크리에이츠 관련 소식을 전달하기 위해, 2019년 1월 16일부터 2020년 3월 12일까지 '''드래곤 마크드 포 라이브'''라는 공식 생방송이 [[유튜브]]와 [[니코니코 동화]]에 올라왔다. 진행자는 성우인 다나카 켄타와 인티 측 스태프인 미야자와 명인.[* 본명은 미야자와 히로키이며, [[인티 크리에이츠]] 공식 명인(名人)으로서 [[푸른 뇌정 건볼트]]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ZoceXEtsGkOmJgeIwnyEXh7CyU8lxyU|SS 랭크 지도 영상]]을 찍은 장본인이다.] 방송의 내용은 게임 소개와 업데이트 일정 안내, 진행자들의 실제 게임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유튜브]]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fhXSp7BOSpM|제1회]] * [[https://www.youtube.com/watch?v=tKmtz2fUhME|제2회]] * [[https://www.youtube.com/watch?v=MK4mQVB5I7E|제3회]] * [[https://www.youtube.com/watch?v=MuiEo2_fJp0|제4회]] * [[https://www.youtube.com/watch?v=mF2CLgXp5yI|제5회]] * [[https://www.youtube.com/watch?v=WbiDG5dVZR4|제6회]] * [[https://www.youtube.com/watch?v=rwdYcb86Eq8|제7회]] * [[https://www.youtube.com/watch?v=ztG-sqYH3lw|제8회]] * [[https://www.youtube.com/watch?v=EbUuq0j3dJI|제9회]] * [[https://www.youtube.com/watch?v=si605cA6ZaA|제10회]] * [[https://www.youtube.com/watch?v=UHpbVkE9dSI|제11회]] * [[https://www.youtube.com/watch?v=UTaSDBHiA5Y|제12회]] * 제13회 방송은 방송 설비의 문제로 인해 [[니코니코 동화]]에만 송출되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rHiYvLazir0|제14회]] * [[https://www.youtube.com/watch?v=jDy-yZJjsIQ|제15회]] * [[https://www.youtube.com/watch?v=zUL_rRRCNnE|제16회]] * [[https://www.youtube.com/watch?v=pq9uwVTukA4|제17회]] * [[https://www.youtube.com/watch?v=iY1E_LH13K0|제18회 (최종회)]] === あい津! 드래곤 게릴라 라이브 ===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LFDBf4hcrVmnISnkZZr1LExti7dE2qAL|유튜브 재생목록]] 미야자와 명인과 인티 크리에이츠 대표인 아이즈 타쿠야가 DMFD의 발매를 기념하여 직접 진행한 생방송 시리즈. 이전부터 아이즈 타쿠야와 인티 크리에이츠 부사장인 츠다 요시히사가 같이 진행한 방송 '''아이츠다(あい津だ!)'''의 제목을 살짝 변형했다. == 평가 == ||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50]]]] || [[오픈크리틱|[[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width=150]]]] ||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dragon-marked-for-death|{{{#ffffff 스코어 69/100}}}]]''' || '''[[https://opencritic.com/game/7248/dragon-marked-for-death|{{{#ffffff 스코어 69/100[br]FAIR}}}]]''' || 리뷰어들 사이에서는 제작진의 화려한 경력과 적극적인 홍보에 비해 '''기대 이하'''라는 평이 대부분이다. 게임플레이 자체가 다소 반복적이라 초반을 지나면 지루해지기 쉽고, 레벨 디자인에 대한 비판이 많은 편이다. 리뷰어들은 전투 시스템은 스킬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면서 딱히 깊이가 있는 것도 아니기에 굉장히 지겨운 평타 짤짤이가 되기 일쑤이며, 레벨 디자인의 경우 지나치게 멀티플레이 위주로 설계되어 있어 싱글 플레이 시 행동에 너무 제약이 크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발매 후 두 달 가까이 잦은 업데이트를 거친 이후로는 '''미완성 게임을 팔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업데이트로 뒤늦게 완성한 컨텐츠의 흔적이 이전 빌드에서 눈에 보일 정도. 대표적인 사례로 1.1.0 버전에서 특정 NPC에게 말을 걸면 네임드 몬스터와 도적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나, 이 컨텐츠들은 각각 1.3.0과 2.0.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또한 상기한 업데이트를 배포할 때마다 버그가 우후죽순 쏟아져나왔다는 점도 문제. 심지어 기존의 버그를 수정하는 패치가 배포되면서 새로운 버그가 발견되는 등, 한동안 악순환이 반복되다가 뒤늦게 잠잠해진 상태이다. 일반적인 중소 기업이나 인디 메이커 수준에서 나왔다면 비교적 고평가를 받았을 가능성도 없지 않으나, 제작진이 이름 있는 제작진인 데다 [[인티 크리에이츠]]가 지난 몇 년간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등 우수한 액션 게임을 발매한 전적도 있기 때문에 그만큼 리뷰어들의 실망이 더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http://www.nintendolife.com/reviews/nintendo-switch/dragon_marked_for_death?utm_source=nintendolife&utm_medium=email&utm_campaign=review-notification|#]] 사실 반복 플레이와 레벨 디자인에 대한 지적은 발매 전 각종 게임 행사에서 미리 게임을 체험해본 사람들의 공통된 평가였다. 결국 제작진은 이런 단점에 대해 미리 지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정하지 못했던 것이다. 다만 버그나 컨텐츠 부족 등 상기한 문제들은 지속적인 패치를 통해 어느 정도 개선된 상태이다. 미완성된 게임을 팔았다는 점은 반박의 여지가 없지만, 도트 형식의 횡스크롤 게임을 좋아한다면 플레이해볼 법하다. 적어도 아트워크와 OST에 대한 평가는 좋은 편이다. --다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욕을 토하는 '''더러운 레어 드롭률'''은 한결같다-- 현재는 [[Discord]]와 [[트위터]]로 접할 수 있는 외국인이나, [[단톡방]] 등에 모여 있는 국내 유저들과 시간을 정해놓지 않는 한 멀티 플레이를 하기가 쉽지 않다. 본작 특성상 구매층의 폭이 한정될 수밖에 없는 데다가, 미완성이라는 비평을 만회하기 위해 업데이트는 꾸준히 하고 있지만 결국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격이 되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와중에도 실적은 2019년 전반기에 이미 인티 크리에이츠의 목표를 넘어섰다고 한다.[[https://www.dualshockers.com/inti-creates-interview-gunvolt-chronicles-pc-stadia/|#]] == 참고 사이트 == *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 * [[http://dragonmfd.com/jp/|공식 사이트(JP)]] * [[http://dragonmfd.com/en/index.html|공식 사이트(EN)]] * [[http://dragonmfd.com/kr/|공식 사이트(KO)]] * [[https://twitter.com/DragonMFD|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 공식 트위터]] * [[인티 크리에이츠]] * [[http://www.inti.co.jp/|공식 사이트]] * [[https://twitter.com/GunvoltOfficial|공식 트위터(JP)]] * [[https://twitter.com/IntiCreatesEN|공식 트위터(EN)]] * [[http://www.inti-direct.com/|공식 온라인 숍]]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ktDHnamxzrLnVFbCcX0Jg|유튜브 채널]] * 그 외 * [[https://w.atwiki.jp/dragonmfd/|5ch 공략 위키]] * [[https://www65.atwiki.jp/dragonmfd2ch/|5ch 공략 위키 (이동 전)]] * [[https://bbs.ruliweb.com/game/84991/board|루리웹 게시판]]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dragonmarkedfordeath|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 기타 == * 작곡가 인터뷰 영상에서 사운드 프로듀서도 언급한 부분이지만, 첫 기획서가 2008년에 작성되었을 정도로 오랫동안 제작된 작품이다. PSP판의 제작이 무산된 이후 [[인티 크리에이츠]]와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가 공동으로 [[플레이스테이션 3|PS3]]/[[엑스박스 360|360]]판의 개발을 시작했으며, 이마저도 도중에 중단되어 플랫폼이 [[닌텐도 3DS]]로 바뀌었다. 최종적으로는 360판, 3DS판 모두 프로토타입만 남았고, 인티에서 거의 단독으로 게임을 완성하여 [[Nintendo Switch]]용으로 발매하였다. 참고로 이 프로토타입들은 2019년 [[크리스마스]]에 인티에서 진행한 [[https://www.youtube.com/watch?v=4wPAxLn8JIs|생방송]]에서 잠깐 볼 수 있다. * 본작의 메인 테마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I9e5p5JZCTA|'''Faranaja''']]는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가로(家路)'라고 쓰고 '파라나자(Faranaja)'라고 읽는다.]] 가로는 일본어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뜻한다. 게임 개발이 진행되는 사이 가사가 이탈리아어에서 '''드래곤어'''로 바뀌었으며, 설정상 노래를 부른 사람은 아미카라고 한다. * 이름이 공개된 개발진이 [[록맨 제로 시리즈]]와 [[록맨 ZX 시리즈|ZX 시리즈]]의 [[http://bbs.ruliweb.com/nin/board/300004/read/2138034|핵심 인원]]이라 공개 후 화제가 되었다. * [[일러스트레이터]]는 두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은 물론 [[록맨 제로]]~[[록맨 제로 3]]의 메인 일러스트레이터까지 맡은 '''나카야마 토오루'''. * 세계관 및 시나리오는 록맨 ZX 시리즈의 총 감수자였던 '''야베 마코토'''가 구상했으며, 이것이 그가 인티 크리에이츠를 그만두기 전에 마지막으로 담당했던 작품이다. * 게임 내에 삽입된 이벤트 CG의 밑그림은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의 일러스트레이터인 '''하타케야마 요시타카'''가 그렸다. 야베 마코토의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하타케야마가 밑그림을 그리고, 인티 크리에이츠의 비트맵 아티스트가 이에 맞춰 도트를 찍어서 완성한 것. 한편 작중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도적의 도트 그래픽은 하타케야마 본인이 직접 맡았다고 한다. [[https://twitter.com/nuoist/status/1111139928795049984|#]] * 특이하게도 인티 크리에이츠는 일본 회사이며 이 게임의 개발진도 대부분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일본보다 서양 마케팅에 더 열을 올렸다. 처음에는 공식 홈페이지와 PV 모두 일본어판보다 영문판을 우선적으로 업데이트하였고, 공식 트위터는 영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다가 2018년 9월 이후로는 영문 홈페이지의 업데이트가 한동안 끊겼고, 트위터를 통한 홍보도 일본어를 쓰는 인티 공식 트위터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중. * 본작의 녹음에 참여한 성우 중에는 [[인티 크리에이츠]]의 다른 작품에 참여한 인원도 포함되어 있다. {{{#!folding [펼쳐보기 · 접기] * 기존의 작품에 참여한 인원 * [[콘도 레이나]](황녀 타입 C): [[오우카(푸른 뇌정 건볼트)|오우카]]([[푸른 뇌정 건볼트 爪]]) * [[스와베 준이치]](전사 타입 B): [[오메가(록맨 제로 시리즈)|오메가]]([[록맨 제로 3]]), [[마이티 No. 9/등장인물|화이트 박사]]([[마이티 No. 9]]) * [[야시로 타쿠]](전사 타입 D): [ruby(초수압, ruby=하이드로 프레셔)]의 능력자([[푸른 뇌정 건볼트]] 팬디스크) * [[우치야마 코우키]](닌자 타입 A): 브랜디시(마이티 No. 9) * [[타카기 와타루]](닌자 타입 C): 잇페이(가변주공 건바이크), 에그(Love & Destroy), [[레지스탕스(록맨 제로 시리즈)|밀란]]([[록맨 제로]]), [[퍼프릴 더 맨드로이드]](록맨 ZX), 파이로젠(마이티 No. 9), 주임 기사(OVA판 [[푸른 뇌정 건볼트]]), 어플리 드라이브(게임판 [[어플몬스터]]) * [[무라세 아유무]](닌자 타입 D): [[시덴(푸른 뇌정 건볼트)|시덴]]([[푸른 뇌정 건볼트]]), [[조커(괴도 조커)|조커]](괴도 조커: 시간을 초월하는 괴도와 사라진 보석), [[벡(마이티 No. 9)]] * [[나즈카 카오리]](마녀 타입 C): [[에우레카]]([[PSP]]판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판테라(푸른 뇌정 건볼트)|판테라]]([[푸른 뇌정 건볼트 爪]]) * [[호리에 유이]](무녀 타입 D): 에코로([[걸☆건 시리즈]]) * [[키시오 다이스케]](도적 타입 B): [[프로메테&판도라|프로메테]]([[록맨 ZX 시리즈]]) * 다나카 켄타(도적 타입 C): 드래곤 마크드 포 라이브 MC * 다이아나 가닛(테마곡 보컬): [[시안(푸른 뇌정 건볼트)|시안]], [[모르포]](OVA판 [[푸른 뇌정 건볼트]] 북미 더빙) * 나중에 발매된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에 참여한 인원 * [[우메하라 유이치로]](전사 타입 A): [[다이나인]] * [[나가나와 마리아]](마녀 타입 B): [[마이너즈|마리아]] * [[하나모리 유미리]](마녀 타입 D): [[코하쿠(익스 시리즈)|코하쿠]]}}} [[분류: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