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fff 드루 래스머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 1라운드 지명 선수)] ---- ||
'''{{{#fff 드루 래스머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밀워키 브루어스|{{{#fff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3번}}}''' || || [[맷 앨버스]][br](2018~2019) || {{{+1 →}}} || '''{{{#12284b 드루 래스머센[br](2020~2021)}}}''' || {{{+1 →}}} || [[헌터 스트릭랜드]][br](2021)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7번}}}''' || || [[애런 슬레거스]][br](2019~2020) || {{{+1 →}}} || '''{{{#092c5c 드루 래스머센[br](2021~)}}}'''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F863E84-B92B-44DB-9857-815889E93A6A.jpg|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57''' || ||<-2> '''{{{#092c5c {{{+2 드루 래스머센}}}[br] Drew Rasmussen}}}''' || || '''본명''' ||드루 토머스 래스머센[* Rasmussen의 경우 국내에서는 철자를 그대로 읽어 '라스무센'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으나, 베이스볼 레퍼런스에서 \RASS-muss-ehn\으로 발음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T1h6jTu3JGU|현지 중계]] 이름 Drew의 경우 국내에서 보통 '드류'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나, 현지 발음은 '드루'에 가깝고 외래어 표기법도 이를 존중해 '드루'로 표기한다.][br]Drew Thomas Rasmussen || ||<|2> '''출생''' ||[[1995년]] [[7월 27일]] ([age(1995-07-27)]세) || ||[[워싱턴주|워싱턴 주]] 퓨앨럽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마운트 스포케인 고등학교 - [[오리건 주립대학교]] || || '''신체''' ||185cm, 9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4 MLB 신인드래프트|2014년 드래프트]] 39라운드 (전체 1170번,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br][[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1번, [[탬파베이 레이스|TB]])--[br][[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85번, [[밀워키 브루어스|MIL]]) || || '''소속팀''' ||[[밀워키 브루어스]] (2020~2021) [br]'''[[탬파베이 레이스]] (2021~)''' || || '''계약''' ||Pre-Arb / $739,700 || || '''연봉''' ||2023 / $739,700 || || '''SNS''' ||[[https://www.instagram.com/drew_rasmuss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rew_Rasmussen_,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밀워키 브루어스]] === 퓨앨럽 출신으로 마운트 스포케인 고등학교를 다녔고,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가 2014년 39라운드에 래스머센을 지명했지만 입단하지 않았다. [[오리건 주립대학교]]에 진학해 2015년 3월 21일 [[워싱턴 주립대학교]]를 상대로 구단 역사상 최초로 '''퍼펙트 게임'''을 기록하며 주목받았고, 대학야구 무대에서 꾸준히 활약하며 수준급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31번으로 [[탬파베이 레이스]]에 지명되었으나, 팔꿈치 부상 문제로 계약을 맺지 않고 그해 9월 커리어 두 번째 [[토미 존 수술]]을 받았다. 수술 이후 재활에 매진하는 사이, 2018년 드래프트에서 [[밀워키 브루어스]]가 6라운드에 래스머센을 지명하며 프로 무대에 발을 내딛게 되었다. 재활을 마치고 2019년 마운드에 돌아와 싱글A와 하이싱글A를 빠르게 통과하고 더블A에서 주로 등판해 3.54의 ERA를 기록했다. 2020 시즌이 [[코로나19]]로 인해 개막이 지연되고 마이너리그가 취소되는 악재가 발생했지만, 래스머센은 이를 오히려 기회로 삼아 좋은 구위를 바탕으로 8월 13일 빅 리그 로스터에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8월 19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빅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2이닝 2피안타 3K 무실점으로 준수한 피칭을 선보였다. 이후 추격조 위주로 등판하다가 시즌을 마감했고, 포스트시즌 엔트리에도 포함되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1차전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팀이 2연패로 광탈해버려 더 이상의 등판은 없었다. 2020 시즌 최종 성적은 12경기 15⅓이닝 1승 ERA 5.87 21K 9BB로, 마지막 두 경기에서 1⅔이닝 7실점으로 완전히 박살난 걸 제외하면 1점대 ERA에 머물 정도로 데뷔시즌치고 준수한 성적을 남겼다. === [[탬파베이 레이스]] === ==== 2021 시즌 ==== 개막로스터에 포함되어 추격조 역할로 주로 등판하다가, 5월 21일 [[윌리 아다메스]] 트레이드 때 [[J.P. 파이어라이젠]]과 함께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이후 트리플A에서 출전하다가 6월 19일 불펜진 보강을 위해 빅 리그로 콜업되었다. 콜업 이후 주로 추격조나 롱 릴리버 역할로 등판하고 있다. 8월들어 선발 투수들의 연쇄 이탈이 발생하자 [[선발 투수]]로 보직을 옮겼다. 처음에는 3이닝 정도를 소화하며 불펜 데이 첫 번째 투수 정도의 역할을 해줬으나, 이후 투구수를 조금씩 늘리면서 4~5이닝 정도를 소화하며 점점 더 전업 선발투수에 가까워지는 중. 9월 7일에는 보스턴 원정에서 커리어 첫 선발승을 수확했다. 10월 11일 보스턴과의 [[202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에서 선발로 등판했다. 시즌 막바지에 워낙 공이 좋았던데다 보스턴 원정에서 호투한 이력도 있어서 기대받았지만, 경기에 들어서니 정규시즌보다 1마일 가량 패스트볼 구속이 떨어져서 우려를 샀고, 결국 보스턴 타선에 공략당하며 2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 2022 시즌 ==== 개막 시점부터 로테이션에 포함되어 풀타임 선발로 확실하게 자리잡았다. 아직 이닝이팅은 2% 아쉽지만 2점대 ERA를 유지하면서 활약중. 8월 14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서 8회까지 퍼펙트 게임을 이어갔지만, 9회 초 선두타자 [[호르헤 마테오]]에게 2루타를 허용하며 대기록 달성에는 실패했다. 이후 [[테린 바브라]]의 2루 땅볼로 만들어진 1사 3루 [[브렛 필립스]]의 타석에서 폭투로 실점까지 허용하고 필립스를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으로 출루시키는 등 퍼펙트가 깨진 후 급격하게 제구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낫아웃 직후 9회 1사에서 [[제이슨 애덤]]과 교체되어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이날 8회까지 24타자를 상대하는 동안 6개의 탈삼진과 '''79개'''의 투구수로 기대를 모았지만 기록 달성에는 실패했고, 개인 통산 첫 완투와 완봉도 다음 기회로 미뤄야 했다. 그래도 애덤이 남은 아웃카운트를 처리하며 승리는 챙기게 되었다. 아쉽게 놓친 퍼펙트를 포함해 8월에만 6경기 3승 1패 ERA 1.57 33K 4BB라는 위력적인 피칭을 보여주면서 아메리칸 리그 8월 이달의 투수로 선정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28경기 146이닝 11승 7패 ERA 2.84 125K 31BB bWAR 3.0 fWAR 2.9. 중간에 로테이션을 거르기도 했고 이닝 소화력 부족으로 규정이닝은 넘기지 못했지만, 나올때마다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며 선발진의 믿음직한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눈에 띄는 특징이라면 선발로 완전히 전업하면서 완급조절에 신경쓰게 되며 평균 구속은 줄었으며, 그만큼 삼진 비율도 다소 줄어들긴 했으나, 그 대신 볼넷도 크게 줄이는 등 선발로서의 경기 운영도 점점 배워나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 2023 시즌 ==== 시즌 첫 2경기에서 13이닝 15K 무실점으로 위력적인 출발을 보여줬으나, 그 이후로는 다소 퐁당퐁당 피칭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도 5월 들어서는 6일 [[뉴욕 양키스]]전 5⅔이닝 6K 무실점, 11일 양키스 원정 7이닝 7K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페이스를 끌어올리는 듯 했으나, 11일 경기 이후 팔꿈치 이상이 확인되어 검진한 결과 굴곡근 염좌 진단을 받았다.[* 사실 11일 경기에서도 7회까지 단 76구만 던져서 교체가 이른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는데, 7회 말 마지막 타자였던 [[글레이버 토레스]]를 상대하면서 팔꿈치에 불편함을 느꼈다고 밝히며 부상으로 인해 교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수술을 받았고 재활 기간을 합치면 내년 시즌 전반기까지 날리게 될 예정이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드루 래스머센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 [[밀워키 브루어스|MIL]] || 12 || 1 || 0 || 0 || 0 || 15⅓ || 5.87 || 17 || 3 || 9 || 0 || 21 || 1.17 || 96 || 0.0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밀워키 브루어스|MIL]]/[[탬파베이 레이스|TB]] || 35 || 4 || 1 || 1 || 1 || 76 || 2.84 || 57 || 5 || 25 || 0 || 73 || 1.079 || 142 || 1.4 || 1.6 || || 2022 || [[탬파베이 레이스|TB]] || 28 || 11 || 7 || 0 || 0 || 146 || 2.84 || 121 || 13 || 31 || 3 || 125 || 1.041 || 128 || 2.9 || 2.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75 || 16 || 8 || 1 || 1 || 237⅓ || 3.03 || 195 || 21 || 65 || 3 || 219 || 1.096 || 126 || 4.3 || 4.5 || == 여담 == == 같이 보기 == * [[야구 관련 인물(MLB)]]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상세)]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피어스 카운티(워싱턴 주) 출신 인물]][[분류:오리건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