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의 금지 제한 카드: 레거시)]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덱)] || '''영어판 명칭''' || '''Oath of Druids'''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7069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드루이드들의 서약''' || || '''마나비용''' || {1}{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부여마법 || ||||각 플레이어의 유지단 시작에 그 플레이어는 상대방 중 자기보다 조종하는 생물의 수가 많은 상대 한 명을 목표로 정한다. 그렇게 한다면 그 플레이어는 [[추리게이트|서고를 맨 위부터 생물 카드가 나올 때까지 공개한다. 그 카드를 전장에 놓고 이렇게 공개된 나머지 카드들을 무덤에 넣는다.]]||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Exodus || 레어 || 복잡하게 설명했지만 결국은 상대방이 나보다 생물을 많이 조종하고 있고 그 플레이어를 목표로 지정할 수 있다면[*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신들의 방패]] 같이 플레이어를 지정 못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못 쓴다는 것] 서고를 위에서부터 까 나가다가 맨 처음 나온 크리쳐 하나를 전장으로 넣는다는 것. 이런 성격의 카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덱에 생물을 몇 종류만 넣어 원하는 생물이 나올 확률을 높이는 것이며, 대신 서고사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가이아의 축복]]을 함께 사용해 막을 수 있었다. T2 현역 당시에는 덱에서 생물을 극도로 줄이고 그 자리를 각종 컨트롤 요소들로 채워 넣은 [[https://magic.wizards.com/en/articles/archive/feature/turbo-mulch-2010-07-21|Turbo Mulch 덱]]이 강세를 보였다. 다만 '''생물을 사용하지 않는 콤보덱을 상대로 약점'''이 있어 사이드보드에 [[제스터의 모자]]와 [[일시적 정지]]를 채용했다. [[우르자 블록]] 출시 뒤에는 끝내기를 위한 [[변형괴물]], 생명점 회복을 위한 [[가시벌레 사육기]], 전투 피해 방지를 위한 Spike Weaver 등을 한 장씩 넣어 전략적 유연성을 높였고, 이 형태는 익스텐디드까지 이어져 [[https://www.mtgtop8.com/event?e=12511&d=272109&f=EX|2002년 그랑프리 우승]] 덱에도 채용되었다. 이후 2003년 12월에 익스텐디드에서 금지되었다. 2004년 [[Champions of Kamigawa]]에서 상대방에게 생물을 강제로 주는 [[Forbidden Orchard]]가 발매되면서 약점이었던 생물 없는 덱을 상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빈티지에서는 그 즉시 [[https://articles.starcitygames.com/premium/meandecks-angels-a-look-at-the-new-oath-of-druids-deck/|8강 중 4명이 Oath덱을 사용]]할 정도로 각광받았으나,[* 승리 수단은 [[Cognivore]], [[Darksteel Colossus]], [[Triskelion]], [[Akroma, Angel of Wrath]] 등으로 다양했다.] 레가시에서는 같은 해 9월 빈티지/레가시 사이의 금지/제한 카드 연동이 분리됨과 동시에 금지되었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