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워프 포트리스]][[분류:게임 내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드워프 포트리스/자원 및 재료)] [include(틀:드워프 포트리스)] [목차] == 개요 == 드워프들은 술 외에도 식사를 해야된다. 식사가 모자란 경우 벌레 등 소동물(vermin)이라도 먹으려 하는데 이 경우 무드가 깎이게 된다. 거래하러 온 상단(Caravan)에서 음식을 훔쳐먹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단에게 걸려서 비용을 물어야 될 수 있다. 이조차 불가능한 상태가 유지될 경우 드워프는 영양실조로 죽는다. 반대로 식사를 하고 움직이지 않는 드워프는 '''살이 찔 수 있다'''. 놀랍게도 살이 찐 드워프는 냉기 저항 보너스나 살 두께로 방어력이 약간 상승될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놀리는 드워프란 사치 그 자체기 때문에 이런 일을 볼 기회가 많지는 않다. 드워프들의 식사 요구량은 계절당 대략 2번, 즉 1.5달에 한 번 정도의 식사가 있어야 하므로 기지에 남은 식사 계산을 잘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드워프들은 각자 선호하는 재료와 아닌 재료, 즉 취향이 있는데다 같은 음식에 대한 질림도 구현되어 있다. 보통은 재료를 여러 개 쓰지만, 하나의 재료만 써서 요리하는데 선호하지 않는 재료로 계속 같은 음식을 먹이면 밥을 먹이는데도 불구하고 불만이 생기는 걸 볼 수 있을 것이다. == 요리 == 주방에서 요리를 준비해서 식사를 만들 수 있다. 식사는 다음과 같은 세 종류가 있다. * '''간단한 식사'''(Easy meal) - 2개의 재료가 필요하며, 이름은 '''(마지막 재료) 비스킷'''(... biscuit)이 된다. * '''좋은 식사'''(Fine meal) - 3개의 재료가 필요하며, 이름은 '''(마지막 재료) 스튜'''(... stew)가 된다. * '''호화로운 식사'''(Lavish meal) - 4개의 재료가 필요하며, 이름은 '''(마지막 재료) 구이'''(... roast)가 된다. 물론 간혹 재료를 더 가져다 쓰는 ''버그''도 있으므로 주의. 완성된 식사는 식사의 재료가 될 수는 없다. 식사는 재료를 사용하는 만큼의 갯수가 나온다. || '''품질''' || '''표기''' || '''식사 접두어''' || '''재료 접두어''' || '''가치 배수''' || || 일반 || 요리명 || 없음 || 다져진[br]minced || 1배 || || 좋음[br]Well-crafted || -요리명- || 잘 조리된[br]well-prepared || 잘 다져진[br]well-minced || 2배 || || 정교[br]Finely-crafted || +요리명+ || 정교하게 조리된[br]finely prepared || 정교하게 다져진[br]finely minced || 3배 || || 고급[br]Superior quality || *요리명* || 고급지게 조리된[br]superiorly prepared || 고급지게 다져진[br]superiorly minced || 4배 || || 특별[br]Exceptional || ≡요리명≡ || 특별하게 조리된[br]exceptionally prepared || 특별하게 다져진[br]exceptionally minced || 5배 || || 완벽[br]Masterful || ☼요리명☼ || 완벽하게 조리된[br]masterfully prepared || 완벽하게 다져진[br]masterfully prepared || 12배 || 요리의 가치는 각각의 재료별로 가치가 매겨져서 배수를 적용해 합산하고, 거기에 완성된 식사의 품질로 매겨지는 값까지 더해서 계산된다. 제대로만 만든다면 비싼 가치를 하기 때문에 상단에 팔아먹어서 돈 버는 수입원으로도 사용된다. 다만 요리사에게 제대로 재료[* 기본적으로 배럴에 담긴 재료를 잘 찾아가는 편이지만 거리에 따라서 잘 안 될 수도 있다. 그래도 술, 시럽 따위의 액체를 재료에 집어넣게 하지 않도록 우선순위가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를 쓰도록 하는 일이 쉽지는 않기 때문에 작업과 제한을 잘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식사도 식재료와 마찬가지로 상해서 미아스마를 만들 수 있으므로 잘 관리해야 한다. == 재료 == 식재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식물'''(Plants) * '''육류'''(Meat) * '''수산물'''(Fish) * '''알'''(Egg) * '''젖'''(Milk) * 이외에 양봉으로 얻을 수 있는 '''꿀'''(Honey), '''로열젤리'''(Royal jelly)도 일단은 식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상기한 식재료들이 전부 쓸 수 없을 땐 식물의 '''씨앗'''(Seed), '''술'''(Alcohol)도 쓸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씨앗과 술을 못 쓰도록 작업 거부 설정에 넣어두는 게 기본이다. '''식재료는 통(배럴, Barrel)에 꼭 담아둬야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 경우 상해버린다. 지상의 채소류는 시들었다(wither)고 나오며 폐기물로만 취급되지만, 밀폐된 공간[* 정확히는 Dark, Subterranean 특성이 있는 타일 기준으로 문으로 나뉜 공간 안에서 퍼진다. 즉 지표 바닥을 따지 않은 지하 공간에서만 일어나며, 지상의 실내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에서 음식이 상한 경우에는 미아스마를 만들어 드워프들을 병들게 한다. 다행히 보관 온도 상관없이 통에만 담아두면 상하지 않으므로 통을 꼭 충분한 양 만들어두도록 하자. 식사가 정말 아무 것도 없으면 식재료를 직접 먹을 수는 있긴 하지만 드워프들은 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 식물 === 재배는 물론 채집도 적당한 지역에 정착했다면 손쉽기 때문에 대부분 식사의 주 재료가 된다. [[드워프 포트리스/식물]], 그리고 [[드워프 포트리스/나무]](열매) 참조. === 육류 === 가축, 사냥 등으로 얻을 수 있다. 어차피 틱 조절 때문에라도 가축은 주기적으로 도축하게 되고, 가축에서 나오는 가죽, 지방 등의 부산물이 유용하게 쓰이므로 어느 정도 재고를 가지고 있게 된다. 드워프 포트리스 내에서 도축된 육류는 고기 외에도 뇌, 창자 등 다양한 종류의 내장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되는 부위는 동물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게임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담으로 육류는 육식동물의 훈련에 사용되므로 육식동물의 훈련을 지정해놓았다면 재고가 빠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수산물 === 낚시 작업(fishing)과 손질 작업(fish cleaning)이 지정되어 있고, 적당한 물(보통 흐르는 물)이 있으면 수산물 식재료가 공급된다. 과정은 대개 생 물고기(raw ...)를 잡아와서 이를 가공해 배럴에 담는다. 효율이 썩 좋은 편은 아니기에 보통 비선호되는 편이다. 또한 손질 외에도 일부 수산물은 해부(dissection)을 통해 요리 외에 다른 재료[* 현재로는 야생도가 높은 지역에서 등장하는 모그호퍼(moghopper)에서 모그액(mog juice)를 추출하는데에만 사용되므로, 사실상 쓸모가 크지는 않다.] 를 얻기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조개류를 낚은 경우엔 이를 손질해 식사에 사용하면 껍데기(shell)을 얻을 수 있다. 껍데기는 쓰레기(refuse)로 취급되지만, 엄연히 공예품/장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재료기 때문에 가난할 때 뭐라도 하나 만들어 팔기 위한 재료로도 사용된다. === 알 === 조류는 알을 낳고, 이를 식재료로 쓸 수 있다. 대부분은 가축(가금류)에게서 나오지만, 야생의 조류도 낳을 수 있으며, 선한 지역에서 등장하는 깃털나무(Feather tree)는 수확철에 열매로 알을 생산한다. 가금류를 키운다면 둥지상자(nest box)를 설치해주면 닭, 칠면조 같은 가금류들 중심으로 알이 공급된다. 무정란은 상할 수 있지만, 유정란이면 일정 시간 뒤에 생명이 탄생한다. 다만 드워프들이 이를 먹지 않고 놔두도록 작업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 === 젖 === 소(우유) 등 젖이 나오는 가축에 착유 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소 외에도 낙타, 염소, 양, 물소, 야크 등 현실에서 낙농업이 이루어지는 동물들에게서 젖을 얻을 수 있다. 20000틱에 한 번씩 착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게임 시간으로 대략 17일마다 한 번 얻을 수 있다. 젖은 요리 외에도 치즈 제작을 통해 가치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