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등에모기과}}}[br]Ceratopogonidae}}}''' || ||<-2>[[파일:Ceratopogonidae.jpg|width=100%]]|| || [[학명|{{{#000 '''학명'''}}}]] || ''' ''Ceratopogonidae'' '''[br] Newman 183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파리목(Diptera) || || [[생물 분류 단계#하목|{{{#000 '''하목'''}}}]] ||모기하목(Culicomorph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등에모기과'''(Ceratopogonidae)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리목]] 등에모기과의 곤충. 학명은 Ceratopogonidae이며 그 다양성에 비해 많이 연구되지 않은 날벌레. 깔따구과에서 분리된지 오래되지 않아 깔따구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적으로 4개 아과 111속 6000종 이상이 존재하며, 이 중 4개속의 일부 종이 포유동물을 흡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단 32개종만이 보고되어 있으며, 흡혈하는 속은 단 1개[* Culicoides] 존재한다. == 특징 == 암수 모두 깔따구와 유사하게 생겼으나, 소순판에 세로로 난 홈이 존재하지 않으면 등에모기이다. Culicoides속의 경우 날개 전체에 나있는 털과 흰 점들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1mm~1cm의 체장을 가지며, 식성은 흡혈성에서 기생성, 포식성까지 다양하다. 기생성의 경우 절지동물에 기생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주로 시맥에 구기를 박아넣고 혈림프를 흡혈한다.[* 물론 딱정벌레의 갑각을 뚫고 흡혈하는 경우도 많다. 가뢰에 기생하는 종에 관한 논문[[https://ri.conicet.gov.ar/handle/11336/149610]]][* 흡혈성 모기에 기생하여 모기가 흡혈한 혈액을 섭취하는 종도 존재한다.] 포식성의 경우 자신보다 작은 곤충들을 포식한다. 유충의 경우 대부분 정수지역에 존재하나 습기가 많은 땅이나 썩는 나무에서도 서식하며, 깔따구 유충과 형태가 비슷하지만 가슴에 헛발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구분된다. 흡혈종의 경우 그 고통이 모기보다 심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기와 유사하게 암컷만 산란을 위해 흡혈하고[* 다만, 숙주 특이성은 없어 조류, 포유류를 막론하고 흡혈한다.], 수컷의 경우 주로 수액이나 꿀을 섭취한다. 이들은 주로 논, 물웅덩이와 같은 얕고 고인 물 주변에서 출현하나, 일부 종의 경우 염수에 저항성을 가져 바닷가에서도 자주 나타나며, 독도에 출현하는 대표적인 흡혈성 곤충이기도 하다. 비 흡혈종은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나 쥐방울덩굴의 꽃에서 수분 작용을 하는 종도 있다. 흡혈종의 경우 몇가지 축산질병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검역원과 미군부대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도감 또한 출간되어있다.[* [[https://ebook.qia.go.kr/20190109_172028/]]] == 인체에 끼치는 영향 == 흡혈종 한정으로 축산 질병을 옮기나, 성충은 한국의 겨울을 견딜 수 없어 병원체의 순환이 일어나지 못하며, 국내의 경우 인수공통감염의 사례 또한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다만 미친듯이 가려울뿐...-- 다행히 축산농가, 논 인근, 바닷가가 아니면 볼 일도 없다. 비흡혈종은 깔따구 정도의 시각적 불쾌감만을 유발하지만 의외로 깊은 산이 아니면 대량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 채집법 == 비흡혈종의 경우 주로 말레이즈트랩에서 채집되나 라이트트랩에서도 출현한다. 흡혈종의 경우 습성상 상술한 트랩에서는 출현하지 않고 LPG를 이용한 CO2 트랩이나 자외선등을 이용한 블랙라이트 트랩[* 농촌에 가면 모기 방제용으로 논 주변에 종종 설치된 그것, 파리목은 비행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자외선으로 유인하고 fan으로 빨아들이는 구조로 되어있다.]을 이용해야 잡을 수 있다. == 기타 == 2023년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독도에 서식하는 등에모기인 [[독도점등에모기]]를 신종으로 보고하였다. 인간에게 있어선 명백한 해충이나, dokdo라는 이름을 학명으로써 남겼다는 점에서 독도의 생물상이 명백히 대한민국의 영역에 속해있음을 알리는 계기가 되는 생물이다. [[분류:파리목]][[분류: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