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디데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D-Day)] || [[파일:디데이 JTBC 로고.png|height=20]]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JTBC 금토 드라마(2014~2017))] }}} || [include(틀:디데이)] ||<-3>
[[JTBC|[[파일:JTBC 로고_White.svg|width=28]]]] [[JTBC 금토 드라마|'''{{{#fff 금토 드라마}}}''']][br] {{{+2 '''디데이'''}}} (2015)[br]D-Day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디데이 10인 공식 포스터.jpg|width=100%]]}}} || ||<-2> '''장르''' ||[[재난물|재난]], [[의학 드라마|의학]] || ||<-2>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토요일]] 밤 8시 30분 ~ || ||<-2> '''방송 기간''' ||[[2015년]] [[9월 18일]] ~ [[2015년]] [[11월 21일]] || ||<-2> '''방송 횟수''' ||20부작 || ||<-2> '''제작''' ||[[SM C&C|[[파일:SM C&C 로고 가로형.svg|height=20&bgcolor=#fff]]]] || ||<-2> '''채널'''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2> '''제작진''' || '''연출''' ||장용우 || || '''극본''' ||황은경 || ||<-2> '''출연''' ||[[김영광(배우)|김영광]], [[정소민]], [[하석진]], [[윤주희]], [[이경영(1960)|이경영]], [[차인표]] 外 || ||<-2>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JTBC_15세.pn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373a3c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 ||<-2> '''링크''' ||[[https://tv.jtbc.joins.com/dda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서울 전역에 천재지변이 발생해 도시가 마비되고 대재난 상황이 발생한다는 설정으로, 구조요원, 응급의학과 의사 등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2013년 방영된 [[세계의 끝]]에 이어 JTBC에서 방영되는 두 번째 재난물 드라마[* 세계의 끝은 전염병이 소재, [[조기종영]]이 되었다.]로 JTBC [[드라마]]의 [[흑역사]]가 시작된 드라마이다. == 기획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데이 기획의도.png|width=100%]]}}} || ||[br]{{{-1 수도 서울에 직격한 사상 초유의 대지진. 끔찍한 재난 속에서 신념과 생명을 위해 활약하는 DMAT와 구조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애와 생명의 소중함. 그래서 사람이 희망이다 예기치 못한 지진. 절망적인 폐허. 끝날 것 같지 않은 복구. 사랑하는 사람과 평생 일군 터전을 잃고 무기력하게 앉아서 누군가의 도움을 기다리는 이 상황에서 우리는 그저 좌절하고 삶을 포기하고만 싶을지도 모른다. 한 생명을 살리기 위해, 무너져 내리는 건물 속으로 스스로 들어가는 소방관. 한 생명을 살리지 못해, 두 주먹으로 무너져 내리는 가슴을 내려치고 이내 다시 아비규환의 환자들 속으로 뛰어드는 의사. 그들이 구해낸 생명들은 살아서 또 다른 내일을, 또 다른 미래를 열 것이다. 절망에서 사람을 살리고 새로운 희망을 만드는 것은 금은보화도 진수성찬도 아니다. 살려주고, 살리고 싶어 하고, 두 손을 잡아주는, 사람. 바로 사람이다. 사람 자체가 희망임을 말하고 싶다. 우리가 찬란한 내일을 만들, 주인공들이기에.}}} '''재난의 날 (Disaster-day)''' {{{-1 '''만약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 진도 6.5의 지진이 터진다면?''' 이 땅에 사는 많은 이들은‘대한민국에 지진이 어디 있어?’하며 이 무서운 현실에 대해 상상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작은 지진들이 잦아져도, 중국과 일본에서 대지진이 발생해도, 살아생전 한 번도 보지 못한 일에 대해서 감히 말하지 않는다. 서기 2년부터 1900년 동안 삼국사기와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문헌에 기록된 지진만 2161건, 진도 5 이상은 440회. 정부는 이런 기록으로 유추할 때 지진 활성기는 130년 주기로 반복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2012년 정책 브리핑에서 밝힌 바 있다. 어쩌면 오늘로, 우리는 그 130년째를 맞이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절망의 날 (Despair-day)''' {{{-1 '''서울에 진도6.5! 사상 11만 5천명, 91% 건물 붕괴. 복구비용 추산불가.''' 지금부터 우리가 한 번도 해보지 않았던 상상을 해보자. 서울 중구, 진도 6.5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사상자만 약 11만 5천여 명, 초고층 건물을 제외하고 전체 건물의 91%가 무너져 내릴 것이라고 서울시가 밝힌바 있다. 악몽이다. 이 악몽이 정말 무서운 것은, 결코 꿈처럼 깨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내일이라곤 없을 것 같은 절망의 폐허 속에서도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투지의 날 (Determination-day)''' {{{-1 '''상상하기도 싫은 드라마를 왜 하려고 하는가?''' 드라마를 통해, 한번쯤 재난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된다면 우리에게 끈끈이처럼 번져있는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 블랙아웃의 공포가 현실이 돼, 전기가 끊기고 수도, 가스가 끊긴다면 과연 우린 어떻게 살아야 할지 생각해 보고, 대처할 방법을 찾아보자는 것이다. ‘만약에’로 시작하는 하나의 질문을 던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각자의 위치에서 한번쯤 생각해보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재난대비의 첫걸음이라고, 비극을 막아내는 것은 바로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br][br] || || [[https://tv.jtbc.joins.com/plan/pr10010374| {{{#fff {{{-2 공식 홈페이지}}}}}}]] || == 마케팅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데이 이해성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데이 2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데이 10인 공식 포스터.jpg|width=100%]]}}} || || '''▲ 이해성 포스터''' || '''▲ 2인 포스터''' || '''▲ 10인 포스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데이 4인 포스터.jpg|width=100%]]}}} || ||<-3> '''▲ 4인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m9y201cHz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auYBPyaGXU)]}}}|| || '''1차 티저''' || '''2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wH2Qer59n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7Ii9zDRGqk)]}}}|| || '''3차 티저''' || '''4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1B6n-vU-A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Oem3m7Dv7s)]}}}|| || '''5차 티저''' || '''6차 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VAbQGN9s6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k8epwDeTWo)]}}}|| || '''7차 티저''' || '''8차 티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mxaMjXuYW0, width=100%)]}}}|| ||<-2> '''9차 티저''' || == [[/사건일지|사건일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데이/사건일지)]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데이/등장인물)] == [[/비판|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데이/비판)] == 시청률 추이 == * '''굵은 글씨'''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한다. * 변동에서 {{{#red 빨간글씨}}}는 상승, {{{#blue 파란글씨}}}는 하락을 의미한다. ||<#DCDCDC><:>'''회차(방영일)''' ||<#DCDCDC><:> '''닐슨코리아''' ||<#DCDCDC><:> '''변동''' ||<#DCDCDC><:> '''TNMS''' ||<#DCDCDC><:> '''변동''' || || 1회([[2015년]] [[9월 18일]]) ||<:> 1.741% ||<:> - ||<:> '''1.9%''' ||<:> - || || 2회([[2015년]] [[9월 19일]]) ||<:> 1.272% ||<:>{{{#blue 0.469% }}} ||<:> 1.8% ||<:>{{{#blue 0.1% }}} || || 3회([[2015년]] [[9월 25일]]) ||<:> '''1.909%''' ||<:>{{{#red 0.637% }}} ||<:>1.8% ||<:> - || || 4회([[2015년]] [[9월 26일]]) ||<:> 1.563% ||<:>{{{#blue 0.346% }}} ||<:> 1.8% ||<:> - || || 5회([[2015년]] [[10월 2일]]) ||<:>1.283% ||<:>{{{#blue 0.280% }}} ||<:>1.3% ||<:>{{{#blue 0.5% }}} || || 6회([[2015년]] [[10월 3일]]) ||<:>1.473% ||<:>{{{#red 0.190% }}} ||<:>1.0% ||<:>{{{#blue 0.3% }}} || || 7회([[2015년]] [[10월 9일]]) ||<:>1.106% ||<:>{{{#blue 0.367% }}} ||<:>1.6% ||<:>{{{#red 0.6% }}} || || 8회([[2015년]] [[10월 10일]]) ||<:>0.993% ||<:>{{{#blue 0.113% }}} ||<:>1.2% ||<:>{{{#blue 0.4% }}} || || 9회([[2015년]] [[10월 16일]]) ||<:>1.155% ||<:>{{{#red 0.162% }}} ||<:>1.4% ||<:>{{{#red 0.2% }}} || || 10회([[2015년]] [[10월 17일]]) ||<:>0.895% ||<:>{{{#blue 0.162% }}} ||<:>1.0% ||<:>{{{#blue 0.4% }}} || || 11회([[2015년]] [[10월 23일]]) ||<:>1.267% ||<:>{{{#red 0.372% }}} ||<:>1.4% ||<:>{{{#red 0.2% }}} || || 12회([[2015년]] [[10월 24일]]) ||<:>1.092% ||<:>{{{#blue 0.175% }}} ||<:>1.3% ||<:>{{{#blue 0.1% }}} || || 13회([[2015년]] [[10월 30일]]) ||<:>0.961% ||<:>{{{#blue 0.131% }}} ||<:>1.2% ||<:>{{{#blue 0.1% }}} || || 14회([[2015년]] [[10월 31일]]) ||<:>1.347% ||<:>{{{#red 0.737% }}} ||<:>1.6% ||<:>{{{#red 0.4% }}} || || 15회([[2015년]] [[11월 6일]]) ||<:>0.943% ||<:>{{{#blue 0.404% }}} ||<:>1.2% ||<:>{{{#blue 0.4% }}} || || 16회([[2015년]] [[11월 7일]]) ||<:>1.066% ||<:>{{{#red 0.123% }}} ||<:>1.0% ||<:>{{{#blue 0.2% }}} || || 17회([[2015년]] [[11월 13일]]) ||<:>0.928% ||<:>{{{#blue 0.138% }}} ||<:>1.3% ||<:>{{{#red 0.3% }}} || || 18회([[2015년]] [[11월 14일]]) ||<:>0.718%[* 하석진의 출연분량이 없었던 18회에서 최저시청률을 기록하였다] ||<:>{{{#blue 0.210% }}} ||<:>0.8% ||<:>{{{#blue 0.4% }}} || || 19회([[2015년]] [[11월 20일]]) ||<:>0.879% ||<:>{{{#red 0.737% }}} ||<:>0.9% ||<:>{{{#red 0.5% }}} || || 20회([[2015년]] [[11월 21일]]) ||<:>0.817% ||<:>{{{#blue 0.062% }}} ||<:>0.8% ||<:>{{{#blue 0.1% }}} || == 촬영지 == * 양산병원: 작중 한강미래병원[* 여담이지만,이 병원은 작중에 언급된거처럼 건강검진전문병원이 아닌 정신과전문 병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