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리오사우루스과]] ||<-2><#F60> '''{{{#FFF {{{+1 디살로토사우루스}}}[br]Dysalotosaurus}}}''' || ||<#F93> '''학명''' || ''' ''Dysalotosaurus lettowvorbecki'' '''[br]Virchow, 1919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조각하목^^Ornithopod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드리오사우루스과^^Dry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디살로토사우루스속^^''Dysalot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디살로토사우루스 레토우보르베키(D. lettowvorbecki)^^{{{-1 [[모식종]]}}}^^||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후기 [[동아프리카]] 일대에 살았던 조각류의 일종. 속명의 뜻은 '잡을 수 없는 도마뱀'. == 상세 == 디살로토사우루스의 표본은 여러 개 있지만, 모두 성체가 아니며 준성체 개체를 토대로 크기 측정 결과, 2016년 기준으로 몸길이 2.5m에 80kg 정도의 추정치가 나왔다.[* Paul, G.S. (201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Second Edition.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13. ISBN 978-0-691-16766-4.] 20세기 때는 [[드리오사우루스]]로 분류되었지만, 21세기 초반부부터는 별개의 속으로 인정한다.[* Hübner, T.R.; Rauhut, O.W.M. (2010). "A juvenile skull of Dysalotosaurus lettowvorbecki (Ornithischia: Iguanodontia), and implications for cranial ontogeny, phylogeny, and taxonomy in ornithopod dinosaurs"][* McDonald, A.T.; Kirkland, J.I.; DeBlieux, D.D.; Madsen, S.K.; Cavin, J.; Milner, A.R.; Panzarin, L. (2010).] 디살로토사우루스의 치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이 공룡이 성장기 동안 잡식에서 초식으로 식성이 변화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러한 변화는 완전한 초식을 향한 조각류 공룡들의 진화 과정을 어느 정도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Hübner TR, Foth C, Heinrich WD, Schwarz D, Bussert R (2021). "Research history, taphonomy, and age structure of a mass accumulation of the ornithopod dinosaur Dysalotosaurus lettowvorbecki from the Upper Jurassic of Tanzania"] 여담으로 척추 기형으로 인한 [[척추측만증]]의 흔적이 화석에 남은 최초의 공룡이기도 하다. 텐다구루층(Tendaguru Formation)에서 발견되었으며 익룡 [[텐다구립테루스]], 검룡류 [[켄트로사우루스(검룡)|켄트로사우루스]], 용각류 [[디크라이오사우루스]], [[기라파티탄]], 수각류 [[엘라프로사우루스]], [[오스타프리카사우루스]], [[베테루프리스티사우루스]] 등과 공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