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항공우주 프로젝트)] [include(틀:우주왕복선)] * 상위 문서: [[우주왕복선]] ||||<#000000><:>'''{{{#FFD700 Space Shuttle Discovery}}}'''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Space_Shuttle_Discovery_under_a_full_moon%2C_03-11-09.jpg]]|| |||| '''2009년 3월 11일 사진''' || || 궤도선 제식번호 || OV-103 || || 사용국 || [[미국]] || || 계약일 || 1979년 1월 29일 || || 이름을 따온 곳 || [[RRS]] 디스커버리 호 || || 최초 비행 임무 || STS-41-D || || 최초비행일 || 1984년 8월 30일 ~ 1984년 9월 5일 || || 최후 비행 임무 || STS-133 || || 최후비행일 || 2011년 2월 24일 ~ 2011년 3월 9일 || || 수행 임무 수 || 39회 || || 총탑승 인원 수 || 252명 || || 우주 체류 일수 || 1년 12시간 53분 34초 || || 지구 주회 횟수 || 5,830회 || || 총 비행 거리 || 238,539,063km || || 발사 위성 수 || 31기 || || [[미르]] 도킹 횟수 || 1 || || [[ISS]] 도킹 횟수 || 13 || || 상태 || 퇴역 || [목차] == 개요 == 디스커버리호는 [[NASA]]의 우주왕복선 중에서 현재 퇴역한 3대 가운데 하나이다. 1984년에 초도비행을 했다. 실제 임무를 수행한 3번째 궤도선이며, 현재 남은 3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되었다. 디스커버리호는 연구와 [[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 임무와 [[허블우주망원경]]임무에 사용되었다. == 임무 == 첫 미션 STS-41-D 사령관은 MOL 출신으로 STS-4 파일럿을 역임한 행크 하츠필드. 마지막 STS-133 미션 사령관은 스티븐 린지. 2011년 3월 9일 퇴역.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우드바-하지 센터 전시중. 최초의 국방부 기밀 미션 STS-51-C에 투입된 이래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1986년 7월 15일 발사하기로 했던 STS-62-A 미션을 시작으로 SDI와 미국공군우주사령부를 위한 군사용 셔틀로 쓰일 예정이었으나 STS-51-L 챌린저 사고 이후 취소. STS-31 미션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전개하고 이후에도 허블 서비스 미션을 2번 수행. NASA의 양대 참사에 이은 두 번의 비행 재개 미션에 투입된 궤도선. 허블 우주 망원경을 궤도에 전개하고, 우주에 갔다온 가장 오래된 궤도선. == 갤러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4px-STS-41-D_launch_August_30%2C_1984.jpg]] || || STS-41-D 발사 장면. 디스커버리의 최초 임무였다.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STS-31_Launch_-_GPN-2000-000684.jpg]] || || STS-31의 발사 장면. 이 임무는 [[허블우주망원경]]을 궤도상에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38px-STS-121_Launch2.jpg]] || || STS-121 발사. 디스커버리호는 미국 독립기념일에 발사한 유일한 우주왕복선이다. || == 기타 == 최초의 러시아인 우주인이 탑승했고 최초의 여성 조종사 아일린 콜린스가 탑승[* STS-107 이후의 STS-114 미션에서 사령관을 맡기도 했다.]했다. [[분류:우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