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캐나다선수권 페어 챔피언'''}}} || ||<-5> [[파일:캐나다 피겨 선수권.png|width=200]] || ||<-5> || || [[커스틴 무어-타워즈 / 마이클 마리나로]][br](2022) || {{{+1 → }}} || '''디아나 스텔라토 / 막심 데샹[br](2023)''' || {{{+1 → }}} || || ||<-5>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데네2.jpg|width=100%]]}}} || || '''이름''' ||디아나 스텔라토-두덱[br]Deanna Stellato-Dudek||막심 데샹[br]Maxime Deschamps|| ||<|2> '''출생''' ||[[1983년]] [[6월 22일]] ([age(1983-06-22)]세)||[[1991년]] [[12월 20일]] ([age(1991-12-20)]세)||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시카고]]||[[퀘벡주|퀘벡 주]] 보드훼이 도히옹||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신체''' ||155cm||172cm|| || '''이전 파트너''' ||네이선 바톨로메이||앨리슨 더가스[br]캐서린 발데[br]나오미 보드로[br]바네사 그르니에[br]시드니 콜로지에이|| || '''링크''' ||[[https://instagram.com/deannamsd622|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https://instagram.com/maximedeschamp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종목''' ||<-2>[[피겨 스케이팅]]|| || '''코치''' ||<-2>이안 코놀리||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페어 선수이다. === 디아나 스텔라토 === ==== 싱글선수 시절 ==== 5살 때 부모님의 권유로 6살 연상의 아이스하키 선수였던 오빠를 따라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2000 스케이트 캐나다]] 5위, [[1999-00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1999-00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00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0 주니어 세계선수권]] 은메달, 1999 전미 노비스선수권 우승이 있다. 2000-01 시즌, 스케이트 캐나다 이후 훈련을 하던 도중 엉덩이 부상을 입어 2001 전미선수권을 기권했다. 이후로도 부상은 지속되었고 추가로 오른쪽 발목의 인대 파열과 왼쪽 발목 골절 부상을 당해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은퇴했다. ==== 네이선 바톨로메이와의 파트너십 ==== 2016년 3월에 훈련을 재개했으며, 옛 코치인 신디 왓슨-카프렐이 근무하던 플로리다 주 엘렌턴의 빙상장으로 갔다. 그곳에서 링크장의 감독이였던 미치 모이어가 네이선 바톨로메이와의 페어를 권유하여 선수 생활을 하게 되었다. 주요 경력으로는 [[201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세계선수권]] 17위, [[2018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8 사대륙선수권]] 5위, 그랑프리 시리즈 2회 출전, 챌린저 시리즈 5회 출전, 전미선수권 2회 동메달이 있다. === 막심 데샹 === 6살 때 스케이팅을 시작해 5명의 파트너와 활동했다. 파트너들과의 경력으로는 아래와 같다. * 앨리슨 더가스(2009-10 시즌 활동): 2010 캐나다 노비스선수권 6위 * 캐서린 발데(2010-11 시즌 활동): [[2011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11 캐나다 주니어선수권]] 10위 * 나오미 보드로(2011~13 시즌 활동): [[2013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13 캐나다 주니어선수권]] 7위 * 바네사 그르니에(2013~16 시즌 활동): [[2016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6 사대륙선수권]] 8위, 그랑프리 시리즈 3회 출전, 챌린저 시리즈 3회 출전, [[2014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14 캐나다 주니어선수권]] 우승 * 시드니 콜로지에이(2016~18 시즌 활동): [[2018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8 사대륙선수권]] 9위, [[2017 스케이트 캐나다]] 8위, [[2017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17 캐나다선수권]] 6위 == 선수 경력 == 두 선수는 2019년 8월에 팀을 결성했으며 미국 피겨 스케이팅 연맹은 스텔라토가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연맹으로 이적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 2019-20 시즌 === 스텔라토가 국적을 옮겼기 때문에 이 시즌에는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없어서 국제대회에만 출전했다. 캐나다선수권 1차 지역예선(퀘벡주 지역예선) 3위, 2차 지역예선(스케이트 캐나다 챌린지) 1위를 기록했으며 [[2020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20 캐나다선수권]]에서는 6위에 올랐다. === 2020-21 시즌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로 인해 [[2021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21 캐나다선수권]]이 취소되어 지역예선에만 참가했다. 캐나다선수권 1차 지역예선(퀘벡주 지역예선) 3위, 2차 지역예선(스케이트 캐나다 챌린지) 1위를 차지했다. === 2021-22 시즌 === [[2021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4위를 하며 국제대회 데뷔를 했다. 또 다른 챌린저 시리즈인 [[2021 CS 바르샤바 컵]]에서 6위를 차지했다. [[2022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22 캐나다선수권]]에서는 3위를 하고, [[202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2 사대륙선수권]]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 2022-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페어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그랑프리 드 프랑스 페어 포디움.jpg|width=100%]]}}} || ||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 [[2022 그랑프리 드 프랑스]] ||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쇼트와 프리, 총점에서 모두 팀 최고점을 세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2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선 우승을 차지했고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22-23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2-23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클린을 하며 69.34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위스트 리프트의 랜딩에서 스텝아웃이 나왔고 3T+2T 컴비네이션에서 스텝 아웃을 하며 2T을 연결하지 못했다. 스로우 트리플 러츠에서 손을 짚었고 3S를 더블링, 스로우 트리플 룹에서 넘어지며 114.94점을 받았다. 총점 184.28점으로 4위를 기록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사대륙선수권 페어 포디움.jpg|width=100%]]}}} || || [[2023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23 캐나다선수권]] || [[202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3 사대륙선수권]] || [[2023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23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3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스로우 3Lo에서 스텝 아웃을 하며 68.39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스로우 3F에서 손을 짚었고 3S에선 디아나는 스텝 아웃, 막심은 넘어지며[* 이러한 경우 더 안 좋은 수행을 한 선수의 수행으로 점수가 계산된다] 감점을 받아 125.45점을 받았다. 총점 193.84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 ISU 공인 최고 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73.05([[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 '''프리''' ||142.39([[2023 스케이트 캐나다]])|| || '''총점''' ||214.64([[2023 스케이트 캐나다]])|| == 커리어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사대륙선수권}}} || || 동메달 ||[[202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페어|| ---- ||<-6>
'''{{{#white 국제대회}}}''' || || '''대회''' || '''19–20''' || '''20–21''' || '''21–22''' || '''22–23''' || '''23–24''' || ||세계선수권|| || || || 4th || || ||사대륙선수권|| || || 4th || 3rd || || ||GP 파이널|| || || || 4th || || ||GP 컵 오브 차이나|| || || || || 1st || ||GP 스케이트 캐나다|| || || || || 1st ||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 || || || 1st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2nd || || ||CS 네벨혼 트로피|| || || || 1st || || ||CS 어텀 클래식|| || || 4th || || 1st || ||CS 바르샤바 컵|| || || 6th || || || ||<-6> '''{{{#white 국내대회}}}''' || ||캐나다선수권|| 6th || C || 3rd || 1st || || ||SC 챌린지|| 3rd || 3rd || 1st || || || ||퀘벡 지역선수권|| 1st || 1st || || || || ||<-6> '''{{{#white 단체전}}}''' || ||월드 팀 트로피|| || || || 6th T[br]4th P || || ||<-6> GP=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C=취소,[br]T=팀 결과, P=개인 결과 || [각주] [[분류: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퀘벡주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1991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