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문서가 있는 2021년 북미 서부 화재 속 화재)] ||<-4> {{{#fff '''{{{+2 딕시 산불}}}[br]Dixie Fire'''}}}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딕시산불 지도.jpg|width=100%]]}}} || ||<-2> {{{#ffffff '''날짜'''}}} ||<-2>[[2021년]] [[7월 14일]]~[[2021년]] [[10월 25일]] || ||<-2> {{{#ffffff '''원인'''}}} ||<-2>[[2021년 북미 서부 폭염 사태|2021년 폭염]] 및 [[2021년 북미 서부 화재|화재]] || ||<-2> {{{#ffffff '''위치'''}}} ||<-2>[[미국]] [[캘리포니아 주]] 북부 || ||<-2> {{{#ffffff '''면적'''}}} ||<-2>3,900㎢ || ||<-2> {{{#ffffff '''피해'''}}} ||<-2>'''사망:1명[br]부상:95명[br]파괴된 건물:약 1350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글딕시산불.png|width=100%]]}}} || || [[구글 지도]]에 표시된 딕시 산불 ([[https://www.google.com/maps/@40.2240744,-121.0560091,10z/data=!4m3!15m2!1m1!1s%2Fg%2F11nxq2b_0c|#]])[* 딕시 산불 또는 [[영어]]로 Dixie Fire로 표기되어야 하지만 [[오로빌]] [[산불]]으로 표기되어 있다.] || [[2021년 북미 서부 화재]]에 포함되는 산불 중 하나. 이 사태와 역대 일어난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불]] 중 가장 큰 규모의 화재이다. [[7월 14일]]부터 [[10월 25일]]까지 불이 활활 타올랐으며 피해 역시 상당하다. [[미국]]에서는 이 산불이 8번째로 가장 위험한 미국 역사상의 산불로 알려졌다. 이름의 유래는 처음 화재가 발생한 딕시 길이다. == 원인 == === 일어난 원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북미 서부 화재, 문단=2)] === 커진 원인 === [[7월 14일]] [[캘리포니아]] 크레스타 지역에서 일어난 딕시 산불은 캘리포니아의 습한 기후와 뜨거운 기온으로 인해 북동쪽으로 이동하였다. 북동쪽은 국공림과 산유림이 많다. 즉 산이 많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근처 라센 국유림과 플루마스 국유림 사이에 산과 그린빌 같은 도시에 불길이 치솟았고 피해가 막대했다. 덤으로 9월 4일에는 동쪽의 슈가산불(Sugar Fire)이라 불리는 산불과 합쳐져 규모가 더욱 커졌다. == 피해 == === [[캘리포니아]] === [[7월 14일]] 시작되었고 그 날만 9㎢(2,200 에이커 정도) 정도가 탔다. [[진화#s-1.2|진화]]는 되지 않았다. [[내일|다음 날]]인 [[7월 15일]]에 약 4배 정도인 총합 36㎢ 정도로 번지고 [[7월 19일]] 122㎢ 정도까지 타더니 [[8월 1일]] [[바람]]을 타서 1,006㎢가 타면서 불탄 피해 면적이 [[1000]]㎢를 넘어섰다. [[9월 3일]] 3500㎢를 넘어섰다. 다른 산불들은 [[2021년 북미 서부 산불|전체로 묶어서]] 기사에 내보냈으나 단독적인 산불 피해는 딕시 산불이 거의 유일하다. [[8월 5일]]부터 다양한 [[언론사]]에서 기사를 내기 시작했다. 대략 주민 3만명정도의 사람들이 한 번에 [[피난민|대피]]해야 했다. 이로 인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감염 사례 및 지나친 [[교통체증]]이 일어났다. [[8월 26일]]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비상사태를 알렸다. 정부에서는 5억 4천만달러를 썼으나 진화에 실패할 정도였다. 불길이 더욱 커지자 근처 모든 국유림을 폐쇄시키고 [[관광객]] 출입을 막았다. 여러 가구에서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차단되었고 150년의 역사가 있는 골드러시 마을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인명 피해로 [[소방관]] 1명이 사망했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 건물 붕괴는 1300채 정도고 예상 건물 붕괴는 1만 여개를 넘었다. 스톡턴에서는 [[BNSF]] 다리가 손상되어 복구에 들어갔다. === [[캘리포니아]]외 다른 주 === * [[네바다]] * [[오리건]] * [[유타주]]: 미세먼지가 보통보다 3배는 더 가까이 뛰었고 공기가 오염되었다. * [[뉴욕주]]: 딕시 산불로 인한 연무가 뉴욕에 이상한 기후 현상을 일으켰다. * [[바하 칼리포르니아]]: 뉴욕주와 마찬가지로 연무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 * [[워싱턴주]]: 연무로 인한 피해 == 외부 링크 ==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72390|캘리포니아 산불 계속 확산…서울시 11배 규모 피해]] *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0818/108602875/1|美 캘리포니아 딕시 산불, 강풍 타고 서울 면적 4배 태웠다]] * [[https://radiokorea.ce.php/?uid=370017om/news/articl|딕시 산불, 도심 위협..5만 가구 이상 정전]]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5D7L688|[사진]4주째 계속되는 산불 '딕시'와 사투 벌이는 美 소방관]] * [[https://newsis.com/view/?id=NISI20210813_0000808069|'딕시 산불'로 안내 표지석만 남은 교회]] == 관련 문서 == * [[2021년 북미 서부 폭염 사태]] * [[2021년 북미 서부 화재]] *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불]] [[분류:2021년 화재]][[분류:트럼프 행정부/사건사고]][[분류:캘리포니아 주의 사건사고]][[분류:미국의 산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