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뚝섬유원지역'''}}}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건대입구역|건대입구]][br]← 1.0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28)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청담역|청 담]][[청담대교|{{{#!html
청담대교 통과 → }}}]] 2.0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뚝섬유원지역, 너비=100%, 높이=105%)]||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Ttukseom Park || || [[한자]] ||<-2> 뚝섬遊園地 || || [[간체자]] ||<-2> 纛岛游园地 || || [[가나(문자)|가나]] ||<-2> トゥッソム·[ruby(遊園地, ruby=ユウォンジ)]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서울)|능동로]] 10 ([[자양동(광진구)|자양동]] 73-2)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00년 8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28번,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서울)|능동로]] 10 ([[자양동(광진구)|자양동]] 73-2) [[뚝섬한강공원]] 내 소재이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 뚝섬유원지.pn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뚝섬유원지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뚝섬유원지역 승강장(공사).jpg|width=100%]]}}} || || {{{#fff '''7호선 역사'''}}} || {{{#fff '''공사 당시 승강장 모습'''}}} || 1992년에 결정된 정식 역명은 '''자양역'''이었지만[*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11070023912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11-07&officeId=00023&pageNo=21&printNo=22162&publishType=00010|지하철(6-7호선)驛名 확정(조선일보)]]] 광진구 측에서 뚝섬한강공원을 홍보하기 위해 뚝섬유원지역으로 개명을 요청하여 개통 이전인 1997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1500329120002&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0-15&officeId=00032&pageNo=20&printNo=16245&publishType=00010|도로·지하철역등 39곳이름 개·작명(중앙일보)]]] [[뚝섬역]]과는 아무 관련이 없으며, 뚝섬역에 아주 크게 뚝섬유원지가 아니라고 적혀있다. 아직도 이 두 역을 헷갈리는 사람들이 꽤 있다. 결국 광진구가 뚝섬유원지역명을 공모하고 있다. 영어 역명은 본래 '''Ttukseom Resort'''였는데, 2019년 1월 31일에 '''Ttukseom Park'''로 변경되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서울숲역]]이 개통된 지금은 혼동이 적겠지만, 예전에는 서울숲에 가려는 사람들이 이 역에서 내렸다. 이 역에서 서울숲까지는 도보로 1시간 가까이 걸리지만 [[서울 버스 2014|2014번 버스]]를 타면 갈 수는 있다. 뚝섬역도 직접적으로는 가지 않지만, 2014번을 타고 성동교나 성동구민체육센터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뚝섬역과 연계된다. 실질적으로 2014번을 타고 두 역 사이를 오가면 약 20분 이상이 소요된다. 7호선의 [[도봉산역]], [[장암역]]과 함께 얼마 되지 않는 지상역 중 하나이며, 한강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다. 7호선뿐만 아니라 5~8호선 노선 중에서 [[도봉산역]], [[장암역]], [[신내역]], [[남위례역]]과 함께 단 5개만 있는 지상역 중 하나이자 유일한 고가역으로, CF나 영화촬영 등이 이루어지는 역이다. 역의 구조가 특이한데, [[청담대교]]의 복층을 그대로 이어받아 지상역임에도 불구하고 도로가 역 위에 놓여있다. 대한민국의 지하철역 중 유일한 구조이다. 이 역이 지상역이 된 이유는 지하로 뚫을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뚝섬유원지역을 지을 때에는 5호선 건설 때처럼 한강 하저터널을 건설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역을 지하에 지었다면 한강변의 환풍구(배기구)가 뚝섬유원지 쪽으로 솟아서 뚝섬유원지 인근에 심각한 대기오염이 발생되기 때문에 뚝섬유원지가 폐지될 것으로 예상한 서울특별시 측의 반대로 백지화가 되었으며, 대신 [[동부간선도로]] 강남 구간 및 [[강변북로]]와의 연계를 위한 한강 교량계획과 합쳐져 1층에는 7호선 철교, 2층에는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는 현재의 [[청담대교]]가 계획되었고 이에 따라 뚝섬유원지역은 지상역이 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13000209216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1-30&officeId=00020&pageNo=16&printNo=21373&publishType=00020|한강에 청담대교 놓는다(동아일보)]]] 지하에서 지상으로 변경되면서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맞닥뜨리기도 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110600289113006&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11-06&officeId=00028&pageNo=13&printNo=2059&publishType=00010|지하철7호선 공사 난항(한겨레)]]] 여름 장마철 홍수 때는 한강으로 가는 길을 차단하기 위해 유원지 쪽으로 나와 있는 2, 3번 출구를 막고 아파트 쪽인 1, 4번 출구만 개방하는 편이다. 또한 이 역의 출구에는 어린이용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을 기준으로 온수/석남행은 한강을 건너자마자 다시 지하로 들어가는데, 보통 지하로 들어갈 땐 경사진 내리막길로 들어가는데 이 구간은 경사가 거의 없이 일반철도처럼 터널로 들어가듯이 바로 들어간다. 도봉산/장암행은 방음벽이 계속 이어지다가 건대입구역 직전에 지하로 들어간다. [[광진구]] 측에서 뚝섬유원지역의 역명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역명을 공모한다. [[https://youtu.be/FRG17iBJrSU|#]] == 역 주변 정보 == 외관은 화려하지만 역이 한강변에 위치해 있는지라 사람이 많이 없는 역이다. 자양동 주민들 외에는 이용을 안 하는지 승하차량이 2만 명도 채 안 된다. 그래도 몇몇 코레일 역들보다는 많지만, 7호선은 대부분 승하량이 3만~5만인 것을 생각하면 평균 이하이다. 그래도 여름철이 되면 뚝섬한강공원으로 놀러오는 시민들 덕에 그나마 이용객들이 많아지는 편인데, 이 역에서 내리자마자 휴식을 취할 곳이 있을 정도로 접근성은 좋다. 참고로 [[한강 수상택시]] 승강장 또한 뚝섬한강공원에 있다. 공원으로 놀러갈 목적이라면 무조건 2번 출구로 내려야한다. 3번 출구도 도찐개찐이긴 한데 어차피 이용객이 많은 역이 아니므로 2번 출구를 못 탈 정도로 밀리는 일이 없으니 구태여 3번까지 갈 필요는 없다. 공원의 즐길거리는 죄다 2번 출구 쪽에 집중되어 있다. 우선 2번 출구 바로 옆에 자벌레 전시관이 존재하며, 반대편엔 편의점이 자리잡고 있고 그 편의점 바로 옆이 풀장(여름) 겸 썰매장(겨울)이다. 또한 2번 출구 바로 밑에는 자전거 대여소가 있으며 [[따릉이]]는 1번 출구에 있다. 그리고 2번 출구 바로 앞부분엔 많은 수의 벤치와 널찍한 공터가 있어서 그냥저냥 쉬기도 좋다. 특히 이 공터에서 주말에 벼룩시장을 개장하는데, 비 오는 날과 겨울에는 휴장한다. 사람이 많이 몰린 곳답게 [[닭둘기]]가 많다. 뚝섬한강공원의 존재 때문에 차로 이동하기 제법 곤란한 곳 중 하나인데, 도로는 차 한 대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좁은데 사람들이 그 위로 자주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특히 제일 곤란한 건 자전거 이용객들인데 갑자기 튀어나오기 때문에 특히 더 주의해야 한다. 점멸 신호등 밖에 없어서 주말이 되면 교통정리를 하는 경찰관을 볼 수 있다. 1번 출구의 경우 여러 식당가가 모여 있다. 코앞이 공원이다 보니 여기서 배달도 많이 가고, 아니면 그냥 공원 쪽을 오고 가며 이용하기 좋다. [[한국산업인력공단]] 동부상설시험장(옛 서울동부지사)이 이 역 근처에 있어서 [[자격증]] 때문에 이 역을 이용하는 사람도 있다. 걸음걸이가 제법 빠른 사람이라면 역에서 나와 5분이면 도착한다. 2번 출구로 나와서 구의동 방향으로 걸어가다 보면 출구가 나오는데, 이 출구로 나오자마자 [[신흥운수(서울)|신흥운수]]의 자양3동 영업소가 나온다. 여기서 [[서울 버스 2221|2221번 버스]], [[서울 버스 2222|2222번 버스]], [[서울 버스 2415|2415번 버스]], [[서울 버스 광진05|광진05번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보로는 6~8분이 걸린다. 또 다른 방법은 721번, 3500번, 2224번, 240번 버스 이용 후 뚝도변전소에서 내리는 것도 해당된다. 이 역은 1, 4번 출구와 2, 3번 출구가 운임구역을 중심으로 완전히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강 쪽에 있는 출구에서 아파트가 있는 1, 4번 출구로 운임구역 없이 곧바로 횡단할 수 없다. 4번 출구 바로 앞에 [[태진운수]] 자양4동 영업소가 있었지만 현재는 성수영업소로 통폐합되었다. 그래서 예전에는 4번 출구 바로 앞에서 [[서울 버스 2014|2014번]]을 탈 수 있었으나, 노선 변경으로 '성수동 - 신양초등학교' 구간을 양방향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이제 버스를 타려면 200m 미터를 걸어가서 신양초등학교 앞 정류장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과 [[청계산입구역]] 사이의 구간처럼 이 역에서도 [[청담역]] 방면으로 LCD 광고가 설치되어 있으니 실제로는 운영되고 있진 않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뚝섬유원지역 출구 정보}}} || ||<-2> {{{#000,#fff 1,4번 출구}}} || ||{{{#ffffff 1}}}||자양3동[br]신양초등학교[br]자양3동주민센터[br]자양종합사회복지관[br]동자초등학교[br]자양중·고등학교|| ||{{{#ffffff 4}}}||자양4동[br]신양중학교[br]자양4동주민센터[br]자양지구대[br]영동교골목시장[br]한국산업인력공단|| ||<-2> {{{#000,#fff 2,3번 출구}}} || ||{{{#ffffff 2}}}||뚝섬한강공원·수영장[br]수변무대·음악분수|| ||{{{#ffffff 3}}}||뚝섬한강공원[br]뚝섬한강공원주차장[br]뚝섬전망문화콤플렉스(자벌레)·서울생각마루|| 1, 4번 출구와 2, 3번 출구가 운임구역을 중심으로 완전히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강 쪽에 있는 출구에서 아파트가 있는 1, 4번 출구로 운임구역 없이 곧바로 횡단할 수 없다. == 연계 버스 == === 1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자양4동주민센터앞(05223)→신양초등학교앞(05222)'''}}}}}}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4|{{{#ffffff 2014(동대문역사문화공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4|{{{#ffffff 2014(성수동)}}}]]}}} ||}}} === 2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뚝섬유원지(05900)'''}}}}}} || || [[서울시티투어버스|{{{#ffffff 투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서울 버스 TOUR12|{{{#ffffff TOUR12}}}]]}}}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0,914명 || [*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14,138명 || || || 2002년 || 16,333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17,427명 || || || 2004년 || 17,313명 || || || 2005년 || 17,339명 || || || 2006년 || 16,874명 || || || 2007년 || 17,089명 || || || 2008년 || 17,650명 || || || 2009년 || 16,970명 || ||}}}}}}}}} || || 2010년 || 18,102명 || || || 2011년 || 18,252명 || || || 2012년 || 18,383명 || || || 2013년 || 18,718명 || || || 2014년 || {{{#747f00 19,391명}}} || || || 2015년 || 19,310명 || || || 2016년 || 19,141명 || || || 2017년 || 18,553명 || || || 2018년 || 18,339명 || || || 2019년 || 18,826명 || || || 2020년 || 14,160명 || || || 2021년 || 14,957명 || || || 2022년 || 17,358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강변북로]] 위에 자리잡고 있어 북부 역세권은 주거지, 남부 역세권은 [[한강공원]]으로 정확히 갈린다. 이 역이 들어서면서 근처에 고가의 주상복합단지가 많이 세워졌지만, 그래도 역세권의 반쪽이 사람이 사는 곳이 아니라서 이용객이 아주 많지는 않다. 하루 평균 17,358명(2022년 기준)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역으로서, 반반으로 갈리는 역세권만큼 주된 수요처도 각각 '지역 주민 / 여가를 떠난 시민' 이렇게 둘로 갈린다. 개통 전에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 되지 않을까 세간의 우려를 샀으나, 결과적으로 뚝섬유원지역은 완벽하게 자리를 잡은 축에 든다. 7호선의 51개역 중 42위로 하위권에 속하지만 걸어서 20분 거리에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건대입구역]]과 건대 번화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를 통해 뚝섬유원지역은 상당히 선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뚝섬유원지역 승강장 - 2.jpg|width=100%]]}}}|| || '''{{{#fff 7호선 승강장 }}}''' || 7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있는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건대입구역|건대입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청담역|청담]]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군자역|군자]]·[[노원역|노원]]·[[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청담역|청담]]·[[강남구청역|강남구청]]·[[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석남역|석남]] 방면|| 이 역은 구배가 평지(0퍼밀)이다. 이 역에서 도봉산/장암행 열차를 타면, 지상 구간이 다시 나타나는 역이 18개 역 뒤인 [[도봉산역]]이고, 온수/부평구청/석남행 열차를 타면 청담대교 이후 지상구간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곳이다([[천왕차량사업소]] 제외). 청라 연장 구간도 전 구간이 지하며, 이쪽은 심도가 매우 깊게 지어질 예정이다. 그리고 7호선의 지상역 중 유일하게 인접한 역이 모두 지하역이다. == 여담 ==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꿈의 장: MAGIC|Magic Island]]의 뮤비 속 배경으로 뚝섬유원지와 함께 쓰인 역이다. * 역 북쪽의 신양초교교차로에서 과거 계획됐으나 최종적으로 무산된 경전철 노선인 [[동남C]] 노선과 교차하지만 역간 거리, 고도 차이 문제 등으로 인해 환승역 신설 계획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7호선 [[건대입구역]]~뚝섬유원지역 구간은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가는 구간이라 노선 자체에 경사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광진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