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 기술, 비행=, 물리=, 파일=뛰어오르다 1.png, 파일2=뛰어오르다 2.png, 한칭=뛰어오르기, 일칭=とびはねる, 영칭=Bounce , 위력=85, 명중=85, PP=5, 효과=하늘 높이 뛰어올라 2턴째에 상대를 공격한다. 30% 확률로 상대를 마비 상태로 만든다., 변경점=9세대: 뛰어오르다 → 뛰어오르기 기술명 수정, 성능=충전, 성질=접촉, 상태이상=마비)]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8세대 [[기술머신/8세대|기술머신]] 52번. == 상세 == [[공중날기]]와 비슷한 기술로, 이쪽은 위력이 5 낮고 명중률이 10 낮은 대신, 30% 확률로 마비를 건다는 부가 효과가 있으며, 반드시 날아야 쓸 수 있는 공중날기에 비해, 이건 그냥 높이 뛰어오른다는 설정이라서, 굳이 비행 타입이 아니라도 배울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이하게도 PP가 15인 공중날기에 비해 PP가 고작 5밖에 안된다. 실전성은 공중날기와 별 다를 것이 없는데, 우선 1턴을 소모하는 기술이라 빈틈이 크며, 그렇다고 같은 충전식 비행 타입 기술인 [[불새(포켓몬스터)|불새]]처럼 한 방이 강력하지도 않다. 마비 확률이 30%라서 꽤 높긴 하지만, 충전식 기술이라서 이것도 별 의미 없다. 그런 주제에 명중률도 더 떨어진다. 스토리에서도 외면되는 기술인데, 갸라도스, 이어롭, 비조도 모두 견제폭이 그런대로 되는 편이기 때문에 대체 기술들이 많기 때문. 실전성이 없다보니 별로 중요한 사항은 아니지만, [[스카이업퍼]]와 [[회오리]], [[번개(포켓몬스터)|번개]], [[폭풍(포켓몬스터)|폭풍]] 등에 직격을 당한다는 점은 공중날기와 똑같다. 8세대에서는 뛰어오르기와 비슷한 부류의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는데, [[다이맥스]]가 3턴밖에 지속되지 않고, 교체하면 바로 풀려버린다는 점을 노려서 다이맥스한 포켓몬의 턴을 낭비시키거나 교체를 유도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래도 명중률이 85이기 때문에 공중날기보다는 안좋다. 그보다는 다이맥스 했을 때 이 기술이 사용자가 쓴 후에 스피드가 오르는 기술인 다이제트로 변하는 동시에 다이맥스 시 명중률 85인데도 필중기로 쓰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고려해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 기타 == 여담으로, [[갸라도스]]가 익힐 수 있는 '''유일한''' 비행 타입 기술이었다.[* 7세대부터 [[폭풍(포켓몬스터)|폭풍]]이 추가되었지만 특공형 스킬이다.] 어떤 의미로는 [[잉어킹]]의 진화형다운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튀어오르기]] → 뛰어오르기) 일칭의 경우도 はねる(뛰다) → とび'''はねる'''(날아오르듯 뛰다)로 비슷하긴 하다. 그리고 드디어 대망의 7세대에서 [[Z기술]]이 추가되어, 갸라도스의 유일한 비행 타입 물리기라는 점을 살려, 비행Z로 [[파이널다이브클래시]]로 바꿔 실전에서 쓸 수 있게 되었다. 8세대에서는 [[Z기술]]이 삭제됐지만, [[다이맥스]]를 사용하면 3턴동안 다이제트로 바뀌 쓸 수 있으니 큰 차이는 없는 편. 또한 다이맥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의 다이맥스 턴수를 소모시키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한다. 쓸모없는 기술 취급받던 기존에 비하면 활용도가 많이 늘어난편. 높이 뛰어올라 공격한다는 묘사에 걸맞게 토끼 포켓몬인 마릴리, 이어롭, 파르토, 에이스번이 자력으로 배운다. 다이맥스 대전에서 리베로 에이스번을 사기 포켓몬으로 만든 기술 중 하나. 애니메이션에서는 [[빛나(포켓몬스터)|빛나]]의 [[이어롭|이어롤]]이 사용한다. 그런데 게임상에서 뛰어오르기는 가장 마지막으로 익히는 자력기다.[* 뭐 말이 안될 건 없다. 부모가 알고 있으면 유전되니까.]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에서 [[최이슬]]의 [[왕구리]]도 이 기술을 사용한다. 원래는 [[포켓몬스터 금·은/특별체험판|2세대 체험판]]때 존재했던 기술을 기술명만 재활용 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이 기술은 [[튀어오르기]]와 똑같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기술이었다. [[분류:포켓몬스터/비행타입 기술]] [[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