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5693b '''{{{+2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1958)[br]''Cat on a Hot Tin Roo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at-on-a-hot-tin-roof-md-web.jpg|width=100%]]}}} || || '''{{{#f5693b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f5693b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테너시 윌리엄스]]의 희곡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 || '''{{{#f5693b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리처드 브룩스}}} || || '''{{{#f5693b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리처드 브룩스}}} || || '''{{{#f5693b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런스 와인가튼(Lawrence Weingarten)}}} || || '''{{{#f5693b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엘리자베스 테일러]][br][[폴 뉴먼]][br][[벌 아이브즈]][br]잭 카슨[br]주디스 앤더슨 등}}} || || '''{{{#f5693b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페리스 웹스터(Ferris Webster)}}} || || '''{{{#f5693b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찰스 월콧(Charles Wolcott)}}} || || '''{{{#f5693b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헬런 로즈}}} || || '''{{{#f5693b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에이본 프로덕션즈(Avon Productions)}}} || || '''{{{#f5693b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GM]]}}} || || '''{{{#f5693b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58년]] [[8월 27일]]}}} || || '''[[화면비율|{{{#f5693b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f5693b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8분 (1시간 48분)}}} || || '''{{{#f5693b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0만 달러'''}}} || || '''{{{#f5693b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760만 달러'''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5693b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5693b 북미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PG 로고.svg|width=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8년 가장 높은 수익을 거둔 영화 3위에 올랐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작품상|작품상]],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아카데미 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등 6개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엔 실패했다.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선 작품상과 감독상 후보에 지명됐으며, 전미 비평가 위원회가 뽑은 그해의 영화 10편에도 포함됐다. 죽은 절친과 관련된 남자주인공의 [[성 정체성]] 문제는 원작 희곡에서 [[대중매체]]인 영화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아주 은밀한 흔적으로만 남았다. 그럼에도 [[알코올 의존증]], [[불임]], [[불륜]] 등 역시 1950년대엔 터부시되었던 다른 주제들은 그대로 살려 과감히 다루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t_on_a_Hot_Tin_Roof_gif_01.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at_on_a_Hot_Tin_Roof_gif_02.gif|width=100%]]}}} ||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폴 뉴먼]]의 연기가 찬사를 받았다. 둘은 [[BAFTA]]에서도 나란히 최우수 외국인 연기자상 후보에 올랐다. 특히 테일러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남부 사투리 억양을 구사했다고 평가됐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GvJZLJi9sU)]}}}|| == 등장인물 == * '''마거릿 "매기 더 캣" 팔럿'''(Margaret "Maggie the Cat" Pollitt): [[엘리자베스 테일러]] * '''"브릭" 팔럿'''("Brick" Pollitt): [[폴 뉴먼]] * '''하비 "빅 대디" 팔럿'''(Harvey "Big Daddy" Pollitt): [[벌 아이브즈]] * '''쿠퍼 "구퍼" 팔럿'''(Cooper "Gooper" Pollitt): 잭 카슨[* Jack Carson. 1910 - 1963. <[[스타 탄생]]>(1954) 등 여러 탑스타들의 유명작에서 조연으로 활약했다.] * '''아이더 "빅 마마" 팔럿'''(Ida "Big Mama" Pollitt): 주디스 앤더슨[* Judith Anderson. 1897 - 1992. [[호주]] 출신. [[토니상]], [[에미상]] 등을 받은 명배우다.] * '''메이 플린 "시스터 워먼" 팔럿'''(Mae Flynn "Sister Woman" Pollitt): 매들런 셔우드[* Madeleine Sherwood. 1922 - 2016. [[캐나다]] 출신. 연극 중심으로 활동했다.] == 줄거리 == 1950년대 미국 남부의 [[미시시피]]주 동부 연안. 말기암 선고를 받은 대농장주 빅 대디([[벌 아이브즈]] 분)의 65세 생신 잔치에 두 아들 내외가 모인다. 빅 대디는 고의로 거짓말을 한 의료진 때문에 자신의 상태를 모른다. 큰 아들 구퍼(잭 카슨 분)와 아내 메이(매들런 셔우드 분)는 유산에 크게 눈독을 들이고 있는데, 아이도 다섯이나 두고 있는 등 겉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는 가정이다. 반대로 둘째 아들 브릭([[폴 뉴먼]] 분)은 한때 잘나가는 [[미식축구]] 스타였지만 절친 스키퍼(Skipper)가 사망한 뒤로는 자기파괴적 태도로 술로만 세월을 보내고 있다. 브릭은 아름다운 아내 매기([[엘리자베스 테일러]] 분)가 스키퍼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믿고 있으며, 매기 때문에 스키퍼가 자살했다고 의심하는 중이다. 때문에 브릭은 매기의 꾸준한 헌신과 호소에도 불구하고 싸늘한 태도로 일관하며 잠자리를 거부해왔고, 두 사람 사이엔 아이가 없다. 빅 대디는 내심 브릭을 편애하지만 손주를 안겨주지 못한 브릭과 매기 부부 대신 구퍼 내외에게 재산을 물려주려 한다. 매기는 임신했다는 거짓말로 이를 저지한다. 한편 브릭은 아버지가 시한부라는 걸 알고 삶을 바라보는 태도가 변화하는데... == 여담 == * [[벌 아이브즈]]와 매들런 셔우드는 [[엘리아 카잔|일리어 커잰]]이 연출한 1955년 [[브로드웨이]] 연극 초연에 출연한 뒤 해당 배역 그대로 영화판으로 넘어왔다. * 감독 리처드 브룩스[* Richard Brooks. 1912 - 1992.]는 [[아카데미상]]에 평생 총 8번 후보로 지명됐으며 대표작은 본항목을 비롯해 [[글렌 포드]], [[시드니 푸아티에이]] 주연의 <[[폭력교실#s-1.1|폭력 교실]]>(1955), [[버트 랜캐스터]], [[진 시먼스]] 주연의 <엘머 갠트리(Elmer Gantry)>(1960), [[로버트 블레이크]] 주연의 <[[냉혈한#s-2|냉혈한]]>(1967), <미스터 굿바를 찾아서(Looking for Mr. Goodbar)>(1977) 등이다. * 이 영화의 포스터를 그린 레널드 브라운[* Reynold Brown. 1917 - 1991.]은 <[[벤허(1959년 영화)|벤허]]>(1959)를 비롯해 여러 유명작들의 포스터를 그렸다. * 에이드리안이 [[MGM]]을 나가면서 그 뒤를 이어 수석 디자이너가 된 헬런 로즈[* Helen Rose. 1904 - 1985.]의 의상들이 큰 주목을 받았고 여전히 자주 회자된다.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신부의 아버지]]>(1950)에서 입은 [[웨딩드레스]]와 [[그레이스 켈리]]가 1956년 [[레니에 3세]]와의 결혼식에서 입은 웨딩드레스와 함께 대표작으로 거론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t_on_a_hot_tin_roof_Helen_Rose.jpg|width=100%]]}}} || *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촬영이 시작되고 며칠 안 있어 명제작자였던 남편 마이크 타드가 비행기 사고로 급작스레 사망해 충격으로 자해를 시도하는 등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었음에도 촬영장에 복귀했고 일터에선 일절 티를 내지 않으며 작업을 마쳤다. * 이 영화에서 거둔 성공을 재현하기 위해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폴 뉴먼]]은 [[로버트 와이즈]] 연출의 로맨스 영화 (1962)로 다시 한 번 뭉치려 했으나 <[[클레오파트라(1963)|클레오파트라]]>(1963)의 촬영이 지연되면서 테일러의 출연이 불가능해지자 뉴먼도 프로덕션에서 나와버렸다. 대신 찍은 게 바로 <[[허슬러(1961)|허슬러]]>(1961)다. 테일러와 뉴먼을 대신해 [[셜리 맥클레인]]과 [[로버트 미첨]]이 발탁되었다. * [[위노나 라이더]]가 이 영화 속 [[엘리자베스 테일러]]를 [[오마주]]하는 화보를 찍은 적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t_on_a_Hot_Tin_Roof_Elizabeth_Taylo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at_on_a_Hot_Tin_Roof_Winona_Ryder.jpg|width=100%]]}}} || [[분류:1958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분류:메트로 골드윈 메이어]][[분류: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