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08MS.png|width=40]] 0908 [[마스카나]] || [[파일:909MS.png|width=40]] '''0909 {{{#000,#fff 뜨아거}}}''' || [[파일:910MS.png|width=40]] 0910 [[악뜨거]] || ||<-3> {{{#white 지역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 [[파일:908MS.png|width=40]] 003 [[마스카나]] || [[파일:909MS.png|width=40]] '''004 뜨아거''' || [[파일:910MS.png|width=40]] 005 [[악뜨거]]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09 뜨아거.png|width=50%]] || || 뜨아거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09MS.png|width=50]][br]'''뜨아거''' [br] ホゲータ(호게타) [br] Fuecoco || 전국: 0909[br]팔데아: 004 || [include(틀:불꽃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white ([[포켓몬스터/특성#s-1.1|{{{#white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ㅁ#맹화|맹화]] || 자신의 HP가 ⅓ 이하일 때 불꽃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오른다. || || *[[포켓몬스터/특성/ㅊ#천진|천진]] || 상대방의 랭크 변화를 무시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909 뜨아거 ||<|2> 불꽃악어 포켓몬 || 0.4m || 9.8kg ||> 4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육상 || 5,120걸음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16> {{{#white 진화}}} || || {{{#white 진화}}} ||<-3> [[파일:909-1.gif|width=40]][br]0909 뜨아거 ||<-3> 레벨 16[br]→ ||<-3> [[파일:910.gif|width=55]][br]0910 [[악뜨거]] ||<-3> 레벨 36[br]→ ||<-3> [[파일:911-1.gif|width=90]][br]0911 [[라우드본]] || [anchor(앵커-방어 상성)] ||<-6>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이름 || 2배 || 1배 || 0.5배 || 0.25배 || 0배 || || [[파일:909MS.png|width=50]][br]뜨아거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 || -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09MS.png|width=50]][br]뜨아거 || 67 || 45 || 59 || 63 || 40 || 36 || 31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09MS.png|width=50]][br]{{{#FFFFFF 뜨아거}}}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09MS.png|width=50]][br]{{{#white 0909 뜨아거}}} || || 스칼렛 ||따뜻한 바위 위에 드러누워서 네모난 비늘을 통해 흡수한 열로 불꽃 에너지를 만든다. || || 바이올렛 ||불꽃 주머니가 작기 때문에 흘러넘친 에너지가 머리의 움푹한 곳을 통해 새어 나와 일렁거린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개요 == ||'''열을 흡수하는 비늘''' 배와 등에 있는 네모난 비늘로 외부의 열을 흡수해서, 불꽃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비늘은 항상 촉촉하고 따뜻하나, 때로는 고온이 될 때도 있습니다. '''넘치는 불꽃 에너지''' 머리 위에 일렁이는 것은 체내에서 흘러나온 불꽃 에너지입니다. 뜨아거의 감정이 고조되어 흥분하면 방출하는 불꽃의 양도 많아집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578&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뜨아거 소개 페이지]]에서 || 9세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불꽃 타입 [[스타팅 포켓몬]]. 느긋하고 침착하다고 한다. 모티브는 악어 + 마리아치 + 가수 + 악어새[* [[악뜨거]]의 머리 위에는 둥지와 알 형상을 한 불꽃이 생기고, [[라우드본]]으로 진화하면서 이 '알'이 부화해 새의 형상을 띈다. 이 새는 모티브가 악어새인 만큼 라우드본의 대기 모션 때 크게 벌린 입 안을 부리로 쪼며 청소하는 모습도 볼 수 있으며, 라우드본이 플레어 송을 시전할 때는 마이크 끝부분에 위치했다가 불새가 되어 날아가 적을 공격한다.]. 이름의 유래는 뜨거(뜨겁다) + 악어이면서 동시에 "뜨악"도 연상시키고, 뜨거운 것에 데였을 때 '아뜨거'의 [[애너그램|어구전철]]도 되는 중의적 작명이다. 일본어 이름인 ホゲータ(호게타)는 ほのお(불)또는 ホット(뜨겁다) 외에도 あほ(바보)와 엘리게이터를 합친 이름으로 추정되는데, 이름대로 뜨아거는 멍청해 보이는 얼굴을 하고 있다.[* 실제로 스타팅 포켓몬 첫 등장 연출에서 열매를 먹으려다가 실수로 불을 뿜어서 열매가 다 타버리는데, 아랑곳 하지않고 그 탄 열매를 먹으려고 한다. 물론 이를 본 꾸왁스가 그런 건 먹으면 안 된다는 식으로 말린다. 거기다 숨겨진 특성은 [[천연|천진]]이다. 중국어판 이름에도 이런 점이 반영되었다.] == 포획 및 스토리 == ||<#f25802> {{{#FFFFFF 메인 등장 작품}}} ||SV || || {{{#FFFFFF 포지션}}} ||특수 어태커 겸 물리 탱커 || || {{{#FFFFFF 난이도}}} ||상 || || {{{#FFFFFF 장점}}} ||높은 특공, 장기전으로 갈수록 강해지는 화력, 높은 내구, 매우 유리한 체육관 관장 상성 || || {{{#FFFFFF 단점}}} ||느린 스피드, 불완전한 견제폭으로 4공격기 배치시 쌍두형이 강제됨, 테라스탈타입 미변경 시 물/땅 견제 특수기 습득 불가, 스토리후반부의 유통기한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목탄, 저주의부적, 먹다남은음식 || || {{{#FFFFFF 서브 포켓몬}}} ||[[빠르모트]], [[퍼퓨돈]], [[엘레이드]], 쾌청 [[코터스]] || || {{{#FFFFFF 대체재}}} ||[[카디나르마]](S), [[파라블레이즈]](V), [[윈디(포켓몬스터)|윈디]], [[화염레오]], [[헬가(포켓몬스터)|헬가]],[[팬텀(포켓몬스터)|팬텀]],[[무우마직]](V),[[둥실라이드]](S)|| || {{{#FFFFFF 기술}}} || 플레어송 or 화염방사 or 불대문자(필수) / 섀도볼 or 병상첨병(필수) / 대지의힘, 도깨비불, 솔라빔 or 씨폭탄, 하품, 지진, 하이퍼보이스, 번개엄니, 역린, 사념의박치기 중 택 2 || 체육관 관장 상성이 가장 유리한 스타팅 포켓몬으로 꼽힌다. 유리하게 싸울 수 있는 관장이 '''6'''명[* 단풍(벌레), 콜사(풀), 청목(노말), 라임(고스트), 리파(에스퍼), 그루샤(얼음)]이나 되며 불리한 곳은 물 타입 관장인 [[곤포]] 하나 뿐. 챔피언 [[테사(포켓몬스터)|테사]]도 [[라우드본]] 하나로 포켓몬 5마리를 공략할 수 있으며, 플레어송으로 쌓인 특수공격은 에이스 포켓몬인 [[킬라플로르]]가 바위로 테라스탈 해도 그냥 녹여버린다. 그러나 75라는 저조한 특수방어와 느려터진 스피드가 문제다. 레벨빨로 밀어붙이려고 해도 스피드가 발목을 잡아 일단 1대 맞고 시작하기 십상. 체육관 관장이나 스타단 보스들이 쓰는 포켓몬이나 기계는 스피드가 빠른 경우가 많아, 결국 상성이 유리해서 편한 건 초반 한정이고, 중반부부터는 스피드 수치가 123로 매우 빠른 [[마스카나]]나 전용기에 스피드 랭크업 부가효과가 달린 [[웨이니발]]이 월등히 편하다. 더군다나 불꽃/고스트타입은 방어 상성 면에서 반감 이하로 받는 타입이 많지만, 약점 또한 5개나 존재하여 달리 선공권을 가지기 힘들고, 특수방어가 부실한 라우드본은 선공으로 약점을 공략당하거나 특수 어태커 앞에서 한방에 나가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후반부 스토리를 힘들게 하는 주 원인. 더불어 9세대에서부터는 야외에서, 심지어 승부 도중에도 뜬금없이 비가 내려 불꽃타입이 싸우기 불리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 이 점도 마이너스 요소.[* 다만 저레벨에 하품을 자력으로 습득 가능해 즉사하지만 않는다면 레벨에서 밀리는 상대도 어떻게든 잡아내는것이 가능하고, 야생 포켓몬 포획에 있어 유리하다는 소소한 장점을 가지기는 한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특수기 견제폭이 약간 아쉬워서 다타입 견제를 노릴 시 쌍두형이 강제된다. 물론 배울 수 있는 물리 기술들의 폭이 아쉬운 편이 아니기에 씨폭탄, 번개엄니, 역린, 사념의박치기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레전드 루트에서는 무난하다. 절벼게는 바위, 어써러셔/싸리용 콤비는 물 타입이 기본으로 껴있지만, 떨구새는 무난하고 꿈트렁은 상대하기 쉬운 상대. 위대한엄니와 무쇠바퀴는 땅 타입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정작 땅 기술을 배우고 있지는 않고, 위대한엄니의 격투 기술은 무효로 받고 무쇠바퀴의 강철 기술을 반감하며 공격할 수 있어[* 다른 기술로는 공통으로 [[고속스핀]]과 [[탁쳐서떨구기]]를 가지고 있는데, 라우드본의 고스트타입으로 노말타입의 고속스핀도 무효로 받아 탁쳐서떨구기만 조심한다면 괜찮다.] 어려운 상대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절벼게, 꿈트렁, 위대한엄니/무쇠바퀴를 쉽게 상대 가능한 웨이니발하고도 비교된다. 참고로 웨이니발은 떨구새와 어써러셔/싸리용과는 무난하다. 다만 스타더스트 스트리트 쪽은 꽤나 어렵다. 각 스타단의 팀 속성을 감안하면 유리하게 싸울 수 있는 스타단이 후반 지역의 격투 군단 팀 카프밖에 없다. 피나의 경우는 설정 레벨 기준 라우드본 진화 전일 가능성이 커서 약점을 찔리지는 않으므로 무난하지만 멜로코는 같은 불꽃타입이라 서로 답답한 상황이 벌어진다. 중간급인 추명도 비슷하나, 오르티가가 문제. 페어리의 경우 불꽃으로 반감을 받으면서 싸울 수는 있지만, 문제는 마릴리. 만약 라우드본이 마릴리의 선공으로 천하장사 특성이 적용된 아쿠아테일을 맞는다면 그대로 한 방에 나가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비파 역시 후반 지역에 있는 만큼 매우 강한데다, 의외로 약점을 찔리는 타입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있어 상기한 느린 스피드가 발목을 잡힌다. 특히 저승갓숭은 죽창 싸움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총평은 탄탄한 내구와 높은 특수공격이 강점인 전형적인 딜탱 스타일의 포켓몬. 특수 어태커에게 상대적으로 약하긴 한데 체력이 괜찮고 특방이 바보 수준으로 낮은 것도 아니라서 약점 찔릴 일만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으며, 원톱은 힘들지 모르겠지만 원톱만 하는 게 강제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포켓몬들과의 적절한 조합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 대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우드본, 앵커=대전)]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애니메이션 === 9세대 스타팅들 중 [[나오하]]에 이어 뜨아거가 두번째로 선행등장 했으며, [[포켓몬스터W]] 134화에 등장한다. 성우는 타케쿠마 후미코.[* [[마마네(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마마네]]의 성우다.] 로켓단 삼인방이 한가로이 일광욕을 하고 있는 뜨아거를 잡으려고 했는데 로사가 실수로 몬스터볼이 아닌 오랭 열매를 꺼냈고 로사가 오랭 열매를 언급하자, 그 소리를 듣고 뒤를 돌아본 뜨아거가 달려들어 로켓단을 날려버리고 떨어지는 오랭 열매를 받아먹는다. 그리고 로켓단을 날려버릴 때, 그것도 무려 기술도 없이 오직 뜨아거 자기 힘으로만 날려버린 걸 보면 보통 강한 개체가 아닌 것 같다. == 기타 == * [[장크로다일]], [[악비아르]] 계열에 이어서 등장한 [[악어]] 포켓몬이자 [[리아코]]를 이은 두 번째 악어 스타팅 포켓몬이다. 셋 중 유일한 특수형 악어 포켓몬이며, 최종진화형 기준 유일한 사족보행 악어 포켓몬이기도 하다.[* 사족보행에서 이족보행이 되는 악비아르와도 반대의 케이스다. 타입으로만 따지면 악비아르 계열이 2가지 자속기로 2배의 대미지를 줄 수 있어 라우드본 쪽이 불리하다.] * 1세대의 [[파이리]] 이후 두번째로 나온 파충류형 불꽃 타입 스타팅이다. 조류인 3세대의 [[아차모]] 이후로 4세대 [[불꽃숭이]]부터 8세대 [[염버니]]까지 쭉 포유류형이었는데, 간만에 다시 파충류형이 나왔다. * 국내 및 일본 팬덤 사이에서는 얼굴이 [[도라에몽]]의 '''[[퉁퉁이]]'''[* 육중한 캐릭터가 마이크를 꺼내 노래를 부른다는 점까지 똑같고 게다가 분류가 노래 영어 발음으로 '''싱어''' 포켓몬. 특히 눈매는 신 도라에몽의 디자인에 가깝다.]를 연상시킨다는 말이 많다. 이 때문인지 같이 나온 [[나오하]]와 [[꾸왁스]]까지 덩달아 엮여서 [[이슬이]]&퉁퉁이&[[비실이]] 조합이라는 [[https://www.pixiv.net/artworks/97054291|드립]]도 나오기도 한다.[* 보통은 같은 세대에 엮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과 [[노진구]]는 딱히 없지만 위에 링크한 주소대로 시리즈 공통으로 등장하는 [[피카츄]]와 [[이브이]]즈를 대신 집어넣는 경우가 간간히 존재하고 굳이 같은 세대에 인간까지 포함하자면 원작처럼 해결사 역할을 해준 도라에몽 포지션은 [[네모(포켓몬스터)|네모]]가 가깝고 노진구와 비슷한 포지션인 주인공인 [[보민(포켓몬스터)|보민]]과 [[푸름]]이 있다.] * 그 밖에 비슷한 체형인데다 크게 입을 벌린 모습이 [[버블보블]]의 버블룬을 닮았다거나, 돋보이는 콧구멍 때문에 [[푸른날의 마끼바오]]의 왕바우나 [[날아라 호빵맨]]의 하봉이를 닮았다거나, 색조합 때문에 [[냉장고 나라 코코몽]]의 코코몽을 닮았다는 의견도 있다. 해외에서는 턱과 꼬리를 없앤 모양이 [[어몽어스]]의 크루원을 닮아서 그쪽과도 엮인다. 최종 진화후에는 역시 악어인지라 [[원피스(만화)|원피스]]의 [[크로커다일(원피스)|크로커다일]]이랑도 엮이는데 [[악마의 열매]]중 [[모래모래 열매]]가 불과 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모래로 변하는것으로 고스트 타입처럼 이동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엮인다. * 기존에는 [[스타팅 포켓몬/특징#s-10.1|불꽃 타입 스타팅 포켓몬이 십이지를 모티브로 하였다]]는 가설이 있었으나 십이지와는 거리가 먼 악어라는 동물을 모티브로 한 뜨아거가 등장하면서 이 가설은 사실상 유저들의 끼워맞추기에 가까워졌다.[* 사실 이전부터 푸호꼬를 개과라는 이유, 혹은 인도의 십이지에 해당한다는 이유를 들어 [[戌]] 포지션으로 추측하던 시점부터 끼워맞추기라는 의견도 꽤 많았다.] 뜨아거 계열이 [[샤로다]]처럼 진화하면서 팔다리가 퇴화해 뱀의 모습으로 변할 것이라고 추정하면서 뱀 포지션에 넣는 의견도 있었지만, 최종진화인 라우드본에서도 팔다리가 퇴화하지 않으면서 힘을 잃었다. * 한국 명칭이 호불호가 갈린다. 앗 뜨거워 → 아뜨거 → 뜨아거(뜨겁다 + 악어)가 된 것으로 추정되기에 초월번역이라며 호평하는 사람도 있고, 우스꽝스럽다며 부정적으로 여기는 반응도 있다. 한편, 발음상의 유사함 때문에 중국어에서 '형'을 뜻하는 단어인 '[[주윤발|따거]]'가 연상된다는 의견도 있다.[* 우연인지 울음소리 마저도 '따거어~!'이다.] 그래서 그런지 같은 악어 포켓몬인 장크로다일과 악비아르 계열도 덩달아 엮여서 팬들에게 각각 '''차아거'''와 '''땅아거'''라고 별명이 붙게 되었다. 그래도 전작보다는 꽤 성의있는 작명이라는 평. * 생김새의 유사점 때문에 [[딥상어동]]과 엮이기도 한다. * 전작의 염버니와 마찬가지로 배부분의 노란색 사각형이 마치 [[치즈]]를 연상시킨다는 밈도 있다. * 인터넷에서 유명한 고양이가 악어 장난감에 물리는 짤의 고양이를 나오하로, 악어 장난감을 뜨아거로 바꾼 아래의 짤도 만들어 졌다. 마침 상성도 나오하가 뜨아거한테 약하기 때문에 적절한 패러디로 볼 수 있다. [[파일:25d.png]] * 다른 스타팅들과는 달리 동물적인 특징보다는 [[두랄루돈]]처럼 로봇과 비슷하게 생겼다는 반응도 있어 이러한 패러디도 나오고 있다. [youtube(apMLrO5u-8E)] * 스타팅들끼리 타입 조합만을 비교할 경우 가장 불리한 타입을 가지고 있다. [[마스카나]]에게는 악 타입으로 약점을 찔리고, [[웨이니발]]에게는 물 타입으로 약점을 찔리기 때문. 2차 타입만을 비교할 경우 '악>고스트>격투>악' 순으로 가위바위보 관계가 성립하긴 하지만, 고스트 타입은 방어 상성으로는 격투를 무효로 받기 때문에 유리한 상성이라고 볼 수 있는 반면, 공격 상성으로는 격투에 2배가 아니라 1배가 들어가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 일이다.[* 사실 고스트 대신 에스퍼를 받았다면 악에 약점을 찔리면서 격투를 2배로 찌르는 것이 가능해 2차타입 역순 상성이 완벽하게 가능했다. 그러나 격투/드래곤 타입인 코라이돈을 자속 에스퍼로 약점을 찌를 수 있고 특수형 불꽃/에스퍼 스타팅 최종 진화형이란 컨셉이 [[마폭시]]와 겹치기 때문에 일부러 고스트로 줬을 가능성이 있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09 뜨아거 dex.png|width=50%]] || || '''뜨아거'''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뜨아거 ||<:> 뜨겁다 + 악어|| || 일본어 || ホゲータ ||<:> ホット(hot) + アリゲーター(alligator)|| || 영어 ||<|3> Fuecoco ||<:><|3> Fuego(스페인어로 불) + cocodrilo(스페인어로 악어)|| || 스페인어 || || 이탈리아어 || || 프랑스어 || Chochodile ||<:> chaud(뜨거운) + crocodile || || 독일어 || Krokel ||<:> krokodil(독일어로 악어) + kokeln(불장난하다) 또는 fackel(독일어로 횃불) || || 중국어(번체) ||<:> 呆火鱷 ||<:><|2> 어리석을 매 + 불 화 + 악어 악 || || 중국어(간체) || 呆火鳄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불꽃타입 포켓몬]][[분류:스타팅 포켓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우드본, version=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