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ahmen}}}[* 틀, [[프레임]](frame)이라는 뜻의 [[독일어]] [[https://en.wiktionary.org/wiki/Rahmen|Rahmen]]에서 유래하였다.] [목차] == 개요 == 골조구조(骨組構造, 뼈대구조, framed structure)의 절점(節點)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 형식으로 주로 철근 구조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http://www.gunnet.kr/service/data/data-str.htm|사용]]된다. == 특징 ==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beam)가 강성(剛性)으로 접합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https://www.auric.or.kr/User/Dict/DocDict.aspx?returnVal=dict&page=1&dn=52|골조]]를 말하며, 부정정(不靜定) 라멘이라고 한다. 이 외에 부재가 분할핀으로 접합되어 있을 때는 ΣX=0, ΣY=0, ΣH=0인 힘의 평형조건식으로 반력 및 [[응력]]을 구할 수 있는 구조물을 특히 정정(靜定) 라멘이라고 한다. 평면계획상 자유스러운 배치가 가능하고, 부실 시공에 따른 하자 분쟁을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1/2018082102461.html|줄일 수 있고]], 넓은 개구부 및 공간을 얻을 수 있어 근대 고층건축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기둥]] 스팬이 [[무량판 구조]]보다는 길고, [[보]]가 슬래브를 지지하기 하기 때문에 슬래브의 두께가 [[무량판 구조|무량판]]보다는 비교적 얇아도 되고 기둥 개수가 해당 구조보다는 적어도 되기 때문에 그 만큼의 공기가 덜 들고, [[http://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96516|수리용이성]], [[층간소음]]에 강하다는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5/369534/|장점]]이 있다. 보와 기둥으로 슬래브를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0851|지지]]하기 때문에 보를 설치하기 위한 50~70㎝의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해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comm&wr_id=20712543|층고]]를 줄일 수 없어 이에 따른 가구수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5/369534/|감소]]할 수 밖에 없고, 보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가 추가로 든다. 실내공간별 소음, 즉 [[층간소음|벽간소음]] 소음에도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5551219|불리]]하다. [[http://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96516|기사]]. 대들보나 기둥 자체로 인해 '죽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한국인이 선호하는 개방적인 거실공간을 만들기 어렵고, 하중이 무거운 습식 바닥난방을 설치하기도 어렵다.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230360545283.pdf|출처]]. 이는 라멘 및 [[무량판 구조]]로 지어지는 상업용 건물에 바닥난방이 없고 대부분 냉온풍기나 팬코일 등으로 난방을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실내에 기둥과 보가 튀어나와서 주거용으로 사용시 심미성이 낮고 가구 배치 등이 어려워 공간 활용도가 낮고, 주거용 건물를 만들 때 벽을 석고로 주로 만들기 때문에 후술하듯이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5551219|단열]]이 안 된다는 결점이 존재한다. [[교량]] 시공법 중에도 라멘 공법이 [[https://www.hiway21.com/YJBridge/06_bridgeofworld/page1_6.jsp|존재]]하는데, 쉽게 말하면 교각과 상판을 합쳐서 통짜로 제작하는 것이다. [[파일:attachment/DSC09434.jpg]] [[조동철교]]가 유명한 예시이며, 건축물이 비계공사를 하는 것처럼 생겼다. 성토된 도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굴다리도 라멘교의 일종이다.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001131049185210772|기사]]. 자세한 건 [[교량#s-2.6|문서]] 참고. 서양권과 일본은 공동주택도 라멘 공법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 대한민국에서의 사용 == [[대한민국]]에서 라멘조 건축은 잦은 실내 평면구조 변경이 필요한 상업용 건물에 주로 사용되며 주거용 건물은 대부분 벽식 구조이고 일부는 [[무량판 구조]]로 지어진다. 또한 보와 기둥의 존재로 단열재 취부 난이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거용 건물에 높은 단열 성능을 요구하고 있는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라멘조 건축물이 기피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 여담 == * 공교롭게도 일본어로도 [[https://ja.wikipedia.org/wiki/%E3%83%A9%E3%83%BC%E3%83%A1%E3%83%B3_(%E9%AA%A8%E7%B5%84)|ラーメン]]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음식 [[라멘]]과 [[언어유희|발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일본 건축회사 지역광고가 있다. * 한국의 현대 건축은 서방권-일본-한국 순으로 옮겨왔기 때문에 라멘 구조의 '라멘'이 일본에서 전례된 것으로 알고있는 사람이 건축과에서도 꽤 많은데 원래는 [[독일어|독일에서 온 단어]]이다. == 관련 문서 == * [[건축 관련 정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층간소음, version=1147)] [[분류:건축]][[분류:독일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