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의 등장인물, rd1=라벤나(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include(틀:이탈리아의 세계유산)] ||<-3><#000><:>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이름 || 한글 ||라벤나의 초기 기독교 기념물 || || [[영어]] || [* Early Christian Monuments of Ravenna] || || [[프랑스어]] || [* Monuments paléochrétiens de Ravenne] || || 국가·위치 ||<-2>[[이탈리아]] 라벤나 || ||<-3><:> [include(틀:지도,장소=라벤나, 높이=224px, 너비=100%)] || || 등재유형 ||<-2>문화유산 || || 등재연도 ||<-2>[[1996년]] || || 지정번호 ||<-2>788 || || [[세계유산#s-3|등재사유]] ||<-2>(i)[*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 || [[파일:Ravenna.jpg|width=100%]] || || [youtube(OloCnirDlFA)]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에 있는 도시이자 로마냐 지방의 중심지. [[서로마 제국]]과 오도아케르 왕국, [[동고트 왕국]], [[라벤나 총독부]]의 수도였기 때문에 문화유적이 여럿 존재한다. [[아드리아 해]]와 7km 떨어져 있고 지금은 [[운하]]로 바다와 연결된다. 인구는 약 16여만명. == 역사 == 라벤나라는 이름의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일단은 [[에트루리아]]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트루리아인들은 스스로를 ‘라스나’라고 불렀는데, 거기에서 어원이 왔을수도 있다.] 로마인들은 [[포 강]] 삼각주를 정복하고 기원전 89년에 라벤나를 [[로마 공화국]]의 연합 도시로 받아들였다. 라벤나는 기원전 49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기 전에 군대를 집결시킨 곳이었다.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31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의 전투 이후 [[로마 제국]]의 [[해군]]기지를 건설했다. 이 항구는 로마 제국 함대의 중요한 주둔지였다. 라벤나는 로마 통치하에서 크게 번영했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2세기 초에 70km 길이의 수로를 건설했다. [[마르코만니 전쟁]] 기간 동안 라벤나의 게르만족 정착민들은 반란을 일으켜 도시를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이유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더 많은 야만인들을 이탈리아로 데려오는 것을 반대할 뿐만 아니라 이전에 이탈리아로 데려온 사람들을 추방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동서 로마 분열 이후 [[서로마 제국]]의 황제 [[호노리우스]]는 408년 수도를 [[밀라노]]에서[* [[로마]]는 이전부터 수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였다.] 이곳으로 옮기고 그 후의 서로마 황제들도 이곳에 눌러앉아 제국을 통치했다. 당시 라벤나는 5만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는데 도시가 늪으로 둘러싸여 있어 방어가 용이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도시의 항구와 동로마와의 해상 교통이 좋았기 때문에 수도를 이곳으로 옮긴것으로 보인다. 호노리우스 사후 사실상 서로마 제국의 통치자가 된 [[갈라 플라키디아]]는 조카 [[테오도시우스 2세]]의 지원으로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함께 라벤나를 발전시켰다. 이후 [[오도아케르]]가 [[라벤나 함락|라벤나를 함락]]해 서로마를 멸망시켰고 서로마 멸망 이후에는 오도아케르 왕국이 수도로 삼았다. 493년에는 [[테오도리크 대왕]]이 오도아케르 왕국을 멸망시키면서 라벤나를 함락시키고 [[동고트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오도아케르와 테오도리크의 그 추종자들은 모두 아리우스파 기독교인들이었지만, 대부분 가톨릭 신자였던 라틴인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면서 문화를 꽃피웠다. ||
<-2> [[파일:Alboin's_Italy-it.svg.png|width=100%]] || ||<-2> 575년 이탈리아 반도의 모습 || ||<#FF8442> '''{{{#FFF 주황}}}''' ||동로마 제국 || ||<#B0C4DE> '''{{{#000 회색}}}''' ||랑고바르드 왕국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Italien_zur_Langobardenzeit.jpg|width=100%]] || ||<-2> 동로마 제국, 랑고바르드 왕국이 공존했던 이탈리아의 지도와 오른쪽 위 교황령의 지도 || ||<#EDACC4> '''{{{#000 분홍}}}''' ||동로마 제국 || ||<#E79833> '''{{{#FFF 주황}}}''' ||랑고바르드 왕국 ||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이탈리아 반도]]를 [[서로마 고토 수복 전쟁|수복하기로 결심한 후]] 535년 그의 장군 [[벨리사리우스]]가 이탈리아를 침공했고 540년 라벤나를 정복했다. 554년 이탈리아 정복이 완료된 후, 라벤나는 이탈리아 동로마 정부의 소재지가 되었다. 이후 랑고바르드족이 침입하자 이곳에 [[라벤나 총독부]]가 세워져 751년까지 약 200년 간 동로마의 이탈리아 지역 통치를 담당했다. 727년, 738년에 잠깐 [[랑고바르드 왕국]]에게 점령되었지만, [[교황]]의 지원으로 회복하였다. ||
<-2> [[파일:907px-Aistulf's_Italy-it.svg.png|width=100%]] || ||<-2> 751년 랑고바르드 왕국이 라벤나를 점령한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모습 || ||<#FF8442> '''{{{#FFF 주황}}}''' ||동로마 제국 || ||<#B0C4DE> '''{{{#000 회색}}}''' ||랑고바르드 왕국 || 그러나 751년에는 랑고바르드족의 침공을 버티지 못하면서 마지막 총독 [[에우티키오스]]의 사망 이후 동로마의 이탈리아 통치는 남부로 한정되었다.[* 그 지역을 통치하는 사람을 그리스어로 Catepan, 그 영역을 Catepanate of Italy라 한다.] 756년 [[프랑크 왕국]]의 [[피핀 3세]]가 랑고바르드 왕국을 몰아내고 이 지역을 교황에게 기증하였고, 그 뒤로 [[교황령]]에 속하였다. 1321년 [[단테 알리기에리]]는 [[신곡/천국편|신곡의 천국 편]]을 마치고 이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이곳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오늘날까지 라벤나의 명소로 남아있다. 1527년부터 1529년까지 라벤나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잠깐 받은 적도 있지만, 그 후 교황령에 돌아왔다. 1636년 5월에는 엄청난 홍수로 피해를 입었다. 이후 300년 동안 운하망이 주변의 강을 우회시켜 늪지의 물을 빼냈고, 홍수의 가능성을 줄이고 도시 주변에 넓은 농경지를 만들었다. 1798년 [[프랑스 제1공화국]]의 괴뢰국인 치살피나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제1제국]] 하에서 [[이탈리아 왕국(프랑스 제1제국)|이탈리아 왕국]]에 할양되었으나 1814년 교황령으로 돌아왔다. 그러다 1861년 [[이탈리아 통일]]을 통해 [[이탈리아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폭격으로 도심이 피해를 입었다. 현대 [[이탈리아]]에서는 [[에밀리아로마냐]]의 도시이며 인구는 16여만명이다. == 관광 == || [[파일:San_Vitale.jpg|width=100%]] || [[파일:Apse_mosaic_-_Basilica_of_San_Vitale_(Ravenna)-1.jpg|width=100%]] || ||유명한 건축물로 동로마 건축 양식의 성당인 산 비탈레 성당이 있다. ||세계를 상징하는 구체 위에 앉은 [[예수]]를 나타낸 모자이크. 수염 없는 젊은 모습으로 묘사되어있다. || || [[파일:Stili_a_confronto.jpg|width=100%]] || [[파일:San_Vitale_in_Ravenna_02.jpg|width=100%]] || ||[[순교]]자들과 예수의 모자이크가 있는 아치와 양 옆 천장. 오른쪽 둥그런 천장의 벽화는 18세기에 그려진 것이다. ||아치 맨 위에 있는 예수 모자이크. 수염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있다.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ustinian_mosaik_ravenna.jpg|width=100%]] || ||<-2>성당 내부의 그 유명한 모자이크. 가운데 인물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 그의 좌우에 있는 대신들은 각각 [[플라비우스 벨리사리우스]]와 [[나르세스]]이다. || || [[파일:1200px-Mausoleum_of_Theoderic-1.jpg|width=100%]] || || [[테오도리크 대왕]]의 마우솔레움(영묘). || || [[파일:Dante_Alighieri_tomb_in_Ravenna_(exterior).jpg|width=100%]] || [[파일:Dante_Alieghri_tomb_in_Ravenna_(interior).jpg|width=100%]] || || 외부 || 내부 || ||<-2> [[단테 알리기에리]]의 무덤. || [[동로마 제국]]과 [[동고트 왕국]] 관련 명소가 많다. 부유층 비율이 높은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의 잘 관리된 소도시답게 이탈리아임에도 불구하고 치안이 좋고 도로 관리도 잘 되어 있다. 다만, 물가는 주변 지역과 비교해도 낮은 편은 아니다. 시내 호텔 수도 부족하지 않으나, 잠깐 들르는 경우에는 근처의 [[볼로냐]]와 엮어서 관광할 때가 많다. == 기타 == 지역 축구팀으로는 라벤나 FC가 있다. 매년 이탈리아의 유명 클래식 축제 중 하나인 라벤나 페스티벌(Ravenna Festival)을 개최한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고향인 [[피렌체]]에서 추방된 후 이탈리아 여기저기를 떠돌았는데 라벤나에서 세상을 떠났다. 단테의 역작인 [[신곡]]은 라벤나에서 완성되었으며 그의 무덤도 라벤나에 있다. 영국의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 경은 1819년과 1821년 사이에 지역 귀족 테레사 귀치올리를 흠모하여 라벤나에서 살았다. 여기서 그는 [[돈 후안]], 라벤나 일기등의 작품을 남겼다. 현대의 연구에 따르면 [[J.R.R. 톨킨]]이 [[반지의 제왕]]에서 [[곤도르]]의 수도로 묘사한 [[미나스 티리스]]는 부분적으로 라벤나를 기반으로 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톨킨이 남긴 지도에 따르면 [[호빗골]]은 대략적으로 [[옥스퍼드]], 라벤나가 미나스 티리스 쯤에 위치한다.[[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5/oct/23/jrr-tolkien-middle-earth-annotated-map-blackwells-lord-of-the-rings?CMP=fb_gu|#]] [[분류:이탈리아의 도시]][[분류:이탈리아의 세계유산]][[분류:이탈리아의 옛 수도]][[분류:에밀리아로마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