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패솔로직 시리즈/등장인물)] [include(틀:패솔로직 2)] ||<-2> {{{+1 '''{{{#white 라스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athologic2_Gracetrade.png|width=100%]]}}} || || '''{{{#white 본명}}}''' ||라스카 (Ласка) || || '''{{{#white 성우}}}''' ||Olga Kashinskaya,,러시아어,,[br]Jeju Caron,,영어,,|| [목차] [clearfix] == 개요 == 영문판은 Grace. 트위린 중독으로 사망한 부모를 대신해 마을의 묘지를 관리하고 있다. 죽은 자들과 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 작중 행적 == === 패솔로직 2 === * 창점술사 이야기 > '''제 길은 "산 자들의 짐" 이라고 불렸어요. 저는... 저는 단지 저희를 두고 가는 사람들을 보살피고 싶었어요.''' 2일차에는 [[이시도어 부라흐]]의 시체를 매장할 수 없는 것 때문에 괴로워한다. 장례식이 끝나고 라스카의 생명력을 대가로 죽은 이시도어의 목소리를 들을지 선택할 수 있다. 7일차에는 마을 회관에서 학사와 대화[* 라스카의 능력을 믿지 않으며, 웬 미성년자 하나 때문에 잡역부들이 역병으로 오염된 시체를 처리하는 작업을 망설인다며 답답해한다.]하거나 카펠라의 경고를 들은 후 묘지에서 라스카와 시체를 어떻게 할지 선택할 수 있다. 모래 역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급격히 늘어서 차마 전부 묻지 못하고 묘지에 있는 구덩이에 쌓아두고 있는데, 이 때문에 죽은 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라스카도 괴로워하던 중이였다.[* 시체 더미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라스카를 묘지에 머무르게 할 경우 라스카는 사망한다.] 라스카를 묘지에서 내보내기로 하면 [[표트르 스타마틴]]에게 입양되어 그의 다락방으로 옮겨가게 된다.[* 묘지는 절대 감염되지 않기 때문에 라스카가 묘지에 있는 동안은 매일 자정의 무작위 감염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다락방으로 옮겨간 후로는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Dirunal 엔딩에서는 사부로프 부부에게 입양된다. Nocturnal 엔딩에서는 죽은 자들의 여주인이 된다. * 대리석 둥지 DLC > '''한 미성년자 소녀가 마을의 장례식 담당 노릇을 했다. 이러니 제대로 돌아가는 일이 없었지...''' 대리석 둥지의 이야기에서 라스카는 이미 죽어있는 상황이다. == 기타 == * 패솔로직 2에서 앉은 모습만 나오는 유일한 캐릭터이다. 꿈에서나 판토마임 공연에서나 항상 앉아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라스카, "Ласка"는 러시아어로 "족제비" 혹은 "부드러움"이라는 뜻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패솔로직 시리즈/등장인물, version=28, paragraph=2.5)] [[분류:패솔로직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