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와이 슌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라스트 레터'''}}} (2020)[br]''ラストレター Last lett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스트 레터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감독'''}}} ||[[이와이 슌지]] || || {{{#ffffff '''각본'''}}} ||[[이와이 슌지]] || || {{{#ffffff '''제작'''}}} ||카와무라 겐키[br]미즈노 아키[br]우스이 신노스케 || || {{{#ffffff '''촬영'''}}} ||칸베 치기 || || {{{#ffffff '''편집'''}}} ||[[이와이 슌지]] || || {{{#ffffff '''음악'''}}} ||코바야시 타케시[* 동 감독의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와 [[릴리 슈슈의 모든 것]]의 음악도 맡았다.] || || {{{#ffffff '''출연'''}}} ||[[마츠 타카코]][br][[히로세 스즈]][br][[후쿠야마 마사하루]][br][[카미키 류노스케]][br][[안노 히데아키]][br][[모리 나나]] 외 || || {{{#ffffff '''장르'''}}} ||[[드라마]], [[멜로]], [[로맨스]] || || {{{#fff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도호]]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스튜디오 산타클로스 엔터테인먼트]]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미디어캐슬]] || || {{{#fff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20년]] [[3월 25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21년]] [[2월 24일]] || || {{{#ffffff '''상영 시간'''}}} ||120분 || || {{{#ffffff '''총 관객수'''}}}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君にまだずっと''' >'''恋してるって言ったら''' >'''信じますか?''' > > '''아직도, 사랑한다고 말하면 믿어줄래요?''' > [[2020년]] 개봉한 [[이와이 슌지]] 감독의 장편 영화. == 예고편 == ||
[youtube(1BWo88h4CjM)] || || {{{#ffffff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안노 히데아키]] - 키시베노 소지로 (岸辺野 宗二郎 / 48세) 역 * [[마츠 다카코]] - 키시베노/토노 유리 (岸辺野 裕里 / 43세) 역 * [[모리 나나]] - 키시베노 소요카 (岸辺野 颯香 / 14세) / 어린 토노 유리 (遠野 裕里 / 17세[*회상]) 역 * [[히로세 스즈]] - 토노 아유미 (遠野 鮎美 / 16세) / 토노 미사키 (遠野 未咲 / 18세[*회상]) 역 * 미즈코시 케이코 - 키시베노 아키코 (岸辺野 昭子 / 72세) 역 * 코무로 히토시 - 하토바 쇼조 (波止場 正三 / 79세) 역 * 키우치 미도리 - 토노 준코 (遠野 幸吉) 역 * 스즈키 케이치 - 토노 코키치 (遠野 純子) 역 * [[후쿠야마 마사하루]] - 오토사카 쿄시로 (乙坂 鏡史郎 / 44세) 역 * [[카미키 류노스케]] - 어린 오토사카 쿄시로 (乙坂 鏡史郎 / 18세[*회상]) 역 * [[토요카와 에츠시]] - 아토 (阿藤) 역 * [[나카야마 미호]] - 사카에[* [[https://ja.wikipedia.org/wiki/%E3%83%A9%E3%82%B9%E3%83%88%E3%83%AC%E3%82%BF%E3%83%BC_(%E6%98%A0%E7%94%BB)#%E3%82%AD%E3%83%A3%E3%82%B9%E3%83%88]] 참고]/아토의 부인 역 == 줄거리 == 유리는 친언니 미사키의 죽음을 알리기 위해 언니 동창회 모임에 참석한다. 졸업 후 처음 모습을 보인 유리를 본 동창들은 미사키로 착각해서 엄청 반가워한다. 유리도 분위기에 휩쓸려 미사키인척 행동하고 어렵게 모임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버스 정류장에서 과거 짝사랑했던 쿄시로를 만나고 연락처를 교환하고 헤어진다. 다음 날 유리는 쿄시로에게 편지를 쓴다. 편지를 받은 쿄시로는 미사키의 편지라 생각하고 미사키에게 답장을 쓴다. 그 쿄시로의 편지를 받은건 미사키 딸 아유미였고 미사키인척 답장을 보낸다. 미사키의 편지라지만 서로 다른 필체와 위화감이 드는 내용의 편지들을 받아본 쿄시로는 의문이 들어 직접 유리를 찾아가게 된다 오랜만에 마주한 두 사람. 그리고 유리는 쿄시로가 사랑했던 미사키는 한달 전에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고 알려준다. 그 후 쿄시로는 미사키와의 추억이 있는 모교를 찾아가게 되고 거기서 미사키를 완전 닮은 아유미를 보고 유령이라도 본 듯 쫓아간다. 그렇게 대면한 순간 아유미 역시 바로 쿄시로임을 직감한다. == 주제가 == ||
[youtube(9qG7FNtUyP4)] || || {{{#ffffff '''[[모리 나나|{{{#ffffff 모리 나나(森七菜)}}}]] 「カエルノウタ」'''}}}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ast_letter_2020,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tt8809750, user=7.0)]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ast-letter-2020, user=3.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9158>, user=4.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1MVa,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9542,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1553,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8562, expert=<전문가 평점>,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84330, egg=92)] == 흥행 == === 일본 === === 대한민국 === == 무대탐방 == 영화 촬영지인 [[미야기현]](宮城県)은 [[이와이 슌지]] 감독의 고향이다. 주로 시로이시시(白石市)나 [[센다이시]](仙台市) 일원에서 촬영되었다. * [[미야기현]](宮城県) 시로이시시(白石市) 다이쇼지(大聖寺) 토노 미사키의 장례식을 치렀던 절. 여담으로 실제 절의 주지와 부주지도 참석하여 실제 장례식을 했다고 한다.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 미나미정(南町)의 한 저택 토노 유리의 친정이자 토노 아유미의 거주지. 소요카가 여름방학 동안 이종사촌인 아유미와 살게 된 곳. 실제로 100년 이상 된 오래된 가옥이다. 다만 이 저택은 개인 거주지라 방문할 수 없다.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 마스오카정(益岡町) 시로이시 고등학교 옛 건물(白石高校旧校舎) 토노 미사키, 토노 유리, 오토사카 쿄시로가 다닌 학교. 이곳은 철거 직전에 촬영하였으며, 촬영 후 철거되었다고 한다.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 사와하타정(沢端町) 사와하타강(沢端川) 토노 유리와 오토사카 쿄시로의 추억속의 생물부 실습장소. 여담으로 과거 시로이시 성의 [[해자]] 역할을 했던 하천이었다고 한다.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 마스오카정 무사가옥(부케야시키. 武家屋敷.) 자전거를 타고 오던 토노 미사키가 오토사카 쿄시로를 처음으로 직접 만나 인사하는 장면을 촬영한 장소. 시로이시 성의 북쪽에 있다. * [[미야기현]] [[센다이시]](仙台市) [[타이하쿠구]] 아타고신사(愛宕神社) 토노 유리와 아이들이 나간 할머니를 찾은 신사. *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센다이)|아오바구]] 도이치시장(東一市場) 오토사카 쿄시로가 아토와 만나 술을 마신 곳. == 여담 == * 정식 속편은 아니지만, 원작 소설을 집필할 당시에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를 어느 정도 의식했다고 전해진다. 영화 속에서도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를 오마주한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 우선 [[장례식장]]이 첫 장면이라는 점에서 러브레터와 동일하다. *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교차편집이 많다. * 두 작품 모두 여주인공의 직업이 도서관 사서이다. * 모교를 탐방하며 사진을 찍는 장면이 나온다. * 러브레터에서는 죽은 남자친구에게 여자주인공이 편지를 썼고, 라스트 레터에서는 죽은 여자친구에게 남자주인공이 편지를 쓴다. * 러브레터의 두 주인공이었던 [[나카야마 미호]]와 [[토요카와 에츠시]]가 부부로 등장한다. * 이 작품은 2017년에 이와이 슌지 감독이 [[배두나]], [[김주혁]] 주연으로 한국에서 촬영한 단편영화 '장옥의 편지'에서 발전시켜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3061062|이와이 슌지 감독의 인터뷰 기사]] * 주연 [[마츠 타카코]]는 이와이의 작품 중 '[[4월 이야기]]'에 출연하였다. 음악의 [[My Little Lover|코바야시 타케시]]도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와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서 음악을 맡았다. * 한국에서는 사실상 [[롯데시네마]] 단독 개봉하였으며, 미디어캐슬의 '시네마캐슬' 상영관에서도 상영하였다. * 롯데시네마 개봉 4일전부터 유튜브 영화에 극장동시개봉으로 출시되었다.(코로나 영향으로 일찍 출시한것으로 보임) * 2018년에 동일한 감독이 중국 배우 버전을 감독했다. [[분류:2020년 영화]][[분류:일본의 로맨스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