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拉萨站}}} || {{{+1 '''Lhasa Railway Station'''}}} ||{{{+2 '''ལྷ་ སའི་ འབབ་ ཚུགས་'''}}}|| ||<-6><)>[[중국 국철|[[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 국철|{{{#FFFFFF '''중국 국철'''}}}]]|| ||<-6><(>{{{#ffffff,#000000 {{{+2 라싸역}}}[br]{{{+1 拉萨站}}}}}}|| ||<-2> [[시닝역|{{{#!html
시닝 방면}}}]][[당슝역|당 슝]][br]← 157.0 km ||<-2> [[칭짱철도|{{{#!html
칭짱 철도}}}]] ||<|3><-2> {{{#gray 시종착}}} || ||<-2> [[르카쩌역|{{{#!html
르카쩌 방면}}}]][[취수이시엔역|취수이시엔]][br]← 56.0 km ||<-2> [[라르철도|{{{#!html
라르 철도}}}]] || ||<-2> [[린즈역|{{{#!html
린 즈 방면}}}]][[궁가역|궁 가]][br]← X.0 km ||<-2> [[라린철도|{{{#!html
라린 철도}}}]] || ||<-6>[include(틀:지도, 장소=Lhasa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6> '''다국어 표기''' || ||<-2> [[중국어]] ||<-4> 拉萨 || ||<-2> [[티베트어]] ||<-4> ལྷ་ སའི་ འབབ་ ཚུགས་ || ||<-2> [[영어]] ||<-4> Lhasa || ||<-6> '''주소''' || ||<-6> [[중국]] [[티베트 자치구]] 두이룽더칭구 퉁짠루[br]中国西藏自治区拉萨市堆龙德庆區通站路 || ||<-6> '''철도역 등급''' || ||<-6> 1등급(一等站)[br](중국철도칭짱그룹 관할) || ||<-6> '''역 운영기관''' || ||<-2> [[칭짱철도|{{{#ffffff 칭짱철도}}}]] ||<-4><|3>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200]]]] || ||<-2> [[라르철도|{{{#fff 라르철도}}}]] || ||<-2> [[촨짱철도|{{{#fff 라린철도}}}]] || ||<-6> '''개업일''' || ||<-6> 2006년 7월 1일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Lhasa_railway_station_20060731.jpg|width=430]] [br] 라싸역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진. 역명판에 중국어와 티베트어가 병기되어 있다.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hasatrainstation_shu.jpg|width=430]] [br] 라싸역 1번 플랫폼. 막 열차가 도착해 있다. || || [[파일:external/english.cri.cn/Lhasa-Railway-Station2.jpg|width=430]] [br] 라싸역을 약간 높은 곳에서 바라본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티베트|티베트 자치구]] [[라싸]]시에 위치하며, 2006년에 개업한 [[중국 국철]] 산하의 중국철도칭짱그룹 소속의 철도역이며 [[칭짱철도]]와 라르철도[* 라싸-시가체 철도]의 시 종착역이다. [br] 2006년 7월 1일, [[칭짱철도]]의 2단계 구간인 라싸 ~ [[거얼무역|거얼무]] 구간이 영업을 시작하며 개업했다. 시닝역 기점 1956.0km == 역사 == 구내의 총 면적은 23,600m^^2^^이고, 역의 가로 길이는 340m 정도이다. 고도는 해발 '''3,641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추전역]]보다 약 3.5배 정도 더 높으며, [[백두산]]보다도 900m 가까이 더 높다. 역은 지상 3층, 지하 1층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역 내부의 철도는 총 4면 8선이다. 이 중 상대식 플랫폼은 한 개이며, 나머지는 모두 섬식이다. 4개의 플랫폼 중 2개는 화물 전용으로 운영되고 있다. 아무래도 그 유명한 칭짱철도의 종착역이니 있을 건 다 있는데, 기본으로 에스컬레이터와 의무실, 심지어 태양광 발전 시설까지 구비해 놓고 있다. [[역명판]]에는 한자와 티베트 문자가 서로 같이 병기되어 있다. == [[승강장]] == 2면 6선으로, 이 중 2개는 화물 전용 플랫폼이다.[* 플랫폼 번호를 알 수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북쪽 플랫폼을 1번으로 기술한다.] ||<-12> '''[[칭짱철도]] [[시닝역|시닝]] 방면 [br] 라르철도 르카쩌 방면''' || || {{{#white '''1'''}}} || '''|''' || '''|''' || '''|''' || {{{#white '''2'''}}} || '''|''' || '''|''' || {{{#white '''3'''}}} || '''|''' || '''|''' || {{{#white '''4'''}}} || '''|''' || ||<-12> '''시종착역''' || == 시각표 == 하루 총 14편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라싸에서 충칭과 청두를 오가는 직통(Z)열차는 각각 격일마다 운행한다. 또한 충칭과 청두사이는 일반열차로 최소 2시간 50분, 고속동차로 1시간 17분 소요되는 약 300km 거리이며 두 도시는 편도 101회의 열차가 운행하고 있는 근교도시(?)급이다 실제로 C(城际,도시간고속열차)동차조가 일 1회 운행되고있다.][* 라싸에서 시닝과 란저우를 오가는 직통(Z)열차도 각각 격일마다 운행한다.] || {{{#white 열차 번호}}} || {{{#white 도착 시간}}} || {{{#white 출발 시간}}} || {{{#white 출발역/도착역}}} || || '''Z8801''' || - || 8:30 || [[르카쩌역]] || || Z918^^격일^^ || - || 9:00 || [[란저우역|란저우 역]] || || Z6802^^격일^^ || - || 9:00 || [[시닝역|시닝 역]] || || Z166 || - || 11:30 || [[상하이역]] || || Z266 || - || 12:55 || [[광저우역]] || || '''Z8803''' || - || 15:20 || [[르카쩌역]] || || Z22 || - || 15:50 || [[베이징시역]] || || Z321/324^^격일^^ || - || 18:40 || [[청두역]] || || Z224^^격일^^[* 란위철도(兰渝铁路)가 2017년 9월 29일 개통되면서 2017년 10월 12일부터 간쑤성 란저우(兰州)에서 산시성 바오지(宝鸡)를 거치지 않고 광위안역(广元站)로 바로 연결되고 종점이 기존의 충칭베이역(重庆北站)에서 충칭시역(重庆西站)으로 변경되었다.] || - || 18:40 || [[충칭시역]] || || Z322/323^^격일^^ || 09:55 || - || [[청두역]] || || Z223^^격일^^ || 09:55 || - || [[충칭시역]] || || Z917^^격일^^ || 11:20 || - || [[란저우역|란저우 역]] || || Z6801^^격일^^ || 11:20 || - || [[시닝역|시닝 역]] || || Z21 || 12:45 || - || [[베이징시역]] || || '''Z8802''' || 14:40 || - || [[르카쩌역]][* 중간정차역 없음.] || || Z265 || 16:45 || - || [[광저우역|광저우 역]] || || Z165 || 19:35 || - || [[상하이역]] || || '''Z8804''' || 21:33 || - || [[르카쩌역]][* 중간정차역 없음.] || || 2019년 12월 22일 기준 다이어 || == 역세권 == 이름답게 티베트의 수도인 라싸와 가까이 있으며, 역 주변은 라싸의 신시가지이다. 포탈라 궁 등 라싸의 구시가지로 가고 싶으면 역에서 나와 라싸역 광장을 가로질러 바로 앞에 있는 Century Ave.를 타고 동쪽으로 이동한 뒤 라싸 강을 가로지르는 Luding Rd.를 이용하면 바로 라싸 시가지이다. 포탈라궁은 동쪽으로 약 7km정도에 있다. == 여행정보 == 만약 [[칭짱철도]]나 항공편을 이용하여 티베트자치구 경내로 여행을 떠날 중국인(또는 홍콩, 마카오 국적자 포함)이 아니라면, 반드시 중국비자와 별개로 시짱자치구여유국에서 발급한 티베트입경허가서(西藏旅行许可证, TTB허가증)를 여행 출발전 20일 전에 발급받아야 한다. 당 허가증의 유효구역은 라싸(拉萨), 르카쩌(日喀则), 나무추오호(纳木措湖), [[카일라스 산]](冈仁波齐峰) 등이다. 이외 아리지구(阿里地区). 란우호(然乌湖) 지역과 [[에베레스트 산]](珠穆朗玛峰 주무랑마봉)[* 2018년 기준으로 중국 쪽에서 에베레스트 산을 등정하기 위해서는 8,000m 이상의 등정기록을 보유하고 있어야 가능하다.]베이스캠프 지역 여행시 추가적인 특수허가증(PSB 许可证)을 시짱자치구 공안국을 통해 30일 이전에 받아야 한다. 반드시 신청자가 여행계획서를 작성하여 지정된 여행사를 통해 발급받는데 허가서가 없으면 티베트자치구 경내로 향하는 열차표 예매가 불가능하게 규정이 변경되었다.[* 2010년 이전에는 몰래 다녀온 사람이 있었으나 이제는 보안절차가 강화돼서 불가능하다. 현지 법을 지키자.] 또한 라싸는 해발 3,600여m에 위치한 고산지대의 도시이므로, 추울 수 있으니 점퍼 등을 지참하고, 고산병을 조심하는 것이 좋다. [[분류:중국의 철도역]][[분류:2006년 개업한 철도역]]